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파일:league icon.png리그 오브 레전드
League of Legends
||
파일:lol-logo-rendered-hi-res.png
개발라이엇 게임즈[1]
유통파일:세계 지도.svg 라이엇 게임즈[2]
파일:중국 국기.svg

텐센트[3]
플랫폼Windows | macOS[4][5] | GeForce NOW[6]
장르MOBA, AOS
엔진자체 개발 엔진[7][8]
출시
[ 펼치기 · 접기 ]
2009년 10월 27일(14주년)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0년 7월 13일[1]
파일:ASEAN 깃발.svg 2010년 7월 17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2011년 8월 25일
파일:중국 국기.svg 2011년 9월 22일
ta-hash-start=w-38e54247e7c88cc9f6eb8e59779bddcd[[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년 12월 4일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2년 9월 13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2년 9월 27일
ta-hash-start=w-9c595ff7606eeb94f25fd59f2471a095[[파일:러시아 국기.svg 2013년 4월 17일
파일:남아메리카 연합 깃발.svg 2013년 6월 5일[2]
파일:호주 국기.svg 2013년 6월 28일
ta-hash-start=w-2681c753b582ca0d48152fddd38593f7[[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3월 1일
[1] 북동부(EUNE), 서부 서버(EUW) 모두 포함.[2] 북부, 남부 서버 모두 포함.
한국어 지원자막, 음성 한국어화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9]
해외 등급파일:ESRB Teen.svg ESRB T
파일:PEGI 12.svg PEGI 1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
2. 시스템 요구 사항
3. 게임 관련 정보
8. 평가
9. 패치 내역
10. 역대 BI(로고)
12. 성우
13. 게임 외 정보
13.1. 운영자
13.3. 서비스 국가
17. 기타
18. 관련 문서
19. 외부 링크
19.1. 한국 커뮤니티



1. 개요[편집]


개인의 숙련도와 팀 시너지를 조합하는 5대5 MOBA,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플레이어님의 실력을 선보이세요. 포지션을 선택하고, 아이템 빌드를 완성하고, 맵에서 치열한 전투를 펼쳐 적의 넥서스를 파괴하세요. 무한한 플레이 방식을 가진 150명 이상의 챔피언 중 자신만의 챔피언을 찾아 승리를 쟁취하세요.

중국 텐센트 산하 게임 회사인 라이엇 게임즈가 개발 및 서비스 중인, 5명의 플레이어가 각자 다른 포지션에서 성장을 통해 아이템과 레벨을 올려 상대의 기지를 파괴하는 MOBA 장르[10]게임. 게임 명칭의 앞 철자들을 따서 LoL(롤)[11], 영어권에서는 League[12] 등의 약칭으로도 불린다.

이전까지 있었던 MOBA(AOS) 게임들보다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으로 높은 인기를 얻었고 현재는 전 세계를 통틀어 굉장히 많은 유저들을 보유중인데 PC 게임 중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하는 게임 중 하나이며 2016년 기준 월 플레이어 수 1억 명 이상을 달성했고, 2019년 8월 기준 하루 전 세계 서버의 피크 시간 동시 접속자 수를 합치면 800만 명 이상이다. 또한 전 세계 E스포츠 대회 중 가장 많은 시청자 수 기록을 보유 중인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과 각 지역 리그 등 수많은 e스포츠 대회가 많이 개최되는 중이다. 그리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 공식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대한민국에서는 언제나 PC방 점유율 1위를 놓치지 않는 최고의 인기 PC게임으로, 주로 청소년층과 젊은 성인층을 중심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어 단순히 PC게임을 넘어 대한민국 청소년 문화를 상징하는 요소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2. 시스템 요구 사항[편집]


