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 해리하우젠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레이 해리하우젠
Ray Harryhausen
본명레이먼드 프레데릭 해리하우젠
Raymond Frederick Harryhausen
출생1920년 6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사망2013년 5월 7일 (향년 92세)
영국 잉글랜드 런던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영화 제작자, 애니메이터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서명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필모그래피
5.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특수효과 기술자로, CG라는 것이 없던 시절에 정교하고 생동감 넘치는 스톱 모션 특수효과로 명성이 자자하다.


2. 생애[편집]


1920년 6월 29일 미국 LA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영화 킹콩잃어버린 세계를 보고 감탄해서 영화계에 입문했다. 10대 후반에 킹콩과 잃어버린 세계에서 스톱 모션 효과를 맡은 윌리스 오브라이언(1886~1962)의 제자가 되어 그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스톱 모션을 터득하고 연습했고, 20대에 이르러 보조로 활동하며 영화계에서 일하게 됐다.

레이 해리하우젠이 최초로 특수효과 전체를 담당한 영화는 1953년에 개봉한 심해에서 온 괴물이다. 이 영화를 시작으로 여러 sf영화와 판타지 영화에 스톱 모션 효과를 담당하면서 할리우드에서 명성을 쌓았다. 1970년대까지 영화계에서 특수효과를 맡아왔지만 1980년대에 들어와 애니매트로닉스 기술이 발달하고 컴퓨터 그래픽이 부상하면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자 1981년작인 타이탄의 멸망을 끝으로 영화 업계에서 은퇴했다.

그후론 몇몇 영화에 카메오로 출연하거나 여러 서적을 쓰거나 과거 자기가 특수효과를 맡았던 영화들의 복원 작업에 참여하면서 조용히 살다가 2013년에 사망했다.

놀라운 특수효과들을 만들어냈으면서도 현역으로 활동하는 동안에는 단 한번도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수상하지는 못 했다. 영화업계에서 은퇴한 후인 1992년에 와서야 아카데미로부터 기술적인 공로를 세운 영화인에게 수여하는 고든 E. 소여상을 받았다.


3. 평가[편집]




영화 특수효과에 컴퓨터 그래픽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던 시절, 스톱 모션을 이용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동물을 스크린에서 살아있는 듯 생생하게 움직이는 장면들을 만들어서 특수효과의 신기원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리하우젠이 늘그막에 한 회고 중 영웅보다 신화 속에 나오는 몬스터, 크리쳐를 좋아하며 해당 캐릭터들의 특수효과에 열정을 더 바쳤다고 말했는데 특수효과들은 그의 열정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후배 영화인들인 스티븐 스필버그, 조지 루카스, 피터 잭슨, 팀 버튼, 존 라세터, 기예르모 델 토로를 비롯하여 많은 거장들로부터 존경받아왔고 오마쥬되고 있다.


4. 필모그래피[편집]


  • 마이티 조 영 (1949) - 거대 고릴라가 나오는 영화로 스승인 윌리스 오브라이언 밑에서 보조로 참여했다. 이 영화는 1998년 디즈니에서 리메이크되었는데 리메이크작에서 카메오로 출연했다.


  • 놈은 바닷속으로부터 왔다 (1955)

  • 지구 vs 비행 접시 (1956)

  • 지구에서 2천만 마일 (1957)




  • 달의 첫 인간 (1964)

  • 공룡 100만년 (1966) - 그의 작품들 중에서 공룡들이 가장 많이 등장하는 작품이다.[1]

  • 공룡지대 (1969) - 서부시대에 공룡이 살아있는 계곡을 무대로 한 작품.

  • 타이탄의 멸망 (1981) -그가 마지막으로 특수효과를 맡은 영화로 은퇴작이다. 900만 달러로 만들어져 미국에서만 4천만 달러를 벌어들인만큼 흥행은 성공했다. 그러나 스타워즈 같은 영화가 나온 뒤로 스톱 모션은 이제 한물갔다고 하여 영화계를 떠났다. 2010년에 타이탄(영화)으로 리메이크되었고, 속편도 나왔다.

이외에도 단편 영화와 다큐멘터리에 스톱 모션 효과를 담당했다. 그가 기획했지만 제작이 엎어져 빛을 못 본 경우들도 있는데, 가령 Evolution of the World이란 시나리오는 해리하우젠이 디즈니의 환타지아(애니메이션)를 본 뒤, 환타지아의 공룡 장면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제작을 중단시켰다.


5. 여담[편집]




  • 그래비티 폴즈에서 스톱 모션/클레이 애니메이션의 전문가 "해리 클레이모어"라는 인물이 해리하우젠의 패러디로 나온다.

  • 의외라고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레이 해리하우젠의 스톱 모션이 들어간 공룡 영화들 중에서 티라노사우루스가 등장하는 작품이 거의 없다. 공룡지대의 메인 악역 공룡인 관지알로사우루스이고,[2] 공룡 100만년에서 트리케라톱스와 싸우는 수각류는 케라토사우루스이다. 그나마 해리하우젠이 제작에 참여한 1956년에 나온 공룡 다큐멘터리 'The Animal World'에선 티라노사우루스가 나오는데[3] 알로사우루스마냥 손가락이 세 개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1:42:16에 나무위키 레이 해리하우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알로사우루스부터 시작해서 브론토사우루스, 케라토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가 나온다. 공룡 말고도 프테라노돈, 람포린쿠스, 아르켈론, 거대 이구아나가 나온다.[2] 종종 티라노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보인다.[3] 파일:꼬리질질 티라노&트리.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