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구 갑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동구 갑(대구)(2).svg
선거인 수138,944명 (2020)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동구 일부
지저동, 동촌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동구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류성걸





1. 개요[편집]


16대 총선 때 동구 단일 선거구였던 적을 제외하면 14대 총선 이후 쭉 갑/을 선거구로 나뉘어 운영해오고 있다. 이 지역을 지역구로 두었던 인사들 가운데 목요상, 박준규, 김복동, 강신성일 등 나름 무게감 있는 인물들이 많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류성걸 의원이다.

이 선거구는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등이 속한 신암, 신천권과 대구국제공항과 같은 동촌권 일부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1], 금호강 서부 지역과 일부 금호강 동부 지역[2]이 이 선거구에 속한다. 참고로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대구국제공항이 있어 대구의 관문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의 모교인 청구고도 이 지역구 관할이다.

북구 갑 선거구처럼 본시가지 지역이 대부분이고, 동구 을에 비해 비교적 연령대가 높은 주민들이 많고, 효목2동, 신천동, 신암동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3040이 많이 사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적기 때문에 동구 을에 비해 더 보수세가 강한 면모를 보인다. 다만 현재 대대적인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표심의 변화가 생길지도 모른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3대박준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동구
제14대김복동
ta-hash-start=w-b4361100fd150d2b0eda8e15467a3342[[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동구 갑
제15대
ta-hash-start=w-d68bb1f0fb85633dd36522959be89149[[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4월 19일
제16대강신성일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동구
제17대주성영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동구 갑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류성걸
ta-hash-start=w-764aad95be3fc39592cc04d4cde7770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정종섭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류성걸
ta-hash-start=w-ba4edb9a21dff366f5ff3ef5edb25977[[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1. 동구 (13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구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준규(朴浚圭)85,85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4.92%당선
2목요상(睦堯相)46,7252위

ta-hash-start=w-cf228342d3a177c436043a11bf1a1205[[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9.89%낙선
3안병달(安柄達)2,1635위

ta-hash-start=w-1dfee3c9e50a46ef252b411f747472dc[[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38%낙선
4최규태(崔圭泰)16,2303위

ta-hash-start=w-04bde2a96202d8b804c5c3cc25bf99f9[[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0.38%낙선
5권영식(權寧植)5,3504위

ta-hash-start=w-0c2da1c3364eb2e4d2b9d340c246eb96[[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3.42%낙선
선거인 수204,483투표율
77.08%
투표 수157,607
무효표 수1,285


2.2. 동구 갑 (14~15대)[편집]



2.2.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복동(金復東)54,5571위

ta-hash-start=w-69908a3ae9144cf4918985a785114a4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9.28%당선
2임대윤(林大潤)11,7633위


12.78%낙선
3최규태(崔圭泰)20,6132위

ta-hash-start=w-0b5e49a0cbc380b656a68a760ebf252c[[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22.39%낙선
4윤창한(尹昌漢)5,0954위

ta-hash-start=w-b098d9ee4ca92aa57f369822eef240eb[[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5.53%낙선
선거인 수138,727투표율
67.18%
투표 수93,192
무효표 수1,164

2.2.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신성일(姜申星一)15,5722위

ta-hash-start=w-6c55e753355d82405d604dd3dc961560[[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80%낙선
2조동옥(趙東玉)--

ta-hash-start=w-b025801b78399a165d40f04c7839946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등록무효
3임대윤(林大潤)5,9775위
7.98%낙선
4김복동(金復東)28,1341위
37.59%당선
5위현복(魏玹復)1,8487위
2.46%낙선
6권영식(權寧植)8,9614위
11.97%낙선
7박춘근(朴春根)1,4448위
1.92%낙선
8이종구(李鍾九)8,9683위
11.98%낙선
9채명길(蔡明吉)4009위
0.53%낙선
10최규태(崔圭泰)3,5336위
4.72%낙선
선거인 수124,092투표율
62.00%
투표 수76,942
무효표 수2,105


2.3. 동구 (16대)[편집]



2.3.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대구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신성일(姜申星一)88,2581위
67.18%당선
2안원욱(安垣旭)10,3652위
11.67%낙선
3배석기(裵錫起)5,2685위
4.01%낙선
4서훈(徐勳)10,2673위
7.81%낙선
5서재열(徐在烈)2,0987위
1.59%낙선
6오기환(吳基煥)10,1334위
7.71%낙선
7최종탁(崔宗鐸)4,9746위
3.78%낙선
선거인 수246,651투표율
53.84%
투표 수132,801
무효표 수1,438
전국적인 지역구 통폐합으로 동구 을과 합구되어 동구 단일 선거구로 선거를 치뤘다.


