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블리치(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블리치 (2004~2012)
ブリーチ
Bleach
파일:external/www.trueswords.com/bleach%20anime%20characters.jpg
작품 정보 ▼
장르다크 판타지, 퇴마, 배틀, 소년만화
원작쿠보 타이토
감독아베 노리유키
녹음 연출
시리즈 구성소고 마사시(十川誠志) (사신대행편 ~ 과거편)
키다 츠요시(きだつよし) (참백도 이문편)
시모야마 켄토 (호정 13대 침군편 ~ 사신대행 소실편)
캐릭터 디자인쿠도 마사시
색채 설계우에타니 히데오(上谷秀夫)
미술 감독타카기 사와코(高木佐和子)
촬영 감독후쿠시마 토시유키(福島敏行)
음악사기스 시로
음악 제작파일:애니플렉스 로고.svg
애니메이션 제작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svg
제작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
파일:덴츠 로고.svg
파일:스튜디오 피에로 로고.svg
방영 기간파일:일본 국기.svg 2004. 10. 05. ~ 2012. 03. 2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01. 08. ~ 2014. 03. 25.[1]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테레비 도쿄 로고.svg / (화) 18:3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투니버스 로고(2000-2007).svg / (월~목) 21:00 (1, 2기)
파일:투명.png 파일:애니맥스 코리아 로고.svg (3기 더빙, 4~7기 자막)
파일:투명.png 파일:애니박스 로고(2019-2022).png | 파일:챔프TV 로고.svg (극장판)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어덜트 스윔 로고.svg
스트리밍 서비스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넷플릭스 로고.svg[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Hulu 로고.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크런치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라프텔 로고.svg
편당 러닝타임24분
화수366화
국내 심의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TV]
해외 심의 등급파일:미국 국기.svg TV-14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279화까지 방영되었다[2] 5개 시즌 한정. 나머지 에피소드는 지원을 안한다.[TV] 투니버스 방영 시.

1. 개요
5. 주제가
5.1. OP
5.2. ED
7. 해외 공개
7.1. 대한민국
7.1.1. 1~2기: 투니버스
7.1.1.1. 주제가
7.1.2. 3~4기: 애니맥스
7.1.3. 극장판: 대원방송
8. 평가
9.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
10. 블리치 베스트 에피소드 셀렉션 인기투표
11. 최종장: 천년혈전 편
12. BD



1. 개요[편집]


쿠보 타이토의 만화 《블리치》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아베 노리유키, 스튜디오 피에로 제작.

2004년부터 2012년까지 TV 도쿄에서 방영된 작품으로[1], 원작의 사신대행 소실 편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아쉽게도 원작 마지막 장편 에피소드인 천년혈전 편은 영상화가 되지 않은 채 무려 8년의 시간이 흘렀다가 2022년에 드디어 애니화 소식이 발표됐다.

미국에서는 viz media를 통해 어덜트 스윔, 카툰네트워크에서 2006년 9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더빙으로 방영되었다.북미판 성우진 캘리포니아 계열 더빙이라 그런지 나루토 급은 아니여도 서양 애니메이션도 전담하는 성우들이 꽤 많이 보인다.


2. 줄거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블리치/줄거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블리치/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블리치/설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나루토 못지않게 애니메이션 최고의 연출이라는 호평이 많았다.[2] 연출도 좋고 작품 컨셉에 걸맞게 매우 감각적이고 세련되어서 마치 MTV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3기 엔딩인 윤하의 혜성때처럼 호정 13대를 주제로 해서 영상이 13개가 존재하는건 다반사이고 4기 오프닝이나 15기 오프닝처럼 특정 씬의 등장인물이 매화 오프닝마다 다르게 나온다던지 하는 모습도 볼 수 있었고 비단 MTV의 뮤직비디오같은 것뿐만 아니라 작중 떡밥을 내포한 장면들을 잘 풀어내서 본편의 퀄리티가 자주 개박살났던 시기엔 "블리치는 오프닝, 엔딩만 보면 된다."라고 하던 팬들도 있었다.

원작자는 OP&ED에 기본적으론 관여하지 않았지만 가끔 데모판을 받거나 너무 오프닝스럽지 않으면 조금 의견을 낸 적은 있다고 팬클럽 Q&A에서 밝혔다.

주제가들은 블리치에 출연한 성우들이 커버하기도 했는데 꽤 절륜한 퀄리티가 나와서 호평을 받기도 했다. 커버한 성우는 밑 항목 참조.[3]

5.1. OP[편집]


종류곡명가수화수
OP1*〜アスタリスク〜ORANGE RANGE / 모리타 마사카즈(쿠로사키 이치고)1화~25화
OP2D-tecnoLifeUVERworld26화~51화
OP3一輪の花HIGH and MIGHTY COLOR / 하야미 쇼(아이젠 소스케) / 사쿠마 쿠미(히나모리 모모)52화~74화
OP4Tonight, Tonight, TonightBeat Crusaders / 타치키 후미히코(자라키 켄파치)75화~97화
OP5Rolling starYUI98화~120화
OP6ALONESAqua Timez / 토리우미 코스케 (자엘아폴로 그란츠)121화~143화
OP7アフターダークASIAN KUNG-FU GENERATION144화~167화
OP8CHU-BURAKelun / 스기야마 노리아키(이시다 우류)168화~189화
OP9VelonicaAqua Timez / 오가타 메구미(티아 하리벨)190화~214화
OP10少女SSCANDAL / 오리카사 후미코(쿠치키 루키아) / 마츠오카 유키(이노우에 오리히메)[4]215화~242화
OP11アニマロッサ포르노 그라피티 / 나미카와 다이스케(우르키오라 시파)243화~265화
OP12chAngEmiwa / 오리카사 후미코(쿠치키 루키아)266화~291화
OP13乱舞のメロディ(난무의 멜로디)SID / 칸나 노부토시(노이트라 질가) / 나카무라 유이치(테슬러 린도크루츠)292화~316화
OP14BLUEViViD317화~342화
OP15HARUKAZESCANDAL343화~366화


