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용(1918)

덤프버전 :

대한민국 제 6·7·9대 국회의원
김성용
金星鏞
파일:external/rokps.or.kr/859.jpg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chosun_400001797.jpg
출생1918년 1월 9일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 대팽이골
본관김해 김씨
운석(雲石)
사망1999년 1월 7일 (향년 80세)
학력창평공립보통학교
경복중학교
제3고등학교
도쿄제국대학 (법학 / 학사)
미시간 대학교 (정치학 / 석사·박사)
경력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
일본 상공성, 군수성
외무부 정무국장 겸 통상국장
한중통상회의 수석대표
제2대 주 제네바 공사
민주당 중앙상임위원
제24~27차 UN총회 대표
제4대 주 말레이시아 대사
제6, 7, 9대 국회의원

1. 개요
2. 생애
3. 가족사항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본관은 김해(金海)[1], 호는 운석(雲石)이다.

2. 생애[편집]


1918년 1월 9일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고읍리 대팽이골에서 태어났다.# 창평공립보통학교와 경성부 경복중학교, 일본 구제 제3고등학교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42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2]하여 일본 상공성, 군수성에서 근무했다.[3]

8.15 광복 후에도 관료로 근무하였다. 미국에 유학하여 미시간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전라남도 담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김동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1966년 10월 민중당 소속일 때 친 신한당계라는 이유로 제명 처분되자 11월 민중당을 탈당하여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71년 주 말레이시아 대사로 부임하면서 친여 인사로 전향하였다. 1976년부터 1979년까지 유신정우회 제2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999년 1월 7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3. 가족사항[편집]


김홍용김문용은 전라남도 담양군 선거구에서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김홍용이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 6.25 전쟁 중인 1950년 8월 북한군에 의해 학살당하자, 2년 뒤인 1952년 실시된 재보궐선거에서 김문용이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된 것.

누나들 중 김사순은 이회창의 어머니이다. 즉, 이회창의 외삼촌이 된다.

자형 강세형(누나 중 김삼순의 배우자)은 제3대 국회의원(무소속, 전라북도 익산군 을)을 지냈다.


4. 선거 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전남 담양
무소속

9,851 (23.47%)낙선 (3위)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252,827 (13.5%)당선 (2번)초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6e334169a5325adca8aec592cd14edd9[[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554,224 (32.7%)당선 (9번)재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당선3선[4]

5. 둘러보기[편집]






파일:신민당1967.png 제7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박순천김도연[1]정해영고흥문이재형김세영
정운갑한통숙김성용김재화[2]연주흠편용호
박재우이기택이민우김수한김상현조흥만
김현기
[1] 임기 중 사망.[2] 후보 사퇴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1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재규[B]김종필김재순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엄경섭오정근오주환유민상
윤태일이도선이범준이성가[A]이숙종이영근
이종식이진희이해랑임삼장동식장준한
장창국전재구정광호정복향정재호주영관
지종걸최영철최영희최용수한태연함명수
함재훈함종빈허무인[A]현오봉황창주송효순 [C]
김충수 [C]이승복 [C]남상돈 [C]
[B] 임기 중 사퇴.[A] A B 임기 중 사망.[C] A B C D 승계.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제9대 국회 전국구 (2기)
[ 펼치기 · 접기 ]

갈봉근강문봉[B]강문용고재필구범모구태회
권갑주권일권중동권효섭김기형김도창
김동성김명회김삼봉김성용김세련김세배
김신김영도김용성김익준김종필김진복
김진봉김창규김충수남상돈노진환문태갑
민병권박동묘박정자박찬현백두진백영훈
서영희서인석송호림송효순신광순신상초
안종열안춘생오정근윤여훈윤주영윤태일
이도선이범준이성근이숙종이영근이정식
이종식이종찬이진희장동식전부일전재구
정일영정재호주영관지종걸 [B]최영철최영희
최우근한태연함명수현오봉변우량 [C]마달천 [C]
[B] A B 임기 중 사퇴.[C] A B 승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2:37:45에 나무위키 김성용(191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1941년 외교과 필기시험에 합격했으나, 이듬해 구두시험(2차시험)을 칠 때는 이미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전쟁이 시작되는 바람에 외교과가 행정과에 통합되어 행정과에 최종 합격했다. 고문시험 외교과에 합격한 조선인은 장철수가 유일하다.[3] 친일인명사전 수록 기준인 고등관에 해당되지 않아 수록 대상에서 최종 제외됨.[4] 1기, 2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