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케손시티

덤프버전 : (♥ 0)

||

아시아의 국가별 최대도시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
ta-hash-start=w-a5bad363fc47f424ddf5091c8471480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423aba7c2acfc597e43e90830bf4524b[[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파일:도쿄도 심볼마크.svg 도쿄도상하이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평양시신베이시파일:울란바토르 문장.png 울란바토르
동남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자카르타 수도특별구 휘장.png 자카르타 수도특별구역파일:방콕 휘장.svg 방콕케손시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 로고.svg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파일:싱가포르 국장.svg 싱가포르호찌민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양곤파일:프놈펜 문장.png 프놈펜비엔티안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반다르스리브가완시 CI.png 반다르스리브가완 시딜리 시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뭄바이파일:카불 문장.png 카불파일:다카 로고.png 다카 시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카라치파일:Kathmandu Flag.png 카트만두 광역시콜롬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말레 로고.svg 말레 시파일:ThromdeLogo.png 팀부
서아시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베이루트-ff.gif 베이루트파일:마나마 로고.png 마나마이스탄불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바그다드시 휘장.png 바그다드파일:리야드 시기.png 리야드파일:암만시 휘장.png 암만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도하파일:사나 시기.png 사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텔아비브.svg 텔아비브파일:테헤란 인장.png 테헤란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쿠웨이트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니코시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무스카트 logo_black.png 무스카트파일:Emblem_of_Damascus.svg 다마스쿠스두바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가자 지구파일:Gerb_Sukhum.png 수후미츠힌발리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icosia_city_fl_n7160.gif 레프코샤
중앙아시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슈켄트시 휘장.jpg 타슈켄트알마티파일:Gerb_Bishkek.png 비슈케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Coat_of_Arms_of_Dushanbe.png 두샨베파일:Ashgabat_(seal).svg 아시가바트
아메리카의 최대도시 | 아프리카의 최대도시 | 오세아니아의 최대도시 | 유럽의 최대도시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최대도시
파일:케손 시티.png
케손시티
Lungsod Quezon
Quezon City
||
시청 소재지딜리만 엘립티컬 로드
(Mayaman, Diliman, Lungsod Quezon)
하위 행정구역142바랑가이
지방메트로 마닐라
루손섬
면적171.71㎢
인구2,960,048명
인구밀도17,238명/㎢
시장
SBP

조이 벨몬테
(Joy Belmonte, 재선)
시의회
(38석)
[ 펼치기 · 접기 ]

SBP

25석


4석

국민당

3석


2석
민족주의 인민 연합

1석

무소속

3석

하원
(6/316석)


2석


2석

국민당

1석


1석
PSGC 코드137404000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 주요 기관
4. 여담



1. 개요[편집]


필리핀최대도시이며, 수도권인 '메트로 마닐라'를 구성하고 있는 16개 도시 중 하나다. 마닐라시의 북동쪽으로 접해 있다. 메트로 마닐라의 16개 도시 중에 인구나 면적면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지명은 2대 대통령 마누엘 케손의 이름에서 딴 것이다. 기념관이자 국립공원인 케손 메모리얼 서클에는 마누엘 케손 대통령과 영부인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구도심 지역이 초토화된 후 일종의 신도시로서 개발되어 1948~1975년까지 필리핀의 수도가 되었다.[1] 1975년 마닐라 대도시권을 통합한 '메트로 마닐라'라는 새로운 광역도시 행정구역이 생기면서 메트로 마닐라에 포함되었다. 1975년 이후 마닐라시가 수도로 지정되었다.


2. 상징[편집]


파일:케손시티 깃발.svg
파일:케손 시티.png
깃발문장


3. 주요 기관[편집]


케손 시티에는 수많은 관공서 그중 하원 국회의사당(Batasang Pambansa Complex), 부통령 관저인 케손 시티 리셉션 하우스 등 주요시설이 입주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필리핀 대학교의 본교인 딜리만 캠퍼스, 아테네오 대학교의 본교인 마닐라 캠퍼스, 미리암 여자 대학교의 카티푸난 캠퍼스가 있다.

주요 볼거리는 커먼웰스 마켓(commonwealth market), SM 시티(SM City)[2], 라 메사 에코 파크(La Mesa Ecopark), EDSA 성지(EDSA Shrine)가 있다.


4.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2:52:29에 나무위키 케손시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으로 비유하자면 6.25로 인해 서울 (1950년 기준) 행정구역 안이 전쟁으로 박살나여 2~30년 정도 재개발 시기를 두고 그나마 멀쩡하던 서울 밖 지역을 수도로 삼는 셈.[2] 마닐라 수도권에서만 운영되는 대형 쇼핑몰로써 케손에만 5곳이 있다. 이중에서 케손 메모리얼 서클 서쪽에 자리한 SM City North EDSA는 세계에서 4번째, 필리핀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