5.2. ED[편집]


종류곡명가수화수
ED1Life is Like a BoatRie fu / 나카오 류세이(쿠로츠치 마유리) / 쿠기미야 리에(쿠로츠치 네무)1화~13화
ED2サンキュー!!HOME MADE 가족 / 모리카와 토시유키(토센 카나메) / 코니시 카츠유키(히사기 슈헤이)14화~25화
ED3ほうき星윤하 / 유키노 사츠키(시호인 요루이치) / 쿠와시마 호우코(소이퐁)26화~38화
ED4Happy PeopleSkoop on Somebody39화~51화
ED5LifeYUI52화~63화
ED6マイペースSunSet Swish / 마도노 미츠아키()64화~74화
ED7Hanabi이키모노가카리 / 박로미(히츠가야 토시로) / 마츠타니 카야(마츠모토 란기쿠)75화~86화
ED8MOVIN!!타카챠87화~97화
ED9Baby It's YouJUNE98화~109화
ED10桜日和호시무라 마이 / 히사카와 아야(우노하나 레츠)110화~120화
ED11爪先오레 스카 밴드121화~131화
ED12챠토몬치132화~143화
ED13乱種をまく日々아타리 코우스케 / 오노사카 마사야(히라코 신지)144화~154화
ED14感謝。RSP155화~167화
ED15オレンジLil'B / 코야마 리키야(코요테 스타크) / 아사이 키요미(리리넷 진저벅)168화~179화
ED16ギャロップpe'zmoku / 이시카와 히데오(우키타케 쥬시로) / 토치카 코이치(코츠바키 센타로) / 니시무라 치나미(코테츠 키요네)180화~189화
ED17ヒトヒラのハナビラ스테레오포니 / 사쿠마 쿠미(에밀루 아파치) / 이시즈카 사요리(프란체스카 미라 로즈) / 세나 아유미(시안 슨슨)190화~201화
ED18Sky chord 〜大人になる君へ〜츠지 시온202화~214화
ED19君を守って 君を愛して삼보마스터215화~229화
ED20Mad Surfer아사이 켄이치230화~242화
ED21さくらびと선셋 스위시 / 세키 토시히코(아로니로 아루루에리)243화~255화
ED22旅立つキミへRSP / 이시즈카 사요리(야도마루 리사) / 칸다 아케미(쿠나 마시로) / 타카기 레이코(사루가키 히요리)256화~265화
ED23Stay BeautifulDiggy-MO'266화~278화
ED24Echoesuniverse / 스와베 준이치(그림죠 재거잭)279화~291화
ED25Last MomentSPYAIR292화~303화
ED26Song for...ROOKiEZ is PUNK’D304화~316화
ED27アオイトリfumika317화~329화
ED28ハルカカナタUNLIMITS330화~342화
ED29Re:prayAimer343화~354화
ED30MaskAqua Timez355화~366화


6. 회차 목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블리치(애니메이션)/회차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해외 공개[편집]



7.1. 대한민국[편집]



7.1.1. 1~2기: 투니버스[편집]


2007년 1월에 1기, 2008년 3월 20일 2기가 각각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다. 번역은 권이강, 연출은 신길주 PD다.

방영 초기 땐 성우진이 '전형적인 신길주 PD식 성우진' 이라며 성우 갤러리에서는 좀 까였으나 본격적인 소울 소사이어티편부터 들어와서 성우진도 화려해지고 성우들의 열연에 힘입어 나중엔 "길주 PD식 성우진이면 어때 김사단도 아니고 더빙 퀄리티만 좋으면 됐지" 식으로 대동단결했다. 실제로 성우진이 상당히 화려하다. 별로 안 나오는 참월의 성우가 홍시호란 게 밝혀졌을 때 "저런 비중 없는 애(물론 그 정체가 밝혀지기 전이라 나왔던 말이다)가 홍시호라니 있을 수 없다! 분명 아이젠이랑 중복일 거다!" 이라며 경악하던 팬들이 막상 아이젠의 성우가 구자형인 게 밝혀지자[5] 깜놀하기도. 실제로 성우진을 보면 상당히 공들인 걸 볼 수 있다.[6] 심지어 애니 오리지널인 바운트편에서도 "정말 재미없는 에피소드지만 성우가 살렸다" 고 평한 팬도 있을 정도. 블리치를 통해서 투니버스에 처음 출연한 성우도 있다. 바로 시바 쿠우카쿠를 맡은 신영애였다.

다만 쿠치키 뱌쿠야를 맡은 김민석소이퐁을 맡은 이용신, 히츠가야 토시로를 맡은 정선혜, 이치마루 긴을 맡은 박성태의 연기가 지적받기는 했다.

투니버스에서 보기 드물게 일본판 오프닝이 그대로 국내판 2기 여는 곡으로 사용되었다(4기 TONIGHT TONIGHT TONIGHT). 일본 대중문화 개방이 되기 전부터 투니버스는 가사가 영어인 노래는 유일하게 원곡 그대로 내보낼 수 있어서 그대로 원곡으로 간 거 같다.[7] 2기 닫는 곡은 이 불렀지만 1기의 주제곡들과는 달리 아쉽게도 싱글은 발매되지 않았다.[8] 밴드 GUYZ의 투니버스 데뷔작. 신동식 PD가 작품 특성상 밴드를 섭외하고 싶었는데 담당 PD가 GUYZ를 추천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 이후 가정교사 히트맨 리본 주제가 담당을 하게 된다.

1기는 총 51화, 2기는 총 58화로 합쳐서 총 109화를 방영했다. 나루토와 달리 중간에 더빙이 중단되었는데 하필 중단된 부분이 원작팬, 애니팬 모두 최악이라고 하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바운트 편이었다. 투니버스 측에서는 인기도 없으니 하지 말자는 결정을 내렸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신동식 PD[9]도 만화 원작은 A급이지만, 시청률로 보면 B급이라고 이야기했을 정도.#.

