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간지

덤프버전 :

+1 週刊紙 weekly magazine/newspaper

1. 개요
2. 유명 주간지


1. 개요[편집]


주간 단위로 발행되는 신문이나 잡지를 말한다. 대체로 한국에서 주간지라고 하면 주간 시사잡지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시사잡지 형태가 아닌경우 보통 가판대에서 판매되는 타블로이드 판형 시사/황색 주간지[1]를 의미한다.

일간지와 비교할 때 주간지의 장점은 좀 더 장기적인 취재가 가능하단 점이다. 그때문에 주요 어젠다를 설정하거나 심층적인 보도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특성은 월간지에서 더 강해지지만. 다만 텀이 느린 탓에 일간지에 익숙한 사람들에겐 한 소리 또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그때문에 일간지와 비교하면 구독자 숫자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국의 시사 주간지 가운데 1990년대한겨레21이 잘 나갈 때 15만부인가까지 나가기도 했지만 현재는 인터넷 등으로 종이 매체가 위력이 감소하면서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만화잡지들도 주간지의 형태를 띄었는데 한국에선 마지막까지 버틴 코믹 챔프가 2006년 하반기에 격주간지[2]로 바뀜에 따라 만화 주간지는 없다. 일본의 소년점프, 소년 매거진, 소년 선데이는 아직도 주간지이다.


2. 유명 주간지[편집]



2.1. 대한민국[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타블로이드 판형 주간지에 대한 내용은 언론 관련 정보 문서
언론 관련 정보번 문단을
언론 관련 정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래 표는 한국ABC협회에서 발표하는 주간지 인증 중 유료부수 순으로 5위까지 나열한 것이다. 때문에 한국ABC협회에 참여하지 않는 주간지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한국ABC협회 공인
대한민국 경제주간지 평균 유료부수 순위
2019년 기준
신문명발행부수유료부수
1

매경이코노미
61,67339,266
2

한경BUSINESS
20,84815,466
3

이코노미스트
10,8507,484
4

이코노믹리뷰
7,0385,319
5

Money S
6,1003,057

한국ABC협회 공인
대한민국 시사주간지 평균 유료부수 순위
2019년 기준
신문명발행부수유료부수
1

시사IN
43,30033,385
2

시사저널
29,05219,314
3

한겨레21
19,25417,304
4

주간경향
17,13114,075
5

내일교육
5,8425,375


2.1.1. 분야별[편집]



  • 문화
    • 씨네21: 한겨레에서 발행하는 영화잡지이다. 영화잡지 중엔 최다부수.
    • 주간한국: 1964년 창간된 한국 최초의 주간지였으나 현재는 종합시사지에서 문화지로 바뀌었다.

  • 법조
    • 법률신문:1950년 창간된 법조 주간신문(주2회 발행)으로, '한국법조인대관'을 간행하고 있다.

  • 시사종합
    • 시사IN: 2007년 시사저널에서 정직된 직원들이 만들었다. 2012년엔 유가부수 1위로 한겨레21을 제쳤다.
    • 한겨레21: 한겨레에서 발행하는 주간지.
    • 시사저널
    • 주간경향: 뉴스메이커, 위클리경향 등의 제호로 왔다갔다 했다가 현재는 이 명칭으로 왔다.
    • 미래한국: ㈜미래한국미디어에서 발행하는 주간지로 조선, 동아보다는 좀 더 오른쪽에 위치한 보수계열 주간지다. 부수는 비공개.
    • 주간동아: 동아일보에서 나오는 시사주간지로 ABC협회에 가입하지 않아 부수는 미상이다.
    • 주간조선: 모 매체인 조선일보가 오피니언 선점 등에서 초강세인데 비해 주간지에선 별 힘을 내지 못 하고 있다. 부수는 비공개.



2.2. 미국[편집]




2.3. 영국[편집]


  • 스펙테이터: 현존하는 세계 최고(最古)의 시사 주간지이다.
  • 옵저버: 영국 가디언지의 주말판으로 UK 앱스토어에는 아이패드용 옵저버가 존재하는데 준수한 인터페이스와 퀄리티를 자랑하며, 사전과 동영상 기능도 제공한다.
  • 이코노미스트: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시사, 경제 주간지로, 2018년 기준 800,727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 랜싯: 렐엑스의 자회사인 엘스비어에서 출간하고 있는 의학 주간지다. 의학계에서 상당히 권위가 높은 주간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을 계기로 전공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4. 중화권[편집]




2.5. 프랑스[편집]




2.6. 일본[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8:58:04에 나무위키 주간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렇게 썼지만 대부분은 시사주간지고 황색사건주간지는 주간현대계열의 '사건의 내막'하나 뿐이다. 하지만 나머지 시사주간 타블로이드들도 황색지의 요소가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다소 포함되어있다.[2] 정확히는 월 2회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