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죽방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후남해 후유리 후
알영부인운제부인이리생부인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파사 비지마 후일성 후
아효부인사성부인애례부인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벌휴 후내해 후조분 후
내례부인석골정의 모후아루부인아이혜부인
조분 후미추 후흘해 후내물 후
운소부인광명부인석공한의 모후보반부인
실성 후눌지 후자비 후소지 후
아류부인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법흥왕 후진흥왕 후진지왕 후
연제부인보도부인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진평왕 후무열왕 후문무왕 후신문왕 후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덕왕 후효성왕 후경덕왕 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선덕왕 후원성왕 후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숙정부인계화부인
애장왕 후헌덕왕 비흥덕왕 후희강왕 후
왕후 박씨귀승부인정목왕후문목왕후
민애왕 후신무왕 후문성왕 후헌안왕 후
윤용왕후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헌강왕 비효공왕 후신덕왕 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왕비 박씨의성왕후
경명왕 후경애왕 후경순왕 후
왕비 김씨왕비죽방부인





竹房夫人
생몰년도 미상[1]

1. 개요
2. 기록


1. 개요[편집]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왕후. 죽방부인이라는 호칭은 고려사에서 언급되며, 삼국사기삼국유사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 기록[편집]


여름 5월 정축 왕이 신라왕(新羅王)과 태후(太后) 죽방부인(竹房夫人), 상국(相國) 김유렴(金裕廉)과 잡간(匝干) 예문(禮文) 및 파진찬(波珍粲) 책궁(策宮)·윤유(尹儒), 한찬(韓粲) 책직(策直)·흔직(昕直)·의경(義卿)·양여(讓餘)·관봉(寬封)·함의(含宜)·희길(熙吉) 등에게 물품을 차등 있게 주었다.

고려사 세가 권제2 태조(931년)


고려사》에 "羅王太后竹房夫人"이라고 쓰여있기 때문에 죽방부인은 태후, 즉 경순왕의 모후(母后: 군주의 어머니) 또는 전대 군주의 아내이지 경순왕의 아내가 아니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고려사》를 오역함에 따라 비롯된 결과라는 설도 있는데, 조선 제5대 문종 1년에 완성된 《고려사》는 고려를 기준으로 신라 경순왕을 선대 군주로 보고, 그의 왕후인 죽방부인은 경순왕의 태후(太后)라 기록했다고 해석했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그러나 문종은 경순왕의 후손이 아닌 것은 물론 신라와 고려는 아예 다른 나라여서 경순왕의 아내를 태후라고 부를 위치가 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왕비로서의 기록이 나타난 것은 조선 말기 세워진 신라경순왕전비부터이고, '죽방'(竹房)이라는 명칭은 인명이 아닌 "대나무 방" 정도의 의미로, 신라시대 관서 중 '방'(房)은 주로 여관이 근무하던 곳을 부르던 명칭이었고, 여성 인명을 사서에 표기하지 않게 된 고려시대의 특징을 고려하면 그녀가 기거하는 공간을 뜻하는 명칭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굳이 현 군주의 생모가 아니어도 전임 군주의 아내가 '태후'라는 명칭을 쓴 흔적도 《삼국사기》에서 발견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4:13:05에 나무위키 죽방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편 경순왕이 897년 전후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서 죽방부인도 비슷한 시기에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