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정치

덤프버전 :

||




1. 개요[편집]



2.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동두천시 CI.svg 경기도 동두천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동두천시·연천군동두천시 전역 + 연천군 전역
도의원동두천시1생연2동, 송내동, 상패동
동두천시2생연1동, 중앙동, 보산동, 소요동, 불현동


2.1. 시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동두천시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지역 특성[편집]


경기 북부 군사 도시답게 전체적으로는 보수 성향이 강하기는 한데 그런 것 치고는 민주당 계열 후보도 꽤 당선되는 등 표심을 종잡기 힘든 측면이 있다.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이 붙은 지역의 표심을 따라가는 경향도 보인다.[1]

소선거구제 시행 이후로 국회의원 선거구는 양주시(양주군)와 지역구가 묶여있었으나 20대 총선부터 양주시가 단독 선거구가 되고 동두천시는 연천군과 합쳐졌다. 2000년까지는 보수정당이 우세였으나, 2004년 열린우리당의 정성호 후보가 당선되었다. 일단 이 때도 동두천에서는 한나라당 후보가 5%P 차로 앞섰기에 여전히 판세는 다르지 않았지만, 민주당계 정당이 폭망했던 2008년 선거에서는 오히려 박빙의 표차로 통합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동두천에서 앞섰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민주통합당 정성호 후보가 동두천시에서 무려 11% 차이로 이기고 양주시에서도 이기면서 8년만에 의석을 탈환한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양주동두천 선거구에서 양주가 분리되면서 연천과 지역구가 묶이고 정성호 의원은 양주시 선거구로 이동했다. 동두천연천 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김성원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유진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고, 김성원 의원은 2020년에도 서동욱 후보를 이겨 재선 고지를 밟았다. 다만, 인구 정체로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구에서는 다시 연천이 아닌 양주와 묶여 복합 선거구(양주·동두천 갑, 양주·동두천 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고, 구역 획정에 따라 연고지가 겹치는 두 현역 의원이 맞붙을 가능성이 있다.

시장 역시 민선 1~3대에는 보수 정당 계열이 우세였고, 5기 이후로는 민주당 정당 계열이 우세하다. 1995년1998년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한나라당 방제환 시장이 당선되었고, 2002년2006년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최용수 시장이 당선되었다. 그런데 최용수 시장이 비리 문제로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으면서 2007년 재보궐선거가 치러졌고, 2006년 선거 때 열린우리당 공천으로 출마했던 오세창 후보[2]무소속으로 당선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비리 문제로 얼룩졌던 전임 시장들에 비해 시정을 큰 탈 없이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2010년에도 무소속 간판으로 재선에 성공한다.[3] 그리고 2014년에는 마침내 새정치민주연합에 복당하여 3선 고지를 밟게 되었다.

지역 국회의원과 자치단체장간의 알력 다툼 때문에 이따금씩 홍역을 앓는 타 지역과 다르게 이 곳은 민주당계 정성호 의원과 오세창 시장의 사이가 꽤 좋은 편이었다. 실제로 2007년 재보선 때는 정 의원이 오 후보에게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하라는 권유를 했고, 2010년 선거 때는 지역위원장 자격으로 공천권을 갖고 있던 정 전 의원이 무소속 오시장을 배려해 민주당의 무공천을 주도했다. 2014년 선거를 앞두고는 오 시장이 새정치민주연합에 입당한 후 정 의원이 공천을 시켜줬다. 다만 이런 밀월 관계도 20대 총선부터 정성호 의원이 단독선거구가 된 양주시에 출마하며 끊겼다.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동두천은 주로 보수 정당에 손을 들어줬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직후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6.72%p 차로 이겨 처음으로 민주당 진영이 승리를 했다. 문재인은 3개 동, 홍준표는 5개 동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행역을 낀 송내지구 인근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약 40%의 득표를 하면서 승리를 견인했다. 동 단위에서는 5개 동에서 홍준표 후보가 1위를 가져가 3개 동에서 1위를 한 문재인 후보를 앞섰으며, 투표율이 69%에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우위를 점했다. 이 지방선거는 동두천시에서 여러 모로 의미있는 선거였는데, 3선에 성공한 오세창 시장의 12년 지역 운영을 마치고 새로운 시장을 선출하는 선거였기 때문이다. 새로운 최용덕 시장도 오세창 전 시장과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으며, 도의원도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했다. 시의원은 더불어민주당 3석, 자유한국당 2석, 무소속 1석[4]으로 당선이 확정됐다. 전통적으로 접경지역인 경기 북동부 지역은 보수 성향이 강하고 보수의 텃밭으로 불렸으나, 동두천시는 이 지방선거로 더 이상 보수의 텃밭은 아니며, 정치인의 행보에 따라 정치 지형이 변할 수 있음을 보여준 유의미한 선거였다.

