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누리

덤프버전 :

장누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파일:LoL Champions logo1.png2012스프링파일:600px-MiG_Frost_logo.png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2013윈터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윈터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파일:LCK Old logo.png2015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스프링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파일:LCK_Logo_2018.png2018스프링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파일:DAMWON.png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파일:LCK 로고.svg2021스프링파일:DWG KIA 엠블럼.svg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스프링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2013윈터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Shy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Watch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SSONG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Score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 Cain
스프링파일:CJ Entus BLAZE.png Flame파일:Team MVP.png DanDy파일:Team MVP.png dade파일:Team MVP.png imp파일:Team MVP.png Mata
서머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inSec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engi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Faker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iglet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oohManDu
2014윈터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Looper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DanDy파일:attachment/Sktt1_k.png Faker파일:attachment/Sktt1_k.png Piglet파일:attachment/Sktt1_k.png PoohManDu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Acorn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Spirit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png PawN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Deft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Heart
서머파일:Samsung white.png Looper파일:Samsung white.png DanDy파일:attachment/Sktt1_s.png Easyhoon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Arrow파일:Samsung white.png Mata
2015스프링파일:external/oi67.tinypic.com/qoj8qp.png Smeb파일:진에어 그린윙스 로고.png Chaser파일:external/oi67.tinypic.com/qoj8qp.png Kuro파일:external/oi67.tinypic.com/qoj8qp.png PraY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sumday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core파일:external/oi67.tinypic.com/2qams1e.png Kuro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Arrow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2016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Peanut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Kuro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PraY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GorillA
서머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Smeb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core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 Kuro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2017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Huni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Peanut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Faker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Wolf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meb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core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 Bdd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Deft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Mata
2018스프링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Khan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Peanut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 Bdd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Bang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Mata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 Smeb파일:Griffin_logo.png Tarzan파일:Griffin_logo.png Chovy파일:Griffin_logo.png Viper파일:Griffin_logo.png Lehends
2019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han파일:Griffin_new_logo.png Tarzan파일:Griffin_new_logo.png Chovy파일:Griffin_new_logo.png Viper파일:Griffin_new_logo.png Lehends
서머파일:Griffin_new_logo.png Sword파일:Griffin_new_logo.png Tarzan파일:DAMWON.png ShowMaker파일:Griffin_new_logo.png Viper파일:Griffin_new_logo.png Lehends
2012-2013 윈터부터 포지션별 KDA 1위를 뽑아 시상했었고, 수상자들에겐 각각 200만원의 상금이 주어졌다.
2014 서머까지는 전 경기를 대상으로 시상하다가, 리그제 전환이 이뤄진 2015 스프링부터 정규 시즌 경기를 위주로 집계되었다.
해당 부문은 2020 스프링부터 LCK All-Pro Team의 신설로 폐지되었다.
사실상 올-프로 1st 팀을 과거에는 통합 지표가 아닌 KDA 스코어로 구분하여 따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스태프
Riot League Championship Series North America
파일:NA_LCS_Logo.png2013스프링파일:TSM_Logo.pngDan Dinh
서머파일:Cloud9 아이콘.svgAlex Penn
2014스프링Chalrie · Dan Dinh
서머파일:TSM_Logo.pngLocodoco
2015스프링
서머파일:CLG Blue Logo.pngBlurred Limes · Zikzlol
2016스프링Zikzlol
서머파일:TSM_Logo.pngParth · Weldon
2017스프링Parth · Curry · Revehaza
서머
2018스프링파일:Team Liquid 2023 아이콘.svgCain · Dodo
서머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파일:LCS2020.png2019스프링파일:Team Liquid 2023 아이콘.svgCain · Dodo
서머
2020스프링파일:Cloud9 아이콘.svgReapered · Rapidstar · Reignover · Westrice
서머파일:TSM_Logo.pngParth · Lustboy · Haitham
파일:LCS 로고.svg2021미드
시즌
쇼다운
파일:Cloud9 아이콘.svgReignover · Westrice · Mithy · Max Waldo
챔피언십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svg[[파일:100 Thieves 로고 심플 white.svgReapered · Freeze · Lustboy
2022스프링파일:Evil Geniuses 로고.svg[[파일:Evil Geniuses 로고 white.svgTurtle · Artemis · Rigby · Draxyr · Razvan Nistor
챔피언십파일:Cloud9 아이콘.svgMax · Veigar v2 · Reven · autumn · Zeyzal
2023스프링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Mithy · autumn · Tails · Veigar v2 · Selfie · Armao
챔피언십파일:NRG Esports 로고.svg[[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Thinkcard · Croissant · Apollo · Damonte · sOAZ · Juves · Mash
* LCS 락인은 프리 시즌 이벤트 대회로서 정규 시즌 대회가 아니므로 제외합니다.