공식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최소 사양권장 사양
Windows
CPUIntel: Core i3-530 / AMD: A6-3650 / ARM: 미지원Intel: Core i5-3300 / AMD: Ryzen 3 1200 / ARM: 미지원
CPU 기능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
RAM2 GB4 GB
여유 저장 공간HDD 16GB 이상SSD 16GB 이상
그래픽 카드NVIDIA GeForce 9600GT
AMD HD 5670
Intel HD 4600 내장 그래픽
(비디오 메모리 1GB 이상 및 다이렉트 X 10급 하드웨어)
NVIDIA GeForce 560[13]
AMD HD 6950[AMD]
Intel UHD 630 내장 그래픽
(비디오 메모리 2GB 이상 및 다이렉트 X 11급 하드웨어)
권장 그래픽 설정해상도: 1024 x 768, 품질: 낮음해상도: 1920 x 1080 , 품질: 높음
운영체제Windows 7, 8, 10 (x64)Windows 10 (x64)
macOS
CPUIntel: Core i5-750 / ARM: 미지원Intel: Core i5-3300 / ARM: 미지원
CPU 기능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SSE3 이상의 명령어 지원
RAM2 GB4 GB
여유 저장 공간HDD 16GB 이상SSD 16GB 이상
그래픽 카드AMD HD 6570
Intel HD 4600 내장 그래픽
(비디오 메모리 1GB 이상 및 다이렉트 X 10급 하드웨어)
AMD HD 6950[AMD]
Intel UHD 630 내장 그래픽
(비디오 메모리 2GB 이상 및 다이렉트 X 11급 하드웨어)
권장 그래픽 설정해상도: 1024 x 768, 품질: 낮음해상도: 1920 x 1080 , 품질: 높음
운영체제MacOS 10.12 이상 (x64)MacOS 10.16 이상 (x64)
더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볼 수 있다. 2021년 9월 5일자 기준으로 권장 시스템 사양 기준이 새롭게 정리되었다.

[ 2021년 9월 5일 개편 이전 요구 사양 펼치기 * 접기 ]

공식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최소 사양권장 사양
Windows
CPU3 GHz[1]
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
3 GHz 듀얼 코어
RAM2 GB4 GB
HDD12 GB16 GB
그래픽 카드Shader 버전 2.0b 지원
DirectX 9.0c 지원
NVIDIA GeForce 8800
AMD Radeon HD 5670
(512 MB VRAM)
운영체제Windows 7, 8, 10Windows 7, 8.1, 10
macOS
CPU3 GHz
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
3 GHz 듀얼 코어
SSE2 이상의 명령어 지원
RAM2 GB
(4 GB 적극 권장)
4 GB
HDD5 GB10 GB
그래픽 카드NVIDIA GeForce 8600M GT[2]
AMD Radeon HD 2600
NVIDIA GeForce GT 330M
AMD Radeon HD 4670
운영체제Mac OS X 10.10Mac OS X 10.13

[1] 실제로는 터보 부스팅이 가능한 2GHz 미만의 듀얼코어 CPU로도 FPS 60정도는 확보된다. 상당히 최적화가 잘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래픽이 그다지 좋지 않은 초창기엔 좀 미묘했지만.[2] 8800GS ≒ 8600GT급이면 원활하게 돌릴 수 있다. 7만 원짜리 GT730(≒ 9800GTX)만 달아도 중상옵까진 쌩쌩하다. 심지어는 인텔 데스크톱 CPU나 모바일 CPU의 M 버전에 붙는 HD 4600으로도 돌아가며, 그보다 상위인 브로드웰, 스카이레이크 내장 그래픽 역시 안 돌아갈 리가 없다. 결론은 HD 4600급 내장 그래픽이면 무리 없이 돌릴 수 있고, 현재는 AMD 레이븐 릿지 2200G 내장 그래픽으로 FHD 풀옵션까지 무난하게 돌아간다.

