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사(도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동국통감제강본조편년강목
사략(史略)본조사략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일성록동궁일기
각사등록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응제시주제왕운기
기타삼국유사개황력대사편년
대사기속무정보감국조통기
발해고해동고승전동국병감
단군세가기자지동사
단군고기신라고기백제고기
해동고기본국고기삼한고기
기타 실전(失傳)
고구려유기신집
신라국사제왕연대력화랑세기
백제백제기백제신찬백제본기서기
고려구삼국사가락국기편년통록왕대종족기성원록금경록
위서(僞書)환단고기규원사화단기고사
부도지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1. 개요
2. 상세
3. 구성
4. 여담



1. 개요[편집]


국사편찬위원회 전자도서관 한국사(신편) 원문보기(전자책)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신편한국사(pdf)
우리역사넷 신편 한국사(텍스트)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한국사 통사 역사서.

내용은 위의 링크된 웹사이트들에서 전부 다 공개되어 있어 얼마든지 무료로 열람할 수 있지만 국사에 엄청난 애정이 있다면 53권 전권 세트 구매도 가능하다(...) 95만원이라는 초월적인 가격을 자랑한다(...). 링크 기준으로 할인조차 없다.


2. 상세[편집]


유신정권 시기인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총 25권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한국사학계의 역사학 연구의 성과가 진척되면서 이에 맞추어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1993년~2003년에 걸쳐 기존의 25권 《한국사》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총 53권의 《한국사》를 새롭게 편찬하였다. 이 90년대 새로 간행된 《한국사》는 흔히 통칭으로 '신편 한국사'라 부르기도 한다. 초판이 간행된 이후 2013년 재판이 나왔다.


3. 구성[편집]


권호제목쪽수권호제목쪽수
1총설522쪽28조선 중기의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371쪽
2구석기 신석기 문화563쪽29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303쪽
3청동기 문화와 철기 문화570쪽30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609쪽
4초기국가 고조선 부여 삼한302쪽31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645쪽
5삼국의 정치와 사회 1 - 고구려222쪽32조선 후기의 정치529쪽
6삼국의 정치와 사회 2 - 백제255쪽33조선 후기의 경제483쪽
7삼국의 정치와 사회 3 - 신라 가야422쪽34조선 후기의 사회379쪽
8삼국의 문화489쪽35조선 후기의 문화647쪽
9통일신라626쪽36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385쪽
10발해246쪽37서세동점과 문호개방333쪽
11신라의 쇠퇴와 후삼국234쪽38개화와 수구의 갈등435쪽
12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283쪽39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509쪽
13고려 전기의 정치구조459쪽40청일전쟁과 갑오개혁309쪽
14고려 전기의 경제구조471쪽41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444쪽
15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379쪽42대한제국405쪽
16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374쪽43국권회복운동529쪽
17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310쪽44갑오개혁 이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494쪽
18고려 무신정권247쪽45신문화운동. 1372쪽
19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415쪽46신문화운동. 2327쪽
20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415쪽47일제의 무단통치와 3.1 운동411쪽
21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597쪽48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355쪽
22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439쪽49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479쪽
23조선 초기의 정치구조371쪽50전시체제와 민족운동468쪽
24조선 초기의 경제구조629쪽51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445쪽
25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391쪽52대한민국의 성립465쪽
26조선 초기의 문화. 1303쪽53총색인601쪽
27조선 초기의 문화. 2601쪽


4. 여담[편집]


국립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관찬 역사서임에도 불구하고 역사학 전공자가 아닌 한 일반 대중에게는 인지도가 거의 없다(...) 그래도 국사 교과서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한국사 영역에서는 기본적인 참고자료로 사용된다고 한다. 경찰이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참고로 보는 경우도 있다.[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1:23:20에 나무위키 한국사(도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지만 공시생이 저 책을 실제로 구비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권짜리 개설서인 다찾사 같은 걸 구비해도 다소 오버하는거 아니냐고 소릴듣는 마당에 수십권짜리를 구비할 여유도 이유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