2010년대 중반까지 1~3기 모두 웹하드 및 여러 사이트에 전편이 올라왔었으나 현재는 녹화본 소실 및 저작권으로 전부 짤렸다. 2022년 작성자에 의하면 1기는 49화 유실, 2기는 13화 이후로 유실, 3기는 54, 55화 유실이라고 한다. 현재는 투니판 1기, 애맥판 3기만 유일하게 남아있는 상태. 투니판 2기 바운트편은 현재 일부분 소장자만 빼고 없는상태다.

여담으로 원피스, 나루토 극장판들은 투니버스가 공연히 챙겨주었으나 블리치 극장판은 단 한 편도 방영되지 않았으며, 좀 의외인 사실이다. 은혼처럼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 오랫동안 후속 에피소드가 동결되었는데 보보보처럼 매우 띄엄띄엄하게나마 방영될 줄 알았다.


7.1.1.1. 주제가[편집]

1기 OP
Road
Full ver.
노래가이즈
작사신동식
작곡이창희
편곡이창희, 가이즈

1기 ED
기다릴게
Full ver.
노래조민혜
작사신동식
작곡이창희

2기 OP
Tonight, Tonight, Tonight
[10]
TV ver.
노래Beat Crusaders
작곡
편곡
작사히다카 토오루

2기 ED
고집쟁이
Full ver.
노래
작사신동식
작곡이창희, 김준범
편곡최명희


7.1.2. 3~4기: 애니맥스[편집]


결국 2012년 1월 16일, 애니맥스에서 3기가 방영되었다. 번역은 명지선, 연출은 최옥주.

애니맥스가 중복 캐스팅을 밥먹듯이 하고 있기 때문에, 방영 전부터 안 그래도 인물이 많은 블리치가 또 다시 중복으로 도배될 우려가 있다는 불안감을 가진 팬들이 많았다.[11] 심지어 애맥이 욕을 안 먹으려면 투니버스에게 외주 줘야 한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도 나올 정도였다. 그리고 뚜껑을 열어본 결과 정말로 강수진이 맡은 배역의 성우가 바뀌고 말았다!

특히 성우 교체에 대해서는 대원방송과는 다른 의미로 더더욱 까이고 있는 중이다. 먼저 투니판에서 그대로 온 성우는 신용우, 정소영, 홍범기, 시영준, 정선혜, 최지훈, 최한, 이현진, 김장, 현경수, 박성태이고 나머지 캐릭터들은 성우가 바뀌었는데, 이 바뀐 성우들이 한경화, 윤미나, 최문자 등 최옥주 PD가 자주 캐스팅해왔던 성우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해 이건 과거의 김사단과 전혀 다를 게 없다는 점에서 더욱 충공깽을 선사하고 있다.

게다가 투니버스에서는 잘 없던 중복도 애니맥스답게 증가해서 모든 성우들이 1인 2역 이상을 맡아 성우팬들한테 많이 까이고 있다.[12] 엄연히 장편작인데도 성우가 23명만 출연하다보니 대영팬더 중복 수준이 나와버린 것이다.

또한 더 웃기는 것은 캐릭터의 원래 성우를 바꿨는데 정작 투니버스판에서 그 캐릭터로 출연한 성우는 애맥판 블리치에 와서야 다른 캐릭터로 출연하는 일이 있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안영미리린최문자로 바뀌었는데, 정작 안영미는 뒤늦게 쿠나 마시로로 애맥판 블리치에 처음 출연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캐릭터의 원래 성우 따위 생각하지도 않고 무작정 캐스팅한 셈이다.[13]

바뀐 성우 퀄리티도 별로 평가가 좋지 않다. 이시다 우류임채헌은 투니판을 맡은 최재호가 잘해준 것도 있지만 연령대에 비해 목소리가 굵은 편이고, 히라코 신지남도형의 경우 투니에서 계속 더빙했으면 신길주 PD가 짤랐을 사투리를 쓴 건 좋았지 딸린 역량 때문인지 팬들에게 사투리 써서 연기가 더 안 좋아보인다는 평을 들은 데다[14] 리린과 타츠키를 맡은 최문자도 어긋난 핀트를 보여줘 안타까움을 선사했다.

그리고 3기에서 나온 새 캐릭터 우르키오라 시파를 맡은 김태영이 붕뜬 연기와 씹힌 발음 문제로 까여 신인 성우들도 잘 못 써먹는다는 혹평까지 들었다. 근데 정작 다른 배역인 야마다 하나타로가 더 낫다는 반응이 많다.

이런 전례 때문에 투니버스와 지금은 폐지된 퀴니에서 방영하지 않은 을 이곳에서 방영했다가는 '주연급 빼고 전부 다른 성우로 교체할 가능성이 커서 차라리 영원히 안하는 게 낫다.'라는 반응이 많다.

성우도 성우지만 외적인 부분에서도 저질급 성의로 상당히 까이고 있는데 일단 자막판도 아니고 더빙판으로 방영되는데도 오프닝의 일본어 크레딧을 수정하지 않았다.[15]

한편 주제가는 투니버스와 달리 일본어 원곡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데, 일본에서 방영될 당시 화수에 맞는 오프닝/엔딩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그 원곡 자막방송도 Part 1의 1쿨 오프닝 곡으로 사용된 <Rolling star>의 가사 자막에서 수많은 오역들이 나와 애맥의 번역은 역시나 어디 가지 않는다는 걸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16][17] 그나마 이후 오프닝에서는 가사 번역이 좀 나아졌다.

곡이 바뀔 때마다 스태프 롤도 무성의해지고 있는데, 한 화당 대략 열 캐릭터 정도만 넣고 있어 중복 캐릭터나 조/단역이 제대로 표기되지 않다보니 누락되는 성우들이 많아 한 화마다 전부 써놓은 투니판보다 한참 빈약해 까이고 있다.