2021년 9월 5일 공식 요구 사양 개편 이전까지의 표기 값은 '클라이언트 실행'에 필요한 사양이었으며, 실제 플레이 사양 또한 높아진지 꽤 오래됐었다. 물론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피파 온라인 4 등 비교적 최근에 나온 게임들에 비하면 저 요구 사항도 저사양에 속한 지라 옵션 타협만 잘하면 무리 없이 플레이할 수 있었던 건 똑같았다.

[ 과거 서술된 실질 요구 사양 펼치기 * 접기 ]
2021/9/5 이전 실질 플레이 시스템 요구 사항(Windows)
구분솔로잉 권장 사양한타 권장 사양
CPU인텔 코어2쿼드 2.66GHz
AMD 페넘2 x3 3GHz(AM2+)
AMD 애슬론2 x3 3.2GHz(AM3)
인텔 샌디브릿지 i3
RAM6 GB8 GB
그래픽 카드NVIDIA GeForce 9600GT D3
ATI Radeon HD4850
(512 MB VRAM)
NVIDIA GeForce GTS 450
AMD Radeon HD 5750
(1GB VRAM)
운영체제Windows 7, 8.1, 10 64비트Windows 7, 8.1, 10 64비트

32비트 게임인 주제에 램을 엄청나게 퍼먹기 때문에, 램 4GB로는 32비트 윈도우든 64비트 윈도우든 시스템에 굉장히 부담이 많이 걸리며 정상적인 장시간 플레이가 어렵다. 플레이는 한다고 해도 후폭풍이 크다. 32비트 OS에서 램 4GB 장착 시 램 용량 3.5GB 인식되는 메인보드에 저사양용 임베디드 계열 32비트 윈도우를 깔고 인식되지 않는 0.5GB도 주소 확장 영역 설정하고 램디스크로 만들어 페이지 파일 가상 메모리 활용 우선순위로 잡아주고 HDD에 보조 가상 메모리까지 지정해 주고 나서야 그나마 가상 메모리 버벅임이 최소화되어 램 4GB로 원활하게 플레이가 된다. 해서 64비트 OS에 램 6GB는 기본이고, 브라우저나 플러그인을 같이 돌리려면 8GB가 필요하다.

2023년 4월 5일부터는 32비트 운영체제의 지원이 종료되며 64비트 운영체제에서만 실행이 가능하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CPURAM 요구 사양에 비해 GPU는 굉장히 널찍하다는 점이다. CPU, RAM이 충분하다면 내장형 인텔 GPU로도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i5-6200U, 8GB RAM, 인텔 HD 520 노트북으로 상옵 70+프레임이 나온다. 물론 같은 조건이라도 컴퓨터 최적화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Ctrl+F로 한타 교전 시의 프레임을 확인하고 옵션 수준을 정하면 된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큰 인기를 얻게 된 이유 중 하나이다. 웹서핑 및 문서 작성용으로만 만들어진 저사양 사무용 노트북도 해상도 조절, 낮음 ~ 중간 그래픽 타협만으로도 60프레임 이상을 찍는 것은 물론이며 설령 프레임이 20 ~ 30대까지 낮아지더라도 한타 싸움에 심각한 지장을 줄 정도로 안 좋아지지 않기 때문.

엔진 자체가 구형인 탓인지 네이티브 쿼드코어 이상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편이다. 원래는 듀얼코어로도 잘 돌아갔지만 어느 시점 이후로 CPU 점유율이 크게 증가해서 듀얼코어 펜티엄으로는 한타도 어렵게 되어버렸다. 현재 엔진은 인텔 코어 2쿼드, AMD K10-II x3, 인텔 2세대 이상 i3에서 이용 효율이 높다.(즉 트리플코어 또는 듀얼코어+@x2 스레드에 최적화되어있다.) 인텔 1세대 i3로는 제대로 구동이 되지 않는다.