||




||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
2012스프링거품게임단LongPanda · inSec · Mima · Pecko · Kish
서머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Mima · imp · SmallBrain
2013윈터GSGCheonju · Solo · Easy · Clear · ManDu
스프링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Chop · Watch · SSONG · PraY · Cain
서머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Expession · Watch · SSONG · Nagne · PraY · Cain
2014윈터파일:CJ Entus BLAZE.pngFlame · DayDream · Ambition · BaeMe · Emperor · Cpt Jack · Lustboy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Shy · Swift · CoCo · Space · MadLife
서머파일:attachment/Sktt1_k.pn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파일:KDF_Cain.png
Cain
장누리 (Jang Nu-ri)
출생1987년 2월 6일 (37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D카인12 #
포지션서포터
소속NaJin Black Sword
(2012.05.30 ~ 2014.10.28)

NaJin e-mFire
(2014.10.28 ~ 2015.11.30)
CJ Entus 코치
(2015.12.01 ~ 2016.10.28)
Cloud9 코치
(2016.12.19 ~ 2017.03.24)
Team Liquid 감독
(2017.03.24 ~ 2020.04.28)

Team Liquid 코치
(2020.04.28 ~ 2020.11.12)
KWANGDONG FREECS[1] 감독
(2021.05.03 ~ 2022.09.22)
100 Thieves 감독
(2023.05.10 ~ 2023.11.27)

1. 개요
2. 플레이 스타일
3.1. 수상 경력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CS100 Thieves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서포터.

나진 최후의 원년 멤버로 본래 주 포지션은 바텀이었으나[2] 멀록, 피미르의 퇴출 이후 정글러로 전향하다가 이후 와치가 들어오고, 나진의 대표가 삼고초려해서 데리고 온 프레이가 들어오면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하였으며 LoL 프로게이머 이전에는 과 함께 Rogue라는 아이디로 카오스를 플레이했다고 하며 이후 쏭의 권유로 LoL을 접하게 되며 LoL 프로게이머로 데뷔하게 되었다.

2. 플레이 스타일[편집]


나진 소드 초창기에는 모든 스포트라이트를 막눈이 받고 있었고, 팀이 성적을 내기 시작하면서 바텀이 좋은 평가를 받기 시작했지만 그래도 원딜인 프레이에 비중이 쏠리던 와중에 소나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포텐이 터져 재평가 된 케이스.

나진 소드의 승리에는 항상 카인의 소나가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당시에는 소나 하나만 놓고보면 세계 원탑이라는 소리도 종종 나올 정도로 상당한 숙련도와 임팩트를 자랑했었다. MVP 오존의 마타는 카인의 소나가 너무 아프게 때리길래 경기가 끝나고 카인의 룬과 특성을 확인했더니 본인이 사용하는 것과 다른게 하나도 없어서 놀랐었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을 정도. 카인 본인도 소나에 대한 자신감이 출중한지 소나가 살아있을 경우 대부분 소나를 픽하고 또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기도 했다. 반드시 이겨야 8강에 진출할 수 있었던 HOT6 Champions Summer 2013 진에어 스텔스와의 1경기에서 너프를 먹은 소나를 픽한 것만 봐도 소나에 대한 신뢰와 자신감을 알 수 있을 정도.