게다가 오프닝에 나오는 타이틀 로고 또한 애니플러스[18]만도 못한 퀄리티의 발수정을 보여줘 로고의 움직임이 상당히 불안정하고, 로고 뒤에 모자이크가 다 보인다.

7월부터 후속 에피소드를 다시 방영해 3기 Part 2로 방영중이지만 퀄리티는 여전히 그대로다. 근데 여기서 새로 추가된 루피 안테노르정재헌이 호평을 받고 있다. 심지어 유일하게 애맥판에서 캐스팅이 잘된 평이라고 말할 정도였지만 그래도 에스파다의 성우진도 네리엘 투 오델슈방크문남숙, 아로니로 아루루에리에 일본판과 마찬가지로 시바 카이엔을 맡은 김장을 캐스팅 하는 등 조금씩 정신 차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지만 이에 아랑곳없이 성우팬들에게는 철저히 외면당했다.

덤으로 당시 기준으로 영상 네트워크가 연출한 작품 중에서 가장 성우진이 많이 출연한 작품이었다. 이후 그 기록은 심상보 PD의 헌터×헌터 리메이크가 화려한 게스트 성우진들로 경신했다. 3기는 Part 1는 총 58화#, Part 2는 총 32화#로 총 90화를 방영했다.

그리고 2013년 1월에 방영을 시작한 4기부터는 자막 방영으로 전환된다. 애초에 외주로 때우기엔 상당히 무리였던 더빙인지라 성덕들 대다수는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4기는 3개로 나누어서 방영되었는데 Part 1는 2013년 1월 11일 부터 2월 11일까지 총 18화 방영했고 Part 2는 동년 8월 22일 부터 2014년 1월 9일까지 총 42화까지 방영했고 Part 3는 2014년 1월 14일 부터 3월 25일까지 총 20화 방영하여 총 80화까지 방영했다. #


7.1.3. 극장판: 대원방송[편집]


뜬금없이 2012년 대원방송 계열인 애니박스챔프TV의 8월 신작으로 극장판의 방영이 결정되어 3기가 애니맥스에서 방영되었던 때와 마찬가지로 팬층이 또 다시 멘붕을 겪기 시작하고 있다.

트라이건이나 환상게임의 전례처럼 자막으로 방영할 가능성이 높지만[19] 원피스의 사례도 있고 해서 또 막장으로 형편없는 신인 전속들더빙하는 거 아니냐면서 분노에 찬 반응이 점점 늘어나기도 했다.

일부 성우팬들은 원피스 같은 경우는 주연 성우인 강수진, 김승준, 정미숙, 김소형이 업계에서 발언력이 있을 정도로 이 찬 성우들이라 반대로 그들과 비교하면 경력이 낮은 편의 성우가 주연을 맡고 있는 블리치를 건드려서 전속 셔틀로 이용해 먹을 속셈이 아니냐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극장판은 자막방송이 결정되었으며, 거기다 극장판을 1편만이 아니라 4편까지 전편 다 틀어주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스엠지홀딩스를 통해 수입되었으며, 애니박스에서 자막으로 먼저 방영한 다음 더빙으로 방영하게 되었다.


8. 평가[편집]


파일:아사히 신문 로고.svg 선정 일본의 TV 애니메이션 104선
[ 펼치기 · 접기 ]

※ 2012년 아사히 신문이 철완 아톰 이후 50년 동안 가장 인상 깊었던 TV 애니메이션 104개의 작품을 선정했다. 순서는 연도 순서이며 순위와는 관계가 없다.
철완 아톰밀림의 왕자 레오요술공주 샐리마하 GoGoGo게게게의 키타로
거인의 별비밀의 아코짱타이거 마스크사자에상내일의 죠
루팡 3세데빌맨과학닌자대 갓챠맨마징가 Z에이스를 노려라!
알프스 소녀 하이디마법소녀 메구짱우주전함 야마토만화 일본 옛날이야기감바의 모험
타임보칸잇큐씨엄마찾아 삼만리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캔디캔디
얏타맨미래소년 코난은하철도 999보물섬빨강머리 앤
도라에몽기동전사 건담베르사이유의 장미전설거신 이데온닥터 슬럼프와 아라레짱
꼬마숙녀 치에시끌별 녀석들초시공요새 마크로스미래경찰 우라시맨장갑기병 보톰즈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캡틴 츠바사북두의 권터치드래곤볼
세인트 세이야시티헌터키테레츠 대백과날아라 호빵맨기동경찰 패트레이버
마루코는 아홉살신비한 바다의 나디아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짱구는 못말려
유유백서닌자보이 란타로슬램덩크슬레이어즈신세기 에반게리온
명탐정 코난용자왕 가오가이가포켓몬스터소녀혁명 우테나카우보이 비밥
카드캡터 사쿠라오자루마루꼬마마법사 레미∀건담원피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방가방가 햄토리갤럭시 엔젤테니스의 왕자오버맨 킹게이너
공각기동대 STAND ALONE COMPLEX나루토기동전사 건담 SEED강철의 연금술사플라네테스
빛의 전사 프리큐어블리치AIR허니와 클로버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작안의 샤나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은혼제로의 사역마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천원돌파 그렌라간전뇌 코일기동전사 건담 00트루 티어즈마크로스 프론티어
스트라이크 위치스이나즈마 일레븐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케이온!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골판지 전기TIGER & BUNNY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출처




메인 캐릭터 디자이너 쿠도 마사시가 원작자 쿠보 타이토의 미형 캐릭터 디자인을 잘 재현한 덕에 작화가 매우 좋은 편이다. 연출도 상당히 탁월한데 특히 오프닝엔딩 영상이 작품 컨셉에 걸맞게 매우 감각적이고 음악도 사기스 시로의 지휘 하에 락을 베이스로 깔고 있기 때문에 마치 MTV를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더불어 오프닝 이후 나오는 화수 소개 화면의 디자인도 매번 달라지는데 상당히 시크하다. 그 외에도 본편이 끝나면 사신대백과사전, 사신대백과사전 골드, 아란칼 대백과 등을 하는데 이게 또 블리치의 팬이라면 재밌게 즐길 수 있다.[20] 황당하게도 본편보다 오프닝, 엔딩, 대백과를 하는 애니메이터 중에 본편 작화 애니메이터보다 더 대단한 사람들이 많다.[21]