2022년 기준으로는 인텔 2세대, 3세대 i5에서도 롤의 사양 상승으로 인해 최소 프레임 급락, 로딩 시간 증가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ARM 프로세서를 공식 지원하지는 않지만 로제타 2를 이용한 에뮬레이션을 통해 Apple Silicon을 탑재한 Mac에서도 생각보다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하다.[14] 10.23 패치로 Metal을 지원하는데, 클라이언트를 수정해서 Metal을 사용하도록 설정해 줘야 한다.적용 방법. 미적용 시 구버전 OpenGL로 돌아가서 프레임 드랍이 있으니 꼭 적용해 주자. Windows on ARM실행 자체는 가능하지만 프레임은 만족스레 나오지 않아 그냥 실행이 가능하다는 자체에 의의를 둬야 할 수준. 기글하드웨어 리뷰에서는 8cx를 최소 사양으로 잡고 있다.

3. 게임 관련 정보[편집]



3.1. 시스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시스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모드[편집]


모드는 항상 열려있는 무작위 총력전(칼바람 나락)과,
이벤트성으로 여는 우르프, 돌격 넥서스!, 단일 챔피언, 궁극기 주문서 등이 있다.


3.2.1. PVP[편집]



3.2.1.1. 일반 게임[편집]

기본적으로 빠른 대전 게임(비공개 선택)은 유저 10명이 5 vs 5로 팀을 나눠서 진행된다. 포지션, 챔피언, 룬, 스펠 등을 선택하고 진행된다. 자랭을 돌리지 못하는 4인 큐의 정치질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북미 서버에는 일반 (교차 선택)이 존재하여 랭크 게임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이 가능하다.[15] 챔피언 보유수가 로테이션 포함 20개 이상일 경우 해금 가능하다.


3.2.1.2. 랭크 게임[편집]

파일:Tiers.jpg

소환사들의 티어 변동에 영향을 주는 게임으로, 2018 시즌까지는 브론즈/실버/골드/플래티넘/다이아몬드/마스터/챌린저의 티어가 있었고 브론즈부터 다이아몬드 티어까지는 각각의 티어를 세분화한 단계가 1단계(가장 상위)부터 5단계(가장 하위)까지 있었다. 2019 시즌부터는 아이언/브론즈/실버/골드/플래티넘/다이아몬드/마스터/그랜드 마스터/챌린저로 구분되며 2023년에는 다이아몬드 하위 티어인 에메랄드 티어가 도입되었다. 아이언부터 다이아몬드 티어까지의 단계 구분이 4단계로 줄어들었다. 랭크 게임 플레이 조건은 기존의 만렙이었던 30레벨 이상이고, 자신이 직접 소유한 챔피언 20개 이상[16]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선 1년이 1시즌이다. 이는 다른 게임들과 비교하면 긴 기간이다.[17] 배치를 받은 후 시즌이 끝날 때까지 랭크를 올리는 것이 랭크 게임의 주 플레이 목적으로, 시즌 종료 후 프리시즌까지 종료되면 다시 배치 게임을 치러야 한다.[18] 물론 저번 시즌에 받은 최종 랭크를 반영하여 배치 게임 점수가 계산되기 때문에 높은 랭크를 달성했다면 다음 시즌을 좀 더 유리하게 플레이할 수 있다.

배치 게임은 2018 시즌까지는 모든 배치 게임을 치른 후 최종 랭크가 나오는 방식이지만 2019 시즌부터는 '임시 랭크'라는 게 생겼다. 임시 랭크란 첫 번째 배치 게임을 치르면 받는 랭크로, 저번 시즌의 최종 랭크를 반영해 계산된다. 임시 랭크를 받고 이후 랭크 게임을 돌리게 되면 배치 게임 도중에는 승리 시 약 60LP를 얻고(승리 횟수가 누적될수록 얻는 LP의 양이 30점대까지 감소한다.), 패배 시 LP를 잃지 않는다. 승급전은 치르지 않는다. 따라서 임시 랭크 이하로는 배치 게임 도중 랭크가 강등되지 않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랭크 게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3. 특별한 게임 모드[편집]