21대 총선에서는 현역 국회의원인 미래통합당 김성원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서동욱 후보를 8%p 차이로 꺾긴 했으나 동두천 한정으로는 51:47로 접전 양상을 보였고 같은 선거구로 묶인 연천군에서 김성원이 크게 승리하면서 당선을 확정지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민주당이 약우세를 보인 송내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김성원이 이겼으나 중앙동과 보산동을 제외하면 대부분 10%p 안팎의 접전이였다.

20대 대선에서는 전국 판세가 21대 총선에 비해 더불어민주당에 불리해졌음에도 동두천시에서는 3.6%p 차이로 총선 때와 달리 윤석열보다 이재명에게 더 많은 표를 줬다. 한편 3달 후의 8회 지선에서는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 김은혜가 경기도 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득표율로 승리했으며, 시장 선거 역시 국민의힘이 완승했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도의원 2석 중 1석은 민주당이 가져가는 등 계속해서 종잡기 어려운 갈대 같은 스윙보터 표심을 보여주는 중이다.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국회의원
동두천시·양주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덕호초선
14대
ta-hash-start=w-8412563220e0cd9cab237d8760b8882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임사빈초선[5][6]
15대
ta-hash-start=w-b651fe05fb7ed93f9b8f33ae9506662e[[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목요상3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선
양주시·동두천시
17대
ta-hash-start=w-8c01a75941549a705cf7275e41b21f0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정성호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수초선
19대
ta-hash-start=w-b4c77e5ea1c199ea6a3e78f366287262[[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정성호재선
19대
ta-hash-start=w-e98f4cb253f323b8d2372cb1b030445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영우재선
동두천시·연천군
20대
ta-hash-start=w-e6d133165d4a7f7d87a54615bd7456a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원초선
21대
ta-hash-start=w-fe71c7d9dccf6bdedc57ca778fd256d4[[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재선


파일:동두천시 CI.svg 역대 동두천시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07 재보궐
민주자유당한나라당한나라당무소속
방제환최용수[7]오세창
2010201420182022
무소속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오세창최용덕박형덕
주요 후보 득표율


4.1. 지방선거[편집]



4.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동두천시
동두천시 일원[동두천]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49f9544bb7b3c272e921c291382741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97b422c8f32c16605c5a4a1b25659b5[[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10ea3a1755e620881a860f531e75b83[[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c213106715447a94e62dbc56cf33067d[[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21,85717,5831,857748497
득표율51.37%41.33%4.36%1.75%1.16%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80,603
투표 수43,685
무효표 수1,143
투표율54.20%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경기 동두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1,857
(51.37%)
17,583
(41.33%)
1,857
(4.36%)
748
(1.75%)
497
(1.16%)
+4,274
(△10.04)
54.20%
생연1동46.29%46.43%3.95%1.94%1.39%▼0.14[8]50.09
생연2동49.25%43.57%4.25%1.52%1.40%△5.6854.72
중앙동44.65%47.92%4.32%1.21%1.90%3.27[9]49.95
보산동46.70%45.85%4.38%1.69%1.38%△0.85[10]47.98
불현동50.82%42.20%4.19%1.68%1.11%△8.6249.49
송내동55.52%37.61%4.34%1.82%0.71%17.9153.71
소요동45.41%47.69%4.14%1.54%1.22%▼2.28[11]54.55
상패동45.51%45.38%5.74%1.90%1.46%△0.13[12]51.29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50.0%38.98%8.47%1.69%0.85%△11.02
관외사전투표62.58%29.07%4.67%2.43%1.25%33.51

