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트라클라사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80><width=33%> 파일:분데스리가 로고.svg
||<width=33%> 파일: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로고.svg
||<width=33%> 파일:Czech First League Logo.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독일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파일:체코 국기.svg ||
|| 파일:스위스 슈퍼 리그 로고.svg
|| 파일:OTP_Bank_Liga_logo.png
||<height=80> 파일: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 파일:헝가리 국기.svg || 파일:폴란드 국기.svg ||
||<height=80> 파일: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 신 로고.jpg
|| 파일:Slovenian_PrvaLiga_logo1.png
|| 파일:리히텐슈타인 컵.png
||
||<rowbgcolor=#f0f0f0,#191919>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
||<-3><bgcolor=#f7f7f7,#191919> 전 세계 리그 ||





Ekstraklasa
엑스트라클라사
파일: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png
정식 명칭엑스트라클라사
(Ekstraklasa)
창설 연도1926년 12월 4일 (97주년)
참가 팀 수18개 팀
하위 리그I 리가
최근 우승팀파일:라쿠프 쳉스토호바 로고.svg 라쿠프 쳉스토호바 (2022-23)
최다 우승팀파일:레기아 바르샤바 로고.svg 레기아 바르샤바 (15회)
UEFA 랭킹20위 #
공식 웹사이트파일: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png
공식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엑스트라클라사와 대한민국
3. 참가 클럽
3.1. 2019-20 시즌
3.2. 2020-21 시즌
3.3. 2021-22 시즌
3.4. 2022-23 시즌
3.5. 2023-24 시즌
4. 우승팀 목록
5. 클럽별 우승 횟수
6. 참고



1. 개요[편집]


폴란드 축구 리그의 최상위 리그이다. 축구협회는 1919년에 만들어져 20년에 아마추어리그가 진행되고 있다가, 26년에 리가 폴스카라는 이름으로 프로 리그가 공식 출범하였다. 지금까지 총 80개의 클럽이 리그 출범이래 참가하였고, 그 중 16개의 클럽들이 우승 타이틀을 차지하였다.

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는 16개팀이 참가하며 최다 우승팀은 비스와 크라쿠프와 구르닉 자브제로 각각 14회씩 우승하였다. 방식은 K리그1과 같은 스플릿 라운드 형식이며 30라운드까지 진행후 상위 8팀, 하위8팀끼리 묶어 한번씩 경기를 더 해서 최종 37라운드까지 진행한다.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출전권을 획득하며 폴란드 축구협회(PZPN)컵 우승팀과 리그 준우승팀과 3위팀은 유로파 컨퍼런스리그 예선 출전권을 얻는다.


2. 엑스트라클라사와 대한민국[편집]



없을 것 같지만 있다. 2012-13 시즌 후반기 대구와 파지아노 오카야마를 거친 미드필더 김민균이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에서 5경기를 뛰었었다.

폴란드 리그와 K리그의 교류는 8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까지 동유럽 체제 변동 시기부터 역사가 시작된다. 레셰크 이바니츠키비제프 우치에서 유공 코끼리로 이적한 것을 시작으로 1991시즌 K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기도 한 타데우시 시비옹테크, 엑스트라클라사 368경기 출전 기록을 가진 베테랑 비톨트 벤트코브스키 등 폴란드 대표급 선수들이 엑스트라클라사에서 K리그로 많이 넘어가게 된다. 그러나 90년대 초를 끝으로 20년간 K리그에서 폴란드 리그 선수들은 자취를 감췄고, 2021년에야 제주 유나이티드라쿠프 쳉스토호바에서 폴란드 U-21 대표 출신 공격수 오스카 자와다를 영입하면서 다시금 두 리그 사이의 선수교류 명맥이 이어지게 된다. 특이할 만한 것은 K리그의 역대 폴란드 선수 5명은 유공 코끼리 시절부터 제주 유나이티드까지 모두 SK와 연관된 구단의 영입선수였다는 것이다.

또한 동유럽을 글로벌화의 전진기지로 삼았던 대우그룹엑스트라클라사 강호인 레기아 바르샤바를 인수해 운영하기도 했었다. 그래서 레기아 바르샤바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레기아 대우 바르샤바라는 이름으로 잠시 구단명을 변경한 적이 있었다. 한국계 자본이 유럽 클럽을 인수한 첫 사례였다. 물론 대우그룹이 2000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면서 레기아 바르샤바도 매각되었다.