특정 기간 동안 기존과는 색다른 규칙이나 전장에서 플레이하는 모드. 대표적으로는 U.R.F (우르프) 모드, 단일 챔피언 모드가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특별한 게임 모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4. 전략적 팀 전투[편집]

속어로 롤토체스라고도 한다. (롤+오토체스 tf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인공지능(AI) 대전[편집]


인공 지능 대전은 입문과 초급, 중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초급은 단순한 이동과 스킬 사용이 전부인 반면 중급 AI는 적절한 이동과 적절한 스킬 사용을 한다. 소환사 주문도 사용하니 초심자에게는 힘들 수도 있다.

롤을 처음 시작하는 유저들은 실제 유저들과 하기 전에 충분한 연습을 인공 지능 대전에서 하는 것을 추천한다.[1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AI 상대 대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3. 사용자 설정 게임[편집]


특정 유저들끼리만 모일 수 있고, 어떤 방식으로 픽할지도 봇 등을 임의로 채워 넣을 수도 있으므로 색다른 룰이나 특정 챔피언/스킬을 연습/연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학생들의 경우엔 학급별 반 대항전, 5대5 반 내전 등 다수의 친구들과 즐길 수도 있다. 인원이 부족하면 봇을 끼워 넣을 수 있다. 봇의 포지션을 지정해 주고 싶으면 번호에 따라 바텀 > 탑 > 미드 > 바텀 > 탑 순으로 넣으면 된다.[20] 서버 상태가 좋지 않으면 10명이 모여야만 게임을 할 수 있게 막아 두는 경우도 있다.

해당 모드에서 행해졌던 대표적인 커스텀 게임 모드로, 모두가 랜덤 캐릭터로 미드에 모여서 싸우는 아람(ARAM, All Random All Mid)이 있겠고[21], 나이스게임TV에서 선보였던 용을 가장 먼저 먹는 팀이 승리하는 용 챔스, 비공식 미니게임인 문도 피구 등이 있다.


3.2.4. 연습 모드[편집]


플레이 조건은 레벨 9 이상. 모든 스킬 쿨타임 초기화, 체력, 자원 초기화, 순간 이동, 즉시 레벨 업, 즉시 10000골드 획득, 여신의 눈물 풀스택 충전 등 여러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최대 1시간 동안 플레이할 수 있다.

연습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샌드백인 '연습모드 봇'에게 매우 버그가 많다. 단일 공격(스킬 포함) 데미지가 최대 900으로 고정되어 있다던가, 타수가 많은 스킬로 타격하면 데미지 표기가 2배가 되는 버그가 있다던가, 일정 체력과 방어력을 넘기면 장로 브레스에 처형되는 등.


3.3. 게임 모드[편집]


||




3.4. 챔피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제목 배경색 틀 🔶🔶
## 🔶🔶 제목 본 내용 틀 🔶🔶
파일:league-of-legends.png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 목록
가나다순 정렬
  [  펼치기 · 접기  ]  
## 🔶🔶 문단 시작(1) 🔶🔶
파일:_portrait.png




리그 오브 레전드의 오랜 흥행의 첫 번째 이유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는 다른 MOBA 게임과는 비교를 불허하는 많은 숫자의 챔피언이 있어 유저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밸런스가 엉망이라는 평가를 듣고 있다. 매번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다는 명목의 패치를 진행하지만 몇 년씩이나 상위권을 차지하는 챔피언(다리우스, 피오라, 카밀, 이렐리아, 사일러스, 블리츠크랭크)이 있는 반면 몇 년 동안 하위권에 박혀 있는 챔피언(스카너, 코르키)이 있는 등 밸런스 자체에 대한 평가는 그리 좋지 못하다. 그래도 2주마다 패치를 진행하고, 게임을 하다 보면 돌고 돌아 고인이 되었던 챔피언이 다시 상위권에 오르는 경우는 자주 있다. 밸런스 조정을 할 필요가 없는 황금 밸런스 게임은 아니지만 로테이션을 돌려가며 메타가 변한다고 보면 된다.