원작에서도 가장 인기가 좋았던 소울 소사이어티 편에서는 성우 연기와 원작 재현, 연출이 원작과 최고의 싱크로율을 보여주며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반면 애니만 본 팬들에겐 이 부분이 원작과 달리 인상이 약한데 블리치는 초반부를 상당히 대충 만든 작품이었다. 일부 주력 애니메이터도 소울 소사이어티편 때 나가버려서 가장 작화 질이 낮은 부분으로 꼽힌다. 또한 캐릭터 디자이너인 쿠도 마사시가 잠시 나갔던 영향인지[22] 원작에선 소울 소사이어티 편에서 작가의 화풍이 바뀌었는데 애니는 그게 잘 반영되지 않았고 원작 초반부 디자인으로 소울 소사이어티 편을 진행했다. 원작 팬과 애니 팬의 반응이 여기서 갈린다.

오히려 원작에선 시리즈가 진행되면서 특유의 허세가 강해지면서 장점이 점점 사라져 간다는 소리를 들었으나 애니는 아란칼 편부터 제작이 정상화되면서 애니 팬들은 오히려 중, 후반부에 더 큰 관심을 가지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이 작품은 나루토와 전혀 다른 사단이 참여했는데 모리야마 유지, 이노우에 아츠코, 쿠리타 신이치, 타나카 히로노리, 나카모리 료지, 나카지마 아츠코, 니노미야 츠네오, 오오니시 마사야 등의 애니메이터가 유명하다.

나루토 쪽이 유명한 애니메이터가 많이 있다면 이쪽은 아베 노리유키, 미즈노 카즈노리, 타카하시 모토스케[23], 타치카와 유즈루 등 연출 쪽 인력이 좋은 편에 속한다. 작화감독도 유유백서에 참여했던 멤버도 많고 준수하지만 원화 애니메이터가 꽤 빈약한 편이다. 이런 사람들이 있어서 몇몇 장면은 원작 초월 수준의 액션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에피소드 마다의 작화 격차는 나루토보다 심한 편이다. 좋은 에피소드는 정말 좋고 아닌 에피소드는 정말 아니다. 작화보다는 정지컷과 캐릭터의 표정 묘사와 이펙트로 장면을 연출하는 연출 위주의 애니메이션이다.

어쨌든 연출은 그렇다 쳐도 작화 편차는 심하다. '쿠로사키 이치고 일행이 이노우에 오리히메- 구출을 위해 웨코문드로 출발→아이젠 소스케의 현세침공' 까지는 진짜 눈 뜨고 보기 힘들 정도로 최악의 작화를 뽑아낸 적도 있다. 특히 이 시기 동안의 전투씬은 거짓말이 아니라 완전 멈추면서 싸우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움직이지도 않는 장면에서조차 제대로 된 캐릭터들의 이목구비를 찾아보기가 힘들었다.

저 시기 동안에 나왔던 전투로는 '노이트라 질가vs자라키 켄파치', '쿠치키 루키아vs아로니로 아루루에리', '쿠로사키 이치고vs그림죠 재거잭', '쿠치키 뱌쿠야vs조마리 루루', '쿠로츠치 마유리vs자엘아폴로 그란츠' 정도가 있는데 평소처럼만 작화를 뽑았으면 괜찮게 볼 수 있었던 부분들이였지만 하필이면 이때가 애니판 작화의 최악의 침체기였을 때라서 '그림죠 재거잭vs쿠로사키 이치고'의 최고조 전투신 때의 작화를 제외하면 그야말로 작화붕괴의 난무. 특히 '노이트라 질가vs자라키 켄파치'의 작화는 말이 필요가 없다. 상시 작화붕괴. 멈춰있는 듯한 전투씬. 보여준 거 또 보여주는 우려먹기 전투씬 등 답이 없다.

그래도 원작 1부의 대단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부터는 작화의 질이 급격하게 좋아졌고 그 후의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는 작화가 평균치를 되찾았다. 오히려 극장판 퀄리티라 불러도 손색없을 정도의 작화를 뽑아내기도 한다. 이런 극장판 퀄리티를 뽑아내는 경우는 주로 한 시즌의 첫화나 주요 캐릭터의 전투씬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한 시즌의 마지막 부분으로 분류된다.

연출 쪽에서는 회차 목록을 보고 항목이 있는 유명 연출가들이 콘티로 참가한 에피소드를 체크하면 비교적 괜찮은 영상을 볼 수 있다. 항목은 없지만 후카자와 마나부(深澤 学)의 에피소드도 대체로 호평이며 작화감독으로 연출가 미즈노 카즈노리, 타치카와 유즈루가 참가한 에피소드들이 유명하다.

여러가지로 편차가 심한 애니지만 꾸준히 호평을 받는 부분은 성우다. 대부분의 성우들이 호화 캐스팅이며 캐릭터의 이미지에 잘 맞는 연기를 선보였다. 블리치 애니 팬들은 성우에 대한 애정이 깊다. 성우는 원작자 쿠보 타이토도 호평했으며[24] 블리치 천년혈전 편에서도 사망하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는 사람을 제외하면 대부분 유임되었다.