4.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동두천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338
(44.34%)
20,853
(53.33%)
- 3,515
(▼8.99)
39,750
(49.02%)
생연1동40.49%57.27%▼16.7845.50
생연2동44.12%53.90%▼9.7849.63
중앙동38.69%59.47%▼20.7848.64
보산동[A]39.16%58.99%▼19.8346.46
불현동[B]44.06%53.76%▼9.7343.59
송내동[C]47.87%50.07%▼2.2045.38
소요동[D]39.82%57.59%▼17.7748.89
상패동[E]42.33%55.48%▼13.1547.09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투표45.07%44.36%△0.70
관외사전투표49.45%46.96%△2.50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41.57%55.86%▼14.2949.53
동두천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최용덕박형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792
(43.01%)
21,063
(53.95%)
- 4,271
(▼10.94)
39,747
(49.03%)
생연1동37.62%59.15%▼21.5345.45
생연2동42.90%53.90%▼11.0049.61
중앙동38.72%57.64%▼18.9248.64
보산동[*A ]40.21%57.97%▼17.7646.50
불현동[*B ]42.94%54.14%▼11.2043.56
송내동[*C ]45.81%50.98%▼5.1645.36
소요동[*D ]39.43%58.45%▼19.0248.89
상패동[*E ]40.21%56.29%▼16.0947.11
후보최용덕박형덕격차
거소투표50.35%44.68%△5.67
관외사전투표48.02%48.74%▼0.72

4.2. 대선[편집]



4.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동두천시
동두천시 일원[동두천]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9,44415,73312,8083,2013,662
득표율35.22%28.50%23.20%5.79%6.63%
순위1위2위3위5위4위
선거인 수80,335
투표 수55,487
무효표 수294
투표율69.07%

19대 대선 경기 동두천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9,444
(35.22%)
15,733
(28.50%)
12,808
(23.20%)
3,201
(5.79%)
3,662
(6.63%)
+ 3,711
(△6.72)
69.07%
생연1동32.70%33.19%21.64%5.39%6.45%▼0.49[13]62.81%
생연2동32.78%30.80%24.48%5.13%6.19%△1.9869.13%
중앙동29.36%37.40%22.80%4.50%5.09%8.0462.37%
보산동29.52%36.62%23.18%5.16%5.05%▼7.1059.37%
불현동34.24%29.75%23.30%5.51%6.68%△4.4965.54%
송내동39.89%22.93%23.03%6.47%7.19%16.8671.96%
소요동29.51%35.59%23.48%4.84%5.45%▼6.0865.71%
상패동29.36%33.99%25.33%5.33%5.53%▼4.6364.9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26.18%28.79%33.51%3.66%5.24%7.33
관외사전투표44.39%16.20%21.67%8.29%8.77%△19.72
재외투표53.09%11.52%16.05%4.94%13.17%△37.04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동두천시·연천군[14][15]33.27%30.24%23.45%6.10%6.27%3.0370.58%