밸런스에 대한 비판은 리그 오브 레전드/문제점 및 비판을 참고.


3.5. 아이템[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몬스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몬스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전략[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용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용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개발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개발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세계관[편집]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는 세계관 개편 중이며 마블 코믹스와 협력 등으로 확장하고 있다. 총 13개의 나라가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 유니버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네마틱[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리그 오브 레전드/시네마틱#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e스포츠[편집]


||



Welcome to LoL Esports

라이엇이 직접 주최,주관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e스포츠는 여러 지역에서 흥행을 일으켰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은 세계적인 e스포츠 게임으로 자리 잡았다.




8. 평가[편집]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메타스코어유저 평점



매년 게임 시스템이 대격변하는 수준의 시즌 패치가 진행되고, 그 시즌 내에서도 수십수백 번 메타가 바뀌고 시스템이 바뀌기에 패치 한번, 추가 컨텐츠 하나하나에도 수많은 호불호와 의견이 오가는지라 평가를 딱 잘라 내리기가 어렵다. 하지만 출시 초반 거의 인디 게임에 가까웠던 소규모 게임을 꾸준한 업데이트와 개선으로 환골탈태시켜 현재까지 끌어올렸다는 점은 꽤 높은 평가를 받는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하는 게임 중 하나이며 e스포츠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 평가로 타임지 선정 2010년대 10대 비디오 게임에 선정되었다.[22]


9. 패치 내역[편집]






10. 역대 BI(로고)[편집]


파일:롤 오픈베타.png파일:롤 로고 수정전.png파일:롤 로고 수정후.png파일:리그 오브 레전드.png
20092009 ~ 2013. 10.2013. 10 ~ 20192019 ~


11. 패러디[편집]


패러디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일본 서브컬처 오타쿠적인 패러디들의 비율이 많아지는 중.




12. 성우[편집]


챔피언의 성우는 각 챔피언 문서 및 링크 참조.


13. 게임 외 정보[편집]



13.1. 운영자[편집]


아이디가 GM 또는 Riot에다가 챔피언명을 붙이는데, 해당 챔피언의 특징을 흉내내서 대답한다.GM 뽀삐 빼고[24] 가령, GM 타릭은 게이 같아 보이는 농담을 한다거나, GM 녹턴은 문제가 발견되면 피해 망상으로 바로 달려온다는 말을 하고 GM 티모는 녹서스가 밴들 시티를 칠 것 같다는 컨셉의 문의를 보내오자 GM 일을 하고 있어 전쟁에 참가하지 못하니 직접 버섯을 깔아달라는 식.
GM케넨. 돌진 시 소리를 낸다.
GM나서스. 유저를 위해 농사까지 포기하면서 미드로 간다. 운영자들 중 가장 센스 있는 답변으로 유명하다.
GM샤코. 맨탈갱킹

그 외에도 재치 있는 답변으로 유명하다. 수학 문제를 물어보니 그 문제를 직접 풀어 답해줬으며, 챔피언을 그려달라고 하니 직접 그려줬다고 한다. 심지어 누군가 결혼을 한다며 문의를 보내자 그 사람 홈페이지 방명록에 GM들이 일일이 센스 있는 축하글을 올려주고 심지어 GM들이 결혼 축하 메시지를 써넣은 친필 액자까지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테란놈들 때려잡는 법을 물어보는 문의에는 다른 게임인 스타2 강좌를 해주기도 했다고(...)


또한 유니버스, 넥서스, 인터뷰 등으로 끊임없이 유저와 소통한다. 자신들의 모습을 다큐멘터리로 보여주기도 했다.

Live / Play : 살며, 게임하며

한국 문화재 홍보 사업도 하고 있다.