3. 참가 클럽[편집]



3.1. 2019-20 시즌[편집]




3.2. 2020-21 시즌[편집]



2020-21시즌 엑스트라클라사에서는 레기아 바르샤바가 우승을 차지하였고 다음 시즌부터 18개팀으로 늘리기 위해서 포드베스키지에 비엘스코비아와 딱 1팀만 강등되었다.


3.3. 2021-22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1부 첫 참가최근 승격 시즌
레기아 바르샤바1위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271948
라쿠프 쳉스토호바2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94-19952019-2020
포곤 슈체친3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2012-2013
실롱스크 브로츠와프4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64-19652008-2009
바르타 포즈난5위-19272020-2021
피아스트 글리비체6위-2008-20092012-2013
레히아 그단스크7위-19492008-2009
자그웽비에 루빈8위-1985-19862015-2016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9위-1987-19882007-2008
구르니크 자브제10위-19562017-2018
레흐 포즈난11위-19482002-2003
비스와 프워츠크12위-1994-19952016-2017
비스와 크라쿠프13위-19271996-1997
KS 크라코비아14위-19282013-2014
스탈 미엘레츠15위-19612020-2021
라도미아크 라돔-I 리가 1위[1]1984-19852021-2022
브루크베트 테르말리차 니에치에차-I 리가 2위[2]2015-20162021-2022
구르니크 웽치나-I 리가 6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3]2003-20042021-2022


3.4. 2022-23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1부 첫 참가최근 승격 시즌
레흐 포즈난1위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482002-2003
라쿠프 쳉스토호바2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94-19952019-2020
포곤 슈체친3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592012-2013
레히아 그단스크4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492008-2009
피아스트 글리비체5위-2008-20092012-2013
비스와 프워츠크6위-1994-19952016-2017
라도미아크 라돔7위-1984-19852021-2022
구르니크 자브제8위-19562017-2018
KS 크라코비아9위-19282013-2014
레기아 바르샤바10위-19271948
바르타 포즈난11위-19272020-2021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12위-1987-19882007-2008
자그웽비에 루빈13위-1985-19862015-2016
스탈 미엘레츠14위-19612020-2021
실롱스크 브로츠와프15위-1964-19652008-2009
미에즈 레그니차-I 리가 1위[4]2018-20192022-2023
비제프 우치-I 리가 2위[5]19482022-2023
코로나 키엘체-I 리가 4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6]2005-20062022-2023


3.5. 2023-24 시즌[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1부 첫 참가최근 승격 시즌
라쿠프 쳉스토호바1위UEFA 챔피언스 리그 1차예선 진출1994-19952019-2020
레기아 바르샤바2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271948
레흐 포즈난3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482002-2003
포곤 슈체친4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2012-2013
피아스트 글리비체5위-2008-20092012-2013
구르니크 자브제6위-19562017-2018
KS 크라코비아7위-19282013-2014
바르타 포즈난8위-19272020-2021
자그웽비에 루빈9위-1985-19862015-2016
라도미아크 라돔10위-1984-19852021-2022
스탈 미엘레츠11위-19612020-2021
비제프 우치12위-19482022-2023
코로나 키엘체13위-2005-20062022-2023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14위-1987-19882007-2008
실롱스크 브로츠와프15위-1964-19652008-2009
ŁKS 우치-I 리가 1위[7]19272023-2024
루흐 호주프-I 리가 2위[8]19272016-2017
푸슈차 니에포워미체 -I 리가 5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9]2023-2024



4. 우승팀 목록[편집]