스튜디오 피에로의 다른 장편 작품처럼 원작 스토리를 거의 따라잡아 분량이 부족하면 오리지널 스토리를 잔뜩 삽입해서 진행을 늦추는 패턴이 많았다. 대부분은 좋은 평가는 받지 못하지만, 호정 13대 침군 편(317 ~ 342화)처럼 오히려 원작의 설정구멍을 메꿨다는 평가를 받는 에피소드도 있다. 다만 애니 오리지널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바운트 편(64 ~ 109화)은 핵노잼이니 보지 말라는 공통된 반응을 보인다. 덧붙여서 본편 스토리로 돌아올 땐 작화가 매우 상승해서 나온다. 작화가 계속해서 바뀌는 장기 연재만화의 특성상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면 애니메이션 제작에 쓰일 캐릭터 원안을 원작 그림에 맞게끔 교체해야 하는데, 오리지널 스토리가 끝나는 시기에 진행하는 모양이다 오리지널 에피소드들은 흑역사인 바운트편을 제외하면 평타 이상은 치는편이다.

소울 소사이어티 편 당시에는 이쪽 업계에선 드물게 한국인이 주제가를 부른 일본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주인공은 당시 일본에서 상당한 인기가 있었던 윤하로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끈 『혜성』이라는 곡이 3기 엔딩으로 쓰였다. 이 곡과 함께 나온 3기 엔딩 장면은 호정 13대의 주요 인물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13가지 버전이 있다. 그리고 한진애니메이션이 하청으로 참여했다.

2017년 11월 4일 원작자인 쿠보가 어느 라디오 방송에 나와서 언급하길, 블리치 애니를 극도로 싫어한다고 한다. 제작사인 스튜디오 피에로 측에서 자신에게 상의도 없이 스토리 혹은 대사를 수정하는데 큰 불만이 있어 애니메이션이 한참 방영될 당시에 이런저런 트러블도 많았다고.[25][26] 덜 자신이 이렇게 해달라고 설정 감수를 하거나 메모를 보내줘도 반영되지 않을 때가 많았다고 한다.[27]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원작자가 빡쳐서 애니화가 안 되는 작품이 종종 있다. 대표적으로 그 유명한 슬램덩크도 전국대회 편의 애니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약 20년의 세월이 지났다가 산왕전을 극장판으로 개봉했다.

특정 캐들을 악인으로 폄하시키는 나루토보다 덜할 뿐이지, 캐릭터 편파가 심해서 이치고와 오리히메 사이의 감정선과 서사를 지나치게 뭉개버렸다는 비판도 있다. 그 예로 오리히메는 처음부터 이치고가 연예인 수준으로 잘생긴 얼굴이라 생각했지만 애니에서는 이치고의 얼굴을 무서워 했다고 왜곡하거나, 루키아 잡혀간 후 뭘 하면 좋을 지 고민하는 이치고에게 루키아를 구하러 갈 수 있게끔 오리히메가 상담과 격려를 해준 장면은 오리히메가 이치고한테 루키아를 왜 구하냐고 물어보고 이치고는 오리히메 도움없이 혼자서 결의를 다지는 장면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오리히메가 이치고의 얼굴만 보고 바로 이치고의 심정을 헤아리는 장면을 삭제하는 등 오리히메가 얼마나 이치고를 이해하는 지에 관한 묘사를 거의 삭제했을뿐더러 요루이치가 오리히메에게 소울소사이어티로 가는 이유를 물어보고 오리히메가 이치고를 지키고 싶다고 하는 장면은 오리히메 말고 차드한테 물어보는 대사로 바꾸고선 오리히메 분량은 통편집해버렸다. 더군다나 이치고가 오리히메한테 소울 사이어티에 가도 괜찮냐고 물어보고 오리히메가 괜찮다고 답한 장면과 이치고가 호로화된 오리히메 오빠에게서 오리히메를 구하며 오리히메를 죽일 거면 나부터 죽이라고 하는 대사 역시 삭제 되면서 이치고가 오리히메를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감정선 역시 거의 사라졌다.

이런 비판점들 탓인지 쿠보는 원작 완결 후 팬클럽 Q&A를 통해 원작대로 리메이크 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2021년 5월 시점에선 예정은 없지만 하고 싶다고 했다.


9. 작화로 유명한 에피소드[편집]


종종 다른 에피소드보다 고급 인력을 쓰고 작화 매수를 많이 써서 작화가 뛰어난 에피소드가 있다.

그러나 블리치는 같은 스튜디오 피에로 제작의 나루토에 비하면 힘을 덜 준 작품이었고 그래서 실력있는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에피소드도 주로 후반에 몰렸다. 피에로가 그림체보다는 액션과 움직임에 중점을 두므로 그림체가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액션이나 묘사에 중심을 두고 보기를 권한다.

원작자 쿠보 타이토쿠도 마사시와 오기소 신고(小木曽伸吾) 작화감독 에피소드의 작화가 좋았다고 하며 팬들도 좋아한다.[28] 그 외에 블리치 팬이 좋아하는 작화감독은 이마키 히로아키(今木宏明)가 있다.