공격적인 성향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소드 팀에서도 가장 안정적인 봇 듀오를 담당하고 있는 만큼 그 당시 서포터로서의 검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였다. 특히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3, 4위전에서 블레이즈를 상대로 2경기에서 로밍 타릭이라는 이색적인 플레이를 선보이며 호평을 받기도 했을 정도. 그리고 월드 챔피언십 한국대표선발전 준플레이오프 3경기에서는 자이라를 픽해 활약하는 등 챔피언 풀도 나름 넓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허나 12 서머 이후 소나가 아닌 다른 챔프를 픽했을 때 소나만큼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꼽히기도 했다. 과거에 사용하던 챔프인 알리스타, 잔나, 레오나 등은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긴 하지만 모두 너프나 메타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기피되는 챔프들이고, 블리츠크랭크쓰레쉬 등의 그랩류 챔프는 잘 쓰지 못했다.

결국 2012 - 2013 윈터 무렵에는 누누로도 짭짤하게 재미를 봤지만 결국 누누도 너프되었고, 이후로는 밴픽 단계에서 상대 팀들의 지독한 소나 견제와 더불어 소나 자체가 너프되면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었다.

그러나 자신도 이를 인지했는지 2013 스프링 이후로 쓰레쉬, 나미 등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전에 잘 썼던 레오나와 소나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폼을 끌어올렸다. 하지만 멘탈이 나가면 극도로 부진한 돌직구성 플레이를 보여준다는 새로운 약점이 나오기도.

2014 서머에 와서는 팀에서 본인을 빼고 모든 선수들이 교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실력을 뽐냄으로써 폼은 일시적일지 몰라도 클래스는 영원하다는 것을 몸소 증명해보였다. 16강전 6경기 중 4경기에서 나미를 사용했는데, 신들린 물의 감옥 적중률을 기록하며 팀의 윤활유 역할을 제대로 해주고 있다.

고랭크 프로나 아마추어들의 평가에 따르면, 이상적인 서포터다운 서포터. 원딜에게 부담이 되는 무언가를 최대한 자제하고 깔끔하고 안정적인 플레이가 특징이었다고. 서포터가 적극적으로 로밍을 다니고 적진에 비집고 들어가서 와딩을 하고 난장판을 만드는 보조형 미드 라이너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던 당시의 메타와는 잘 안맞는다는 평가를 받았었다.

나진 소드 시절 프레이와 함께 뛰었을 땐 먼저 이니시를 거는 극단적인 공격성이 강점인 원딜을 안정감있게 성장시키고 그 공격성을 보좌하는 방어벽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 14 서머 때는 뛰어난 무력을 지녔던 전형적인 하드캐리 원딜 오뀨에게 자유롭게 싸울 수 있는 투기장을 적극적으로 만들어주었다고 평가받았다. 즉 어떤 원딜과 호흡을 맞추더라도 원딜에게 최적화된 플레이를 보여주었다는 것. 이런 유연한 모습은 완고한 공격성으로 캐리형 서포터라는 새 지평을 열었던 매드라이프나 그 뒤를 이은 캐리형 서포터로서 탈수기 운영 등을 선보이며 롤판에 새 역사를 창조했다고 평가받게 되는 마타, 순수한 원딜 보좌형 서포터지만 그 이상의 임팩트를 보여주며 삼성 블루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하트 등의 톱 클래스 서포터들과 경합할 수 있는 비교 우위였다.


3. 선수 경력[편집]


파일:백전노장카인.jpg
장누리의 경력


3.1.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우승
Azubu FrostNaJin SwordMVP Ozone
이엠텍 NLB Spring 2013 우승
GIGABYTE NLB Summer 2013 우승
GSGNaJin Black SwordCJ Blaze
수상 기록
2019 LCS Summer 최고의 감독
복한규
(Cloud9)
장누리
(Team Liquid)
복한규
(Cloud9)


4. 여담[편집]


  • 도도리아 드립이 나오면 꼭 원딜 명가 도도가문의 집사 카인이라고 불린다. 프레이가 부진하고 나간 이후에도 카집사라고 불린다.