2014년 1월 7일 라이엇 게임즈1730년대에 만들어져 일제 강점기 때 외국으로 무단 반출된 조선시대 불화 문화재를 한국에 반환했다. 그 외에도 성균관 개선/측량 사업과 문화재청 11억 원 기부 등의 일을 하고 있다.

라이엇 게임즈는 2014년 2월 20일부터 ‘티모와 함께하는 문화유산 정찰대’ 모임이란 걸 만들었다.# 롤 공식 홈페이지에서 정찰대로 지원할 수 있으며, 선발되면 티모 피규어와 함께 주변의 문화유산을 찾아보고 사진을 촬영해 사람들이 볼 수 있게 올리는 임무를 수행한다. 티모 피규어, 티모 모자, 바론 쿠션 등으로 이뤄진 ‘정찰대원 증표 세트’가 제공되며 디지털카메라 등의 최고 정찰대원 포상 등도 지급된다고 한다. 아예 맘먹고 하려는 것인지 LoL이 서비스되는 모든 국가에서 동시에 시작되며, 타 국가나 지역 정찰대의 활동도 확인할 수 있도록 특별 웹 페이지도 따로 만들 예정이라고 한다.


13.2. 흥행[편집]


여러 나라에서 인기가 있는 편이지만, 대한민국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13.3. 서비스 국가[편집]


북미, 동유럽, 서유럽, 북유럽, 대한민국, 중국, 대만, 필리핀,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러시아, 터키, 남미, 중미, 일본

신규 서버를 런칭할 때 해당 국가에 해당하는 스킨이나 챔피언, 소환사 아이콘 등을 주기도 했다.

현재 이란과 시리아는 리그 오브 레전드 접속이 제한되어있다.


14. 문제점 및 비판[편집]





15.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16. 서버 폭파 기록[편집]





17. 기타[편집]





OST - League of Legends
각 로그인 화면이나 대회에서도 조금씩 바뀌어 사용되며, 심지어 챔피언의 귀환 시, 스킬 시전 시에도 있기도 하다.(팝스타 아리, DJ 소나)




다만 애니, 영화화와는 별개로 롤은 만화나 웹툰으로는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큰 편인데, 실제로 네이버에서 롤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콜라보레이션 웹툰인 얼어붙지 않는 심장이 연재되기도 하는등 이미 만화나 웹툰으로는 그 가능성을 인정받은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25]









파일:리그오브레전드-게임패스.png◇ 모든 챔피언 제공
◇ 출시 당일에 신규 챔피언 바로 제공
◇ 20% 경험치 부스트 적용
◇ 2023년 1월 1일까지 라이엇 계정을 Xbox 계정과 연동한 사람에게 '명품 상자와 열쇠' 특별 보상 제공
◇ 2023년 6월 2일까지 라이엇 계정을 Xbox 계정과 연동한 사람에게 '징크스 이모티콘' 특별 보상 제공

18. 관련 문서[편집]






19. 외부 링크[편집]






19.1. 한국 커뮤니티[편집]






