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민

덤프버전 : (♥ 0)

1 윤평국 · 2 어정원 · 3 이동희 · 4 전민광 · 5 아스프로 · 6 김종우 파일:부상 아이콘.svg · 7 김인성 · 8 오베르단 · 9 조르지 파일:부상 아이콘.svg · 10 백성동
11 조성준 · 12 김륜성 · 13 윤석주 · 14 허용준
VC
· 15 이규민 · 16 한찬희
VC
· 17 신광훈 · 18 강현제 · 19 윤민호
21 황인재 · 22 김규형 · 23 이동협 · 27 정재희 · 28 김정현 · 29 박형우 · 30 윤재운 · 32 이승환 · 33 이호재 · 34 이규백
37 홍윤상 · 41 강성혁 · 55 최현웅 · 70 황서웅 · 77 완델손
C
· 88 김동진 · 89 김명준 · 90 김동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치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규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동민 ·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우지니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심상민의 역임 직책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서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전우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행
심재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강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6대7대8대9대10대
마철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박종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행
강민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최원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김영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김치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11대12대13대14대15대
김형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강민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이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16대17대18대19대20대
김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여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김민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권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한석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21대22대23대24대25대
권경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심상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승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2)
문지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영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26대27대28대29대30대
원두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포항 스틸러스 No. 2
심상민
沈相旼 | Sim Sang-Min
출생1993년 5월 21일 (31세)
울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족부모님, 아내 박재은
신체172㎝, 78㎏
포지션레프트백, 윙백
등번호김천 상무 FC - 34번, 6번
FC 서울 - 21번, 19번
포항 스틸러스 - 2번[1], 34번[2]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2번
서울 이랜드 FC - 2번
학력전하초 - 효정중 - 부경고 - 중앙대
소속 구단FC 서울 (2014~2018)
서울 이랜드 FC (2016 / 임대)
포항 스틸러스 (2019~ )
상주-김천 상무 FC (2020~2021 / 군 복무)
국가대표31경기 (대한민국 U-23 / 2014~2016)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4. 플레이스타일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리그1 포항 스틸러스 소속의 수비수. 빠른 발과 과감한 오버래핑, 로리 델랍을 연상시키는 롱 스로인이 장점인 왼쪽 풀백으로 포백과 스리백에서 모두 활용이 가능하다.


2. 클럽 경력[편집]



2.1. FC 서울[편집]


부경고와 중앙대학교를 거쳐 2013년 11월 드래프트에서 자유 선발로 FC 서울에 지명됐다.


2.1.1. 2014 시즌[편집]


첫 시즌인 2014년에는 별다른 기회를 잡지 못했다. 터줏대감 아디는 은퇴했지만 김치우가 쓰리백의 왼쪽 윙백 주전자리를 꿰차고 있다. 리그 4라운드 제주전에 선발출전해 데뷔전을 치르는 데는 성공했지만 만족스런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김치우가 부상으로 이탈했으나 윙백으로 포지션 변경을 한 고광민에게 완전히 밀려 경기출전은 거의 하지 못하였다.


2.1.2. 2015 시즌[편집]


15 시즌에도 시작은 다르지 않았다. 한수원(32강), 화성 FC(16강)와의 FA컵 경기에는 출전했고 화성전에서 도움도 올렸지만 리그에선 고광민김치우에게 밀려 여름까지 기회를 전혀 얻지 못했다. 그러나 7월 이후 조금씩 반전의 기회가 찾아왔다. 김치우가 무릎 부상으로 전열에서 이탈한 것. 고광민은 36세인 차두리의 백업 역할도 해줘야 했기에 최용수 감독은 심상민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15시즌 리그 첫 출전이었던 7월 1일 제주전에서 1도움을 기록했고 8월 19일전에서 아드리아노의 골을 도와 두번째 도움을 올렸다.

구단 내에선 김동우, 이웅희와 함께 앞으로 장차 수비진을 이끌 선수로 기대받고 있다. 기존 왼쪽 윙백 김치우가 30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잔부상이 늘어나 관리가 필요하고 고광민은 차두리의 은퇴로 공백이 생긴 오른쪽도 메워야 하는데다 윤일록이 이번시즌을 끝으로 U-23 적용이 끝나기때문에 박용우와 함께 어느정도 출전기회를 보장받을 것으로 보인다.