2.4. 동구 갑 (17대~)[편집]



2.4.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성영(朱盛英)42,3351위
60.60%당선
2이광수(異光洙)8134위
1.16%낙선
3이강철(李康哲)24,5292위
35.11%낙선
4김건찬(金建贊)6525위
0.93%낙선
5안태전(安泰田)1,5253위
2.18%낙선
선거인 수117,303투표율
60.18%
투표 수70,589
무효표 수735


2.4.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주성영(朱盛英)37,9041위
77.60%당선
4송영우(宋映雨)8,5122위
17.43%낙선
6전재용(全載容)2,4283위
4.97%낙선
선거인 수114,760투표율
43.54%
투표 수49,961
무효표 수1,117


2.4.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 류성걸(柳性杰)36,3421위
60.83%당선
2임대윤(林大潤)14,1422위
23.67%낙선
6오세호(吳世昊)2,7274위
4.56%낙선
7전창국(全昌國)2175위
0.36%낙선
8오태동(吳泰東)6,3133위
10.56%낙선
선거인 수114,934투표율
52.40%
투표 수60,225
무효표 수484


2.4.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 정종섭(鄭宗燮)36,0171위
49.06%당선
5황순규(黃淳奎)4,6233위
6.29%낙선
6성용모(成容模)1,0744위
1.46%낙선
7류성걸(柳性杰)31,6982위
43.18%낙선
선거인 수132,976투표율
56.20%
투표 수74,688
무효표 수1,276
20대 총선부터는 동구 을 선거구는 이시아폴리스, 신서혁신도시 등 신도시가 많이 들어선 반면 동구 갑 선거구는 중구·남구, 북구 갑과 같이 원도심 지역이라 도심 공동화로 인구가 선거구 미달지점까지 감소하여 기존의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 외에도 지저동과 동촌동이 이 지역구로 편입되었다. 그렇게 되자 생활권과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3]

이 지역구 또한 유승민의 지역구인 옆 동구 을과 같이 박근혜유승민의 갈등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류성걸 의원은 친이, 친유 정치인으로 분류됐다. 친박의 핵심인 최경환이한구, 조원진박근혜와 각을 세우는 유승민을 견제하기 위해 류성걸 의원을 컷오프했다.

이 지역구엔 당초 경주시에서 출마를 준비하고 있었던 친박 후보인 정종섭 전 행정안전부장관이 단수공천을 받았다.# 최경환이한구, 조원진유승민박근혜와 대립했다는 이유로 배신자로 몰아갔으며, 정종섭도 의리를 강조하면서 무소속 후보들을 비난하였다.#

그런데 이 공천 파동 사태에서 류성걸정종섭유승민과 같은 경북고등학교 동창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언론에서는 경북고등학교 동창 간 전투로 묘사할 정도였다.[4] 유승민 후보는 동구 갑에서 류성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정종섭진박 마케팅을 하고, 친구의 지역구를 날로 가져간다고 거칠게 비판했다.# 류성걸정종섭이야말로 배신자라고 받아쳤다.# 공천 갈등으로 인해 정종섭류성걸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고 지역 정가에서는 언급했다.#[5]

또한 선거 과정에서 정종섭을 지지한 새누리당 소속 동구의원이 정종섭의 파티마병원 ~ 유통단지 간 도로 건설 공약을 지지한다는 문자메시지를 류성걸의 명의로 보내 류성걸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이를 신고하고 정종섭 측도 황당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불출마를 선언한 김희국, 윤두현과의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고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김상훈을 제외한 권은희, 류성걸, 유승민경상남도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조해진과 같이 무소속 연대를 꾸려서 선거에 출마하게 되었다.

결국 새누리당 정종섭 후보가 49.06%로 당선되고, 류성걸 후보는 43.18%로 낙선했다. 이웃 지역구인 북구 갑권은희와 달리 류성걸은 어느 정도 선전한 셈이다. 당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동대구역 리모델링, 신암동, 신천동 재개발 등으로 류성걸은 어느 정도 지지율을 확보했는 반면, 정종섭새누리당 대구 지역구 후보들 중 누구보다도 진박 마케팅에 앞장서서 접전승을 거두었다.

