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음태귀수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陰太貴首王
생몰년도 미상


1. 개요[편집]


하내련(河內連: 카와치노무라지)

백제국(百濟國) 도모왕(都慕王)의 아들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으로부터 나왔다.

出自百濟國都慕王男陰太貴首王也

- 『신찬성씨록』


815년 편찬된 일본의 씨족지 신찬성씨록에만 등장하는 백제의 왕. 하내련(河內連: 카와치노쿠니) 씨족의 시조라고 한다.

도모왕(都慕王)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는데, 동명성왕의 아들로 기록된 점에서 온조왕 혹은 비류의 다른 이름으로 볼 수 있으나, 신찬성씨록 이외의 기록에서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정체를 알 수 없다.

이름 중 음태(陰太)는 달을 뜻하며, 귀수(貴首)는 구수왕 또는 근구수왕의 다른 표기이다. 신화 상 조부인 해모수가 해의 신으로 등장하는 것과 대비되는 요소.


2.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1:38:38에 나무위키 음태귀수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