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이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辰爾王
진이왕
성씨부여(扶餘)
생몰연도음력? ~ ?
섭정기간음력600년

1. 개요
2. 오우치씨 족보에서의 기록


1. 개요[편집]


백제의 왕족으로 토요타씨 족보에서는 법왕무왕 사이에 즉위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링크



2. 오우치씨 족보에서의 기록[편집]


初代 百済國大祖 都慕大王[1]

、第二代 直支王(전지왕)、第三代 阿美王(아신왕)、第四代 腆支王(전지왕)、第五代 久爾辛王(구이신왕)、第六代 毘有王(비유왕)、第七代 蓋圖王(개로왕)、第八代 文園王(문주왕)、第九代 三斥王(삼근왕)、第十代 東城王(동성왕)、第十一代 武寧王(무령왕)、第十二代 聖王(성왕)、第十三代 威徳王(위덕왕)、第十四代 惠王(혜왕)、第十五代 法王(법왕)、第十六代 辰爾王(진이왕)、第十七代 武王(무왕)、第十八代 義慈王(의자왕)、第十九代 豊璋王(부여풍)、第廿代 禅廣(부여선광)

토요타씨 족보

삼국사기》에는 무왕법왕의 아들이지만, 위덕왕 사후 혜왕법왕이 연이어 사망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위덕왕의 뒤를 이은 혜왕의 재위기간이 2년, 법왕의 재위기간이 1년[2]밖에 되지 않고, 뚜렷한 행적이 보이지 않는 등 석연치 않은 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전부터 무왕은 위덕왕의 아들설과 손자설이 모두 있었으며, 《삼국유사》에서는 강가에 사는 과부가 검은 용[3]과 통정하여 얻은 아들이 서동, 그러니까 무왕이라고 기록했다.

중국 《북사》에서는 무왕을 위덕왕의 아들로 대충 기록했고, 한때 위덕왕의 아들로 일본으로 건너간 아좌태자무왕의 아버지로 추정되기도 했다.

무왕과 서동에 대한 여러 이설이 존재하는 가운데 1398년 일본의 호족 오우치 요시히로가 자신이 임성태자의 후손임을 주장하며 조선 조정에 족보를 보내오면서 진이왕의 존재가 처음 알려졌다. 일본 토요타씨 계보와 《신찬성씨록》 등에는 법왕무왕 사이에 나타난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 정식 국왕으로 인정되지 않았고, 시호도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가 섭정이나 찬탈 형태로 올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를 고려하면 법왕무왕 사이에 공위기가 있었고, 왜국측에서는 백제왕신사의 제사장인 그를 정통성있는 백제 국왕으로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3:38:09에 나무위키 진이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대 차이를 봤을 때 진짜 동명성왕 추모가 아니라 《석일본기》에서 훈이 토무루(トムル)인 침류왕일 가능성이 있다.[2] 5개월 또는 6개월 설도 있다.[3] 왕 또는 왕자를 뜻한다. 이 용이 법왕을 은유한 것이 아니냐는 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