2.4.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동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재헌(徐載憲)21,5942위
26.62%낙선
2류성걸(柳性杰)56,4441위
69.59%당선
6양희(梁姬)2,1623위
2.66%낙선
7김백민(金百珉)9034위
1.11%낙선
선거인 수124,323투표율
66.13%
투표 수82,213
무효표 수1,110

21대 총선 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동구 갑)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재헌류성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1,594
(26.62%)
56,444
(69.59%)
- 34,850
(▼42.97)
82,213
(66.12%)
신암1동21.04%75.09%▼54.0565.98
신암2동29.07%66.90%▼37.8468.26
신암3동26.43%69.45%▼43.0264.51
신암4동24.56%71.44%▼46.8858.60
신암5동25.00%70.94%▼45.9469.46
신천1·2동26.98%69.87%▼42.8968.19
신천3동27.34%69.17%▼41.8367.43
신천4동26.37%69.76%▼43.3959.97
효목1동22.41%73.68%▼51.2763.14
효목2동25.07%71.68%▼46.6163.73
지저동23.78%73.04%▼49.2762.85
동촌동25.88%70.80%▼44.9260.38
후보서재헌류성걸격차
거소·선상투표28.16%64.31%▼36.15
관외사전투표39.34%55.41%▼16.08
재외투표61.95%30.43%△31.52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01,258
(54.27%)
31,012
(16.62%)
11,988
(6.42%)
15,253
(8.17%)
5,656
(3.03%)
+ 70,246
(△37.65)
194,261
(65.49%)
신암1동62.25%12.32%5.21%6.58%2.05%△49.9365.98
신암2동54.78%16.51%6.88%9.16%2.64%△38.2668.25
신암3동57.84%15.04%6.05%7.89%2.88%△42.8064.53
신암4동60.79%14.84%5.18%5.80%2.52%△45.9558.59
신암5동59.63%14.44%5.67%6.63%2.62%△45.1969.54
신천1·2동57.65%15.69%5.74%8.55%2.43%△41.9668.18
신천3동56.00%15.98%5.71%8.92%3.13%△40.0267.41
신천4동58.95%15.62%5.53%6.44%2.67%△43.3359.97
효목1동62.13%12.79%4.87%6.37%2.36%△49.3363.15
효목2동60.34%14.65%5.20%7.29%2.52%△45.6963.74
도·평동59.12%13.94%6.54%6.19%2.45%△45.1866.11
불로·봉무동53.98%16.43%6.42%8.90%3.09%△37.5563.26
지저동61.93%13.53%5.21%5.84%2.05%△48.4062.86
동촌동59.17%14.15%5.11%7.46%2.28%△45.0260.38
방촌동59.95%13.04%5.43%7.85%2.16%△46.9167.40
해안동59.47%13.78%5.04%6.86%2.16%△45.6961.22
안심1동50.90%17.95%6.65%8.80%3.28%△32.9560.98
안심2동58.32%14.44%5.33%7.15%2.67%△43.8862.94
안심3·4동45.64%20.53%8.14%10.24%3.75%△25.1262.27
공산동60.84%13.21%5.09%6.60%2.74%△47.6364.00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4.16%12.64%7.97%10.11%2.52%△31.52
관외사전투표42.73%22.55%9.05%8.87%4.77%△20.18
재외투표26.36%33.33%12.43%5.97%10.44%▼6.97
지난 총선에서 정종섭 의원에게 아쉽게 패한 류성걸 후보[6]가 손쉽게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인 서재헌 후보를 이겼다.


2.4.6.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동구 갑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동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동구·군위군 갑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선거구엔 군위군이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1] 원래는 동구 을이었지만 20대 총선부터 동구 갑으로 이관되었다.[2] 지저동, 동촌동[3] 일단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동대구역 생활권으로 금호강 서쪽 지역에 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939, 940, 950 국번을 이용한다. 반면 지저동과 동촌동은 동구 을 지역인 방촌동, 불로동, 봉무동과 같은 생활권으로 980 국번을 이용한다. 또한 동구 을의 경우 선거구 경계 조정 이후 안심지구불로동, 봉무동, 공산동 간의 교통이 사실상 단절된 월경지 현상이 발생했다. 도시 구조상 지저동과 동촌동이 안심불로동, 봉무동, 공산동을 잇는 길목이기 때문이다.[4] 심지어 직접 맞대결을 하게 된 두 후보는 2학년 때 같은 반이기까지 했다.[5]유승민정종섭과의 관계가 깨질 것을 각오하고 류성걸을 지원했다.[6] 공천 탈락으로 당시 무소속이었으나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당적을 달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