  • 카인 역시 팀의 미드 쏭과 함께 카오스를 한 경력이 있다. 그 때 당시 아이디는 Rogue. 또한 그와 같이 봇라인을 서고 있는 프레이와 7살 차이가 난다. 그리고 그 역시 롤판의 몇 안 되는 군필자이다. 생각해보면 87년생으로 게이머로써는 고령임에도 준수한 기량을 갖추고 있는 데도 유독 부각이 안 되는 편. 88라인으로 유명한 클템이나 노페보다 더 많은 나이다! 이 때문에 조추첨식에서 88라인에 대해 가소롭다는 듯이 얘기했다. 또한 옴므의 은퇴(정확히는 플레잉 코치 전환) 이후 롤계 최고령 프로게이머이다. 나이 때문에 별명은 노인, 영감님이다. 덤으로 최고령 원딜러인 제파와 엮어서 황충 - 엄안듀오.

  • 팀원들에 의하면 타릭이 연상된다고 한다. 급기야 온게임넷 결승 중 서브컨텐츠에서 영롱한 분홍 망치 드립이 나오면서 뛰어난 실력에 비해 별 존재감이 없던 예전과 달리 서서히 캐릭터성이 영롱함으로 정립되는 중. 실제로 경기에서 타릭을 사용할 시 5번째 성기사 타릭(일명 핑크 타릭) 스킨을 많이 쓴다. 타릭의 몇 없는 스킨 중 혈석 타릭은 다른 선수들이 많이 쓰는거라 마음에 안들고, 핑크 타릭을 고르면 팬들이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 2012-2013 롤챔스 윈터에서 우승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즌 내내 단 한 번도 MVP에 선정된 적이 없다. 결승에서 맞붙었던 홍민기가 MVP 포인트 2위였다는 사실과 대조되는 부분. 물론 이건 카인의 기량부족 때문이 아니라, 화려한 플레이가 아닌 묵묵히 서포팅하는 카인의 성향 때문이다. 그래도 데일리e스포츠 인터뷰에서 윈터 시즌 결승전 영상의 선수 소개에서 본인만 MVP 포인트가 0점이다고 말한 것을 보아 아쉬움이 있었는 듯.

이후 프레이가 나가고 오뀨가 들어왔는데 이 둘 간의 나이 차이는 9살 차이. 그러나 NLB 인터뷰에 따르면 애초에 처음부터 나이 어린 친구와 같이 라인을 섰기 때문에 오히려 이게 더 편하다고 한다.

  • 예전에 같은 나진 형제팀 소속이었던 김남훈과 친구였는데 훈이 개인 방송을 통해 직접 밝히길 카인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미지 그대로 수도승처럼 열심히 게임만 한다고.

  • 롤 초창기부터 대회를 봐온 올드 시청자들은 매드라이프와 카인이 한 팀이 된 광경이 익숙하지 않다고 한다. 감독은 덤.

  • 본인이 아프리카 프릭스 합류 인터뷰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오랜 해외 생활로 몸이 안 좋아져서 5~6개월 간 휴식을 취했다고 한다.[3]

  • 나이가 30대 중반임에도 21년 프리 시즌에 솔랭에서 마스터 티어를 찍을 만큼 실력을 유지하고 있다. 한때 LCK 내에서 최고 서폿 자리를 놓고 경합했던 그 클래스가 어디 가진 않는 듯.



[1] 팀명 변경: Afreeca FreecsKWANGDONG FREECS, 2021년 12월 21일[2] 이 때 나진의 서포터는 피미르(당시 닉 미르)였다.[3] CJ 엔투스 때를 빼면 감코 커리어 대부분을 LCS에서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