회차콘티연출작화감독원화비고
118화코시바 준야
(小柴純弥)
세키모토 유지
(関本雄二)
오기소 신고
(小木曽伸吾)
스나가와 노리히로
(砂川則博)
쿠도 마사시, 이노우에 아츠코(井上敦子), 우사미 코이치(宇佐美皓一), 이시노 사토시마다라메 잇카쿠 VS 에도라드 리오네스
121화미즈노 카즈노리이치구치 쿠미
(一口久美)
오기소 신고이노우에 아츠코, 쿠도 마사시, 야나기 류타, 오기소 신고쿠로사키 이치고 VS 그림죠 재거잭
166화사이토 테츠히토
(斉藤哲人)
미즈노 카즈노리토쿠마루 테루아키(徳丸輝明), 이노우에 아츠코, 오기소 신고, 동화공방
219화미즈노 카즈노리스즈키 요코
(鈴木陽子)
이노우에 아츠코, 토쿠마루 테루아키, 오기소 신고작화감독 협력 겸임히사기 슈헤이 VS 핀돌 캐리어스
270화미즈노 카즈노리필명 참가스에다 요시후미
(末田宜史)
이마키 히로아키
(今木宏明)
오오니시 마사야, 토쿠마루 테루아키, 이노우에 아츠코, 모리야마 유지쿠로사키 이치고 VS 우르키오라 시파
271화타치카와 유즈루니시카타 야스히토
(西片康人)
시모지마 마코토
(下島 誠)
마스다 토시히코(増田敏彦), 나카모리 료지, 히가시데 후토시
309화스에다 요시후미이마키 히로아키쿠리타 신이치, 타나카 히로노리, 야마다 타츠오, 이이지마 히로야(飯島弘也), 이와사키 쇼타, 이마키 히로아키, 쿠도 마사시쿠로사키 이치고 VS 아이젠 소스케
317화아베 노리유키쿠도 마사시우사미 코이치, 토쿠마루 테루아키, 쿠도 마사시, 와카바야시 아츠시호정 13대 침군 편
(애니 오리지널)
319화타치카와 유즈루쿠리타 신이치오오니시 마사야, 이마키 히로아키, 미키 타츠야, 요시베 나오키(吉邊尚希), 타치카와 유즈루, 카이 야스유키, 와다 타카아키, 코미노 마사히코, 쿠츠나 켄이치, 타카하시 유이치, 쿠리타 신이치
327화야마오카 미노루
(山岡 実)
이노우에 아츠코, 히가시데 후토시, 토쿠마루 테루아키, 쿠리타 신이치액션 원화 상당 수 담당
341화타치카와 유즈루이마키 히로아키요네야마 마이, 타카하시 유이치, 호리우치 히로유키, 미와 카즈히로, 코노 메구미, 타나카 히로노리, 코타 후미아키, 호소고에 유지, 카모가와 유타카, 하야시 유키, 와다 타카아키, 카키타 히데키, 쿠리타 신이치, 카메다 요시미치, 나카지마 아츠코, 이마키 히로아키, 타치카와 유즈루
342화코시바 준야미즈노 카즈노리필명 참가쿠도 마사시이노우에 아츠코, 쿠도 마사시
361화마츠바야시 타다히토이마키 히로아키, 토쿠마루 테루아키, 나카지마 아츠코, 와다 타카아키쿠로사키 이치고 VS 긴죠 쿠고
366화니시카타 야스히토
아베 노리유키
스즈키 요코
우메무라 토모미
(梅村朋未)
이노우에 아츠코, 토쿠마루 테루아키, 이마키 히로아키, 나카지마 아츠코, 니노미야 츠네오, 와다 타카아키, 쿠도 마사시레이아웃 감수

10. 블리치 베스트 에피소드 셀렉션 인기투표[편집]


블리치 천년혈전 편 방송을 앞두고 블리치 공식에서 진행한 인기투표 결과. 2022년 천년혈전 방송 전에 상위 13개의 에피소드를 재방송했었다.

원작 팬은 납득하기 힘든 결과일 수도 있는데 이 애니메이션은 원작 인기가 높은 소울 소사이어티 편의 퀄이 낮았기 때문에 애니 입문 팬들은 후반부를 더 높이 평가한다.

순위회차제목
1위308화さよなら・・・乱菊
안녕 란기쿠
2위309화激闘決着! 放て、最後の月牙天衝!
격투 결착! 최후의 월아천충 해방!
3위141화さようなら…、黒崎くん
안녕…쿠로사키군
4위271화一護死す! 織姫、悲痛の叫び!
오리히메, 비통의 절규!
5위1화死神になっちゃった日
사신이 된 날
6위361화新たな姿!護廷十三隊、見参!
새로운 모습! 호정13번대 대면!
7위272화一護vsウルキオラ、決着!
이치고 vs 우르키오라, 결착!
8위366화[29]変わりゆく歴史、変わらぬ心
바뀌어 가는 역사, 바뀌지 않는 마음
9위58화開放! 黒き刃、奇跡の力
개방! 검은 검 기적의 힘
10위54화果たされる誓い! ルキア奪還なるか!
이루어지는 맹세! 루키아 탈환되나!
11위166화死力VS死力! ホロウ化した一護
사력 VS 사력! 호로화한 이치고
12위167화決着の時、グリムジョーの最期
끝을 낼 때, 그림죠의 최후
13위41화再会、一護とルキア
이치고와 루키아의 재회


11. 최종장: 천년혈전 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블리치 천년혈전 편 애니메이션 시리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BD[편집]


2016년부터 블리치 TVA 블루레이 버전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30] 1권에 보통 27화씩 수록되고 있으며, 1년에 1~2권씩 나오다 2020년에 천년혈전 애니화 발표 이후로 출시속도가 미친듯이 빨라져 2020년에만 4권이 나왔다.

2021년 4월 10권까지 출시된 상태며, 279화 분량까지 나왔다. 블리치 애니가 총 366화이니 앞으로 3권 분량이 남은 셈이다. 현재 BD가 나오는 속도를 보면 천년혈전 애니가 방영되기 전까지 작업을 마치려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12월 366화까지 총 13권으로 모든 블리치 애니메니션이 블루레이로 나왔다.

또한 2022년 11월부터 특전이 수록된 블루레이 디스크 박스가 총 3개에 걸쳐서 발매될 예정이다.[31]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제외한 원작 에피소드만 수록한 블루레이 디스크 박스다.[32]