4.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동두천시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8,495
(49.96%)
26,434
(46.34%)
+ 2,061
(△3.61)
57,532
(70.96%)
생연1동48.28%48.35%▼0.0866.21
생연2동50.31%45.95%△4.3670.39
중앙동45.19%51.85%▼6.6667.36
보산동[*A ]45.86%50.24%▼4.3967.61
불현동[*B ]50.10%46.40%△3.7066.02
송내동[*C ]52.99%43.76%△9.2471.63
소요동[*D ]46.17%50.25%▼4.0868.85
상패동[*E ]47.17%48.59%▼1.4270.8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51.96%40.68%△11.27
관외사전투표51.02%43.33%△7.69
재외투표69.31%27.84%△41.48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47.10%49.20%▼2.1070.44

4.3. 총선[편집]


21대 총선 동두천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두천시·연천군)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서동욱김성원(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325
(47.26%)
24,305
(51.45%)
- 1,980
(▼4.19)
47,856
(59.31%)
[ 펼치기 · 접기 ]

생연1동44.67%54.29%▼9.6256.07
생연2동45.64%53.24%▼7.5959.52
중앙동39.76%59.01%▼19.2557.20
보산동[*A ]41.18%56.95%▼15.7756.71
불현동[*B ]46.26%52.40%▼6.1455.03
송내동[*C ]52.09%46.96%△5.1259.28
소요동[*D ]42.03%56.45%▼14.4358.50
상패동[*E ]42.97%55.58%▼12.6158.09
후보서동욱김성원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9.75%45.27%△4.48
관외사전투표57.93%40.11%△17.83
재외투표80.55%16.66%△63.89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6,575
(36.86%)
14,852
(33.03%)
3,540
(7.87%)
2,451
(5.45%)
2,001
(4.45%)
+ 1,723
(△3.83)
47,863
(59.28%)
[ 펼치기 · 접기 ]

생연1동38.92%32.30%6.97%4.98%4.30%△6.6256.07
생연2동37.66%33.50%7.08%5.49%4.10%△4.1659.52
중앙동44.63%28.89%6.40%4.20%3.64%△15.7457.20
보산동[*A ]41.37%29.11%6.67%5.83%4.15%△12.2656.71
불현동[*B ]36.90%32.59%7.48%5.50%4.46%△4.3155.04
송내동[*C ]33.00%35.73%9.46%5.81%4.89%▼2.7359.30
소요동[*D ]42.09%30.74%6.80%4.35%3.64%△11.3558.48
상패동[*E ]42.11%30.81%6.76%4.69%3.42%△11.3158.09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1.93%27.74%4.18%6.28%5.75%△4.19
관외사전투표28.11%35.20%10.13%7.18%6.02%▼7.09
재외투표14.28%48.57%2.85%5.71%14.28%▼34.29


[1] 양주와 한 선거구였을 때는 민주당 우위였다가, 연천과 한 선거구가 되자 보수정당 우위가 되었다.[2] 그런데 사실 오세창 전 시장은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국민신당 후보로 출마했었지만 결과는 3위였다.[3] 이 때도 민주당은 동두천시장 공천을 하지 않았다.[4] 더불어민주당 성향이다.[5] 95.6.10 의원직 사퇴(경기도지사선거 출마)[6]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7] 07.3.5 시장직 사퇴(뇌물수수로 수감)[동두천] A B 생연1동, 생연2동, 중앙동, 보산동, 불현동, 송내동, 소요동, 상패동[8]4표 차이였다.[9]81표 차이였다.[10]11표 차이였다.[11]86표 차이였다.[12]3표 차이였다.[A] 법정동 보산동 · 걸산동. 미군부대가 주둔중인 동네[B] 법정동 생연동(일부) · 지행동(경원선 동쪽) · 광암동 · 탑동동. 미군부대가 주둔중인 동네[C] 법정동 송내동 · 지행동(경원선 서쪽)[D] 법정동 동두천동 · 상봉암동 · 하봉암동 · 안흥동[E] 제28보병사단이 있는 동네[13] 불과 18표 차이였다.[14] 지역구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김성원[15] 관할 동 : 동두천시 전역 + 연천군 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