1920년부터 1926년까지는 토너먼트 형식의 대회로 진행되었고, 현재의 리그 형식은 1927년부터 시작되었다.
연도우승
1920소비에트-폴란드 전쟁으로 인한 중단
1921KS 크라코비아
1922포곤 르부프[10]
1923
19241924 파리 올림픽으로 인한 미개최
1925포곤 르부프
1926
1927비스와 크라쿠프
1928
1929바르타 포즈난
1930KS 크라코비아
1931가르바르니아 크라쿠프
1932KS 크라코비아
1933루흐 비엘키에 하이두키
1934
1935
1936
1937KS 크라코비아
1938루흐 비엘키에 하이두키
1939시즌 도중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한 중단
1940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미개최
1941
1942
1943
1944
1945
1946폴로니아 바르샤바
1947바르타 포즈난
1948KS 크라코비아
1949그바르디아 크라쿠프
1950
1951우니아 호주프
1952
1953
1954오그니보 비톰
1955CWKS 바르샤바
1956
1957구르니크 자브제
1958ŁKS 우치
1959구르니크 자브제
1960루흐 호주프
1961구르니크 자브제
1962폴로니아 비톰
1962-63구르니크 자브제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67-68루흐 호주프
1968-69레기아 바르샤바
1969-70
1970-71구르니크 자브제
1971-72
1972-73스탈 미엘레츠
1973-74루흐 호주프
1974-75
1975-76스탈 미엘레츠
1976-77WKS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1977-78비스와 크라쿠프
1978-79루흐 호주프
1979-80숌비에르키 비톰
1980-81비제프 우치
1981-82
1982-83레흐 포즈난
1983-84
1984-85구르니크 자브제
1985-86
1986-87
1987-88
1988-89루흐 호주프
1989-90레흐 포즈난
1990-91자그웽비에 루빈
1991-92레흐 포즈난
1992-93
1993-94레기아 바르샤바
1994-95
1995-96비제프 우치
1996-97
1997-98ŁKS 우치
1998-99비스와 크라쿠프
1999-00폴로니아 바르샤바
2000-01비스와 크라쿠프
2001-02레기아 바르샤바
2002-03비스와 크라쿠프
2003-04
2004-05
2005-06레기아 바르샤바
2006-07자그웽비에 루빈
2007-08비스와 크라쿠프
2008-09
2009-10레흐 포즈난
2010-11비스와 크라쿠프
2011-12실롱스크 브로츠와프
2012-13레기아 바르샤바
2013-14
2014-15레흐 포즈난
2015-16레기아 바르샤바
2016-17
2017-18
2018-19피아스트 글리비체
2019-20레기아 바르샤바
2020-21
2021-22레흐 포즈난
2022-23라쿠프 쳉스토호바


5. 클럽별 우승 횟수[편집]


클럽우승시즌
레기아 바르샤바15회1955, 1956, 1968-69, 1969-70, 1993-94, 1994-95, 2001-02, 2005-06, 2012-13, 2013-14
2015-16, 2016-17, 2017-18, 2019-20, 2020-21
구르니크 자브제14회1957, 1959, 1961, 1962-63, 1963-64, 1964-65, 1965-66, 1966-67, 1970-71, 1971-72
1984-85, 1985-86, 1986-87, 1987-88
루흐 호주프14회1933, 1934, 1935, 1936, 1938, 1951, 1952, 1953, 1960, 1967-68
1973-74, 1974-75, 1978-79, 1988-89
비스와 크라쿠프13회1927, 1928, 1949, 1950, 1977-78, 1998-99, 2000-01, 2002-03, 2003-04, 2004-05
2007-08, 2008-09, 2010-11
레흐 포즈난8회1982-83, 1983-84, 1989-90, 1991-92, 1992-93, 2009-10, 2014-15, 2021-22
KS 크라코비아5회1921, 1930, 1932, 1937, 1948
포곤 르부프4회1922, 1923, 1925, 1926
비제프 우치4회1980-81, 1981-82, 1995-96, 1996-97
바르타 포즈난2회1929, 1947
폴로니아 바르샤바2회1946, 1999-2000
폴로니아 비톰2회1954, 1962
ŁKS 우치2회1958, 1997-98
스탈 미엘레츠2회1972-73, 1975-76
실롱스크 브로츠와프2회1976-77, 2011-12
자그웽비에 루빈2회1990-91, 2006-07
가르바르니아 크라쿠프1회1931
숌비에르키 비톰1회1979-80
피아스트 글리비체1회2018-19
라쿠프 쳉스토호바1회2022-23


6. 참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6:53:36에 나무위키 엑스트라클라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36년만의 승격[2] 3년만의 승격[3] 4년만의 승격[4] 3년만의 승격[5] 8년만의 승격[6] 2년만의 승격[7] 3년만의 승격[8] 6년만의 승격[9] 창단 첫 승격[10]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도시. 이주민들이 포곤 슈체친으로 재창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