블리치같은 장편 애니가 블루레이로 출시되는 건 좀처럼 드문 일이다. 원피스, 나루토도 극장판을 제외한 TVA는 DVD 매체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1] 2008년 4월 23일 168화부터 16:9 HD로 바꾸어 송출되었다. [2] 나루토와 동일한 제작사인 스튜디오 피에로에서 제작.[3] 4개의 극장판들의 주제가도 모두 커버됐다. 1기의 주제가인 "천 번의 밤을 넘어서(千の夜をこえて)"는 쿠치키 뱌쿠야 역의 오키아유 료타로아바라이 렌지 역의 이토 켄타로, 2기의 주제가인 "빛의 록(光のロック)"은 코마무라 사진 역의 이나다 테츠, 3기의 주제가인 "오늘밤 달이 보이지 않아도(今宵月が見えずとも)", 4기의 주제가인 "Save the one, Save the all"은 둘 다 쿠로사키 이치고 역의 모리타 마사카즈가 불렀다.[4] 실제로 10기 오프닝은 루키아와 오리히메가 시크한 기믹으로 춤을 추는 영상이다.[5] 참고로 구자형의 몇 없는 악역이다.[6] 2기까지 총 63명. 투니버스 36명, KBS 17명, MBC 9명, CBS 1명.[7] 참고로 비슷한 시기 방영된 세토의 신부 역시 더빙 방영이었지만 일본어 원곡이 그대로 나갔다.[8] 유튜브를 통해 풀버전이 공개되었다 #[9] 블리치 연출은 아니었으나, 2기 오프닝을 제외한 모든 노래를 작사했다.[10] 원어판 4기 오프닝이 그대로 쓰였다.[11] 비슷한 예로 투니버스의 바통을 이어 방영한 록맨 에그제 시리즈주연 성우 2명(이선호, 이지영)만 제외하고 나머지 성우는 다 교체돼서 방영되었다.[12] 심지어 주인공 성우인 신용우마저 여러 조·단역을 돌려 맡았다. 이는 예전부터 최옥주 PD가 많이 지적받은 문제점 중 하나다. 다만 투니버스판 역시 신용우를 제외한 주연 성우에게도 중복이 있긴 했다.[13] 제일 대표적인 사례로 소이퐁 대신 이 역할을 맡은 성우가 있다.[14] 참고로 원래 투니버스판에서 히라코를 맡기로 했던 성우는 강수진이었다.[15] 일반적으로 한국에 방영되는 애니의 경우 일본에서 보내온 논크레딧 영상을 바탕으로 작업한다. 오프닝 맨 끝에 나오는 제작: TV 도쿄, 덴츠, 스튜디오 피에로가 뜨지 않고, 엔딩 곡의 경우 논크레딧으로 방영했던걸로 보아 영상 자체는 논크레딧 영상을 받아온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블리치는 몇몇 오프닝에서 일반적인 자막 형태의 크레딧이 아닌 영상과 섞인 타이포그래피에 가까운 크레딧을 선보인다는 건데, 애니맥스나 영상네트워크에서는 이를 자금력이 풍부한 투니버스마냥 적극적으로 수정할 여력이 없었던 걸로 보인다. 자금력이 충분한 투니버스가 2기 오프닝을 대대적으로 화면 수정한것이 시청자 입장에선 당연한 것이지만, 일반적인 방송국에서는 그냥 대일러문마냥 간단한 화면수정만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찌보면 이례적이라 볼 수도 있다. 다만 네기마!?때나 일부 애니맥스 코리아/동시방영작과 같이 한글 표기를 병기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볼 수 있다.[16] (본뜻) 연인들은 숨은 을 찾고 있어 → (오역) 연인들은 숨은 얼굴을 찾곤 해.[17] 그 외, 영어가 포함되어 있는 너의 Fighting Pose 보여주자에서 억지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려다가 씩씩한 너의 모습 보여주자 같은 오역도 나왔다.[18] 개국 무렵부터 애니플러스 동시방영작을 어느 정도 봐 온 시청자라면 잘 알겠지만, 애니플러스는 자막방송에 특화된 방송사라 그런지 오프닝 타이틀 로고 한글화 퀄리티는 다른 방송사들에 비해서는 퀄리티가 떨어지는 편이다. 자막 연출을 주로 외주로 때우던 2010년 상반기 때도 그런 편이었지만 자체제작으로 전환한 이후로도 여전하다.[19] 전자는 투니에서 더빙판으로 방송했던 작품을 대원에서 자막판으로 재방송한 경우, 후자는 TV판은 투니에서 더빙판으로 방송했지만 OVA는 대원에서 자막판으로 방송한 경우.[20] 천년혈전 편에서는 없다.[21] 아무래도 분량이 짧아서 섭외가 수월했던 것 같다.[22] 아란칼 편을 할 때 돌아왔다.[23] 타카하시 모토스케는 이 작품이 유작이다. 방영 중에 사망. 블리치란 작품에 상당한 애정이 있었다고 한다. 미즈노 카즈노리도 이 작품을 주로 하다 죽었다.[24] 주연은 쿠보가 직접 캐스팅했고, 몇 명은 자신이 관여하지 않았지만 대부분 마음에 든다고 한다.[25] 팬클럽 Q&A에서 애니와 원작 간에 등장인물의 거리나 관계성이 다르다고 느낀 적이 있냐는 질문이 오자, 소울 소사이어티편 즈음까진 계속 “이렇게 바꿔대면 결말부 스토리하곤 앞뒤가 안 맞게 되는데 모르겠다ー”라고 생각하며 시청했으며, 제작진이 너무나도 캐릭터성을 파악 못해서 아란칼편 즈음부턴 대본을 체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26] 또 다른 Q&A에서 정확히는 바운트 편부터 수록 직전의 대본을 받아서 원작 캐릭터의 대사만 체크했다고 밝혔다.[27] 다만 쿠보 말로는 쿠도 마사시는 캐릭터 디자인을 할 때 자신의 말을 잘 들어줬다고 한다. 그래서 블리치 천년혈전 편을 만들면서 스태프를 물갈이할 때도 쿠도 마사시는 쿠보의 요청으로 유임되었다.[28] 가장 인기있었던 소울 소사이어티 편의 작화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었던 이유가 이 두 사람이 린의 날개 한다고 하필 그 시기에 빠졌었기 때문이었다.[29] 구판 최종화.[30] 극장판은 이미 기존에 블루레이 버전이 있었다.[31] 원래 더 일찍 발매될 예정이었으나 데이터 오류가 생겨서 늦어졌다고 한다.[32] 1탄이 사신대행 편 + 소울 소사이어티 편, 2탄이 아란칼 편 초반 + 과거편, 3탄이 아란칼 편 후반 + 사신대행 소실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4:12:00에 나무위키 블리치(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