[1] 중국의 기업 텐센트의 직속 산하 게임 개발사. 2011년 이후로는 라이엇 게임즈의 지분마저도 중국텐센트가 100% 소유하게 되었다.美, 텐센트의 심장 게임까지 저격...中 IT기업 전방위 압박[2] 가레나에서 서비스하던 대만 및 동남아 서버는 중국과는 다르게 2023년부터 라이엇이 직접 운영한다.[3] 중국 서버는 텐센트가 직접 관리한다. 중국 서버의 시즌 주기, 서버 시스템, 크로마 스킨, 헌정 스킨이 가능한 이유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중국 정부의 게임 산업에 관한 특별한 정책으로 인해 스토리나 스킨 등 문화 여러 방면에 검열이 들어가기에 텐센트가 직접 서비스,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4] 북미 서버에서는 iBlitzcrank 스킨과 함께 오픈 베타 버전이 출시됐고 2017년 10월 25일 7.21 버전부터 국내 서버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7.21 패치 전에는 북미 클라이언트를 수정하여 사용을 해야 했으며 게임 중에는 자음과 모음이 분리되어 출력되는 현상이 있었다. #[5] Apple Silicon은 공식 지원하지 않지만 구동에 큰 문제는 없다.[6] 클라우드 버전[7] C++, C#, Java(자바와 일부 프레임워크(Framework)) 등 여러가지 개발 언어를 사용한 자체 개발 엔진을 사용한다.[8] 클라이언트의 일부에 Chromium Embedded Framework가 사용되었다.[9] PC. 폭력성 포함.[10] 해외에서는 라이엇 게임즈가 쓰기 시작한 MOBA 장르로 통용되고 국내에서는 AOS 장르로 통용된다.[11] 초기에는 '엘오엘' 또는 '리오레'라고 불리기도 했다. 리오레(Liore)라는 명칭은 롤 한국 서버 생기기도 전에 쓰이던 극초기 용어라 완전히 사장되었으며, 지금 쓰면 그 시절 플레이했던 유저가 아닌 이상에야 못 알아듣는 게 일반적이며, 리스크 오브 레인의 줄임말로 더 많이 쓰인다. 엘오엘은 전자와는 달리 아직도 동양 대부분의 국가에서 쓰이며 현재도 한국에서 가끔씩 프로 리그에서 해설진들이 간간이 쓴다.[12] LoL Esports와 같이 문어체로는 (특히 라이엇 등에서 공식적으로 약칭을 사용할 때) LoL 또한 많이 사용하며, 구어체로 리그 오브 레전드를 지칭할 때 League를 자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3] Geforce GTX 560[AMD] A B AMD Radeon HD 6950[14] M1칩 기준 Metal 적용 시 최상옵에서 60프레임이 나온다.[15] 때문에 국내 서버에서도 챔피언 파편을 주는 미션 중 ‘교차 선택’ 1회 플레이가 있었는데 어느새 다른 미션으로 교체됐다.[16] 랭크 게임에서는 모든 플레이어가 한 개씩의 챔피언을 금지하고, 금지된 챔피언과 상대 팀을 포함한 다른 플레이어가 선택한 챔피언을 선택할수 없으므로 최소 20개의 챔피언이 요구된다.[17] 피온4는 1달마다 1시즌, 오버워치 같은 경우는 2달마다 1시즌, 거의 모든 게임들의 시즌 교체 주기가 2~3달 주기이니..[18] 솔랭과 자유랭 모두 10판이다.[19] 하지만 봇들이 정글/에픽 몬스터는 사냥하지 않으며 게임을 라인전 위주로만 진행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봇전을 플레이하는 유저들의 목적이 단순히 판수를 채우기 위해서인 경우도 많으므로 제대로 연습이 되지 않기도 한다. 초보 유저들을 위한 오픈 채팅방도 있으니 그곳에서 큐를 구하는 것 또한 도움이 된다.[20] 봇이 윗 순번이고 플레이어가 그다음이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봇 4명, 플레이어 1명이면 플레이어가 봇 5번으로 취급된다.[21] 현재 칼바람 나락으로 계승되어 공식 게임 모드가 되었다.[22] 여기에는 마인크래프트, 다크 소울,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포탈 2, Grand Theft Auto V,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등 전설의 게임들이 있다.[23] 북미 서버는 Phreak & Kobe.[24] 매크로 답변으로 유명한 운영자이다.[25] 라이엇과 디즈니 정확하게 말하면 마블이 협상을 했는지 애쉬의 단독 만화가 나왔다.[26] 롤 게임단의 감독이 여주인공인 작품이다. 작가도 롤을 한다고 했고, 롤 입문 소설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쏠쏠한 정보들을 내포하고 있다.[27] E스포츠가 주 소재인 롤갤과 다르게 랭크 게임, 챔피언, 아이템 등 순수 게임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