2.1.3. 2016 시즌[편집]


차두리의 빈자리는 고요한이 포지션 재변경으로 메운 덕에 왼쪽 윙백 주전은 고광민이 메우게 됐다. 백업은 김치우가, U-23 선발자원은 박용우가 있어 심상민의 입지는 매우 좁았다. 최용수 감독이 떠나고 측면 자원을 험하게 굴리는 편인 황선홍 감독이 부임한 후엔 마침 고요한과 고광민이 연이어 부상을 당하기도 해서 출장 기회가 늘어났지만 오랫동안 뛰지 못한 부작용인지 답답한 경기력이라는 질타를 받고 있다. 심지어 올림픽 덕분에 안 봐도 돼서 좋다는 말까지 나온다. 그나마 올림픽 전 마지막 출전이였던 7월 17일 인천전에선 이전에 보여준 답답한 모습에서 어느정도 벗어나 활동량과 투지를 보여주는 데에는 성공했다.

2.1.4. 서울 이랜드 FC (임대)[편집]


16시즌 중반 이규로와 트레이드되어[3] FC 서울에서 서울 이랜드 FC로 임대되었다. 여기서는 괜찮은 폼을 보이며 9월 17일 아산 무궁화와의 홈 경기에서 추가골을 넣으며 팀이 6위로 올라가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 리그 13경기 1골을 기록했고, 시즌 종료 후 임대복귀.

고광민이 입대하면서 2017 시즌 왼쪽 풀백 자원이 만 34세 김치우와 심상민 둘만 남았지만 서울에서 워낙 부진해서 기회를 잡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만 24세가 되어 U-23 규정을 충족시킬 수 없어 정말 실력으로 승부해야 하는 상황.


2.1.5. 2017 시즌[편집]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5차전 상하이 상강전에 왼쪽 윙백으로 출전했는데 경기를 계속 못 뛴 것 치고는 괜찮은 모습이었다. 5월 3일 전남전에서는 김치우와 동시 기용되어 오른쪽 윙백으로 출전했다. 간신히 주어진 기회를 잡기 위해 열심히 경기장을 누볐다. 수비와 활동량은 괜찮았으나 오른발 크로스를 올리지 못해서 공격력은 좋지 못했다. 왼쪽의 김치우가 나이가 무색한 활약을 하는 데 반해 오른쪽은 신광훈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고요한이 부진해 궁여지책으로 제 포지션이 아닌 곳에서 뛴 탓이라 이해한다는 반응.

이후 김치우의 폼이 크게 떨어지며 기회를 잡지 않을까 했으나 라이트백인 이규로가 왼쪽으로 이동하여 든든한 모습을 보여주며 주전자리를 차지하였다.


2.1.6. 2018 시즌[편집]


기존의 주전 풀백이었던 김치우의 계약 만료, 이규로의 군 입대[4]로 인해 심상민의 입지가 매우 높아졌다. 두명이나 나간 왼쪽 윙백 보강은 필수라 월드컵을 앞두고 국내복귀를 노리던 박주호의 영입으로 메우지 않을까 했으나 박주호는 커녕 아무런 영입이 없었다. 지금까지 가장 경쟁이 수월해보이는 시즌

시즌 초반 선발 출전 기회를 잡았지만 부진한 경기력을 보이며 3라운드 전북 현대전부터 박동진에게 밀려 한동안 벤치에서 보냈다. 그러나 박동진도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해 4월 21일 대구 FC전부터 다시 기회를 잡게 되었다.

5월 5일 슈퍼매치에서는 데얀의 프리킥을 몸을 던져 막아내며 서울 팬들의 칭찬을 받았다.

박동진은 공격력에서, 심상민은 수비력에서 약점을 보였지만 다른부분에서도 딱히 강점을 보인게 아니라 반등을 위해선 주전급 선수 영입은 필수적으로 보인다.

여름 이적 시장을 통해 윤석영이 서울에 새로 합류하였고, 오자마자 좋은 활약으로 주전자리를 차지하여 다시 벤치로 내려가게 되었다. 신광훈의 부상으로 인해 왼발잡이임에도 오른쪽을 보게 됐는데 꽤나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오른발을 잘 쓰지못해 공격상황에서 아쉬움이 많아지자 신예인 윤종규에게 밀렸고, 그 사이에 왼쪽 윙백으로서 가능성을 보인 김한길이 왼쪽 윙백 백업자리를 차지하여 입지를 완전히 잃게 되었다.

최용수 감독의 복귀후에도 왼쪽에선 윤석영김한길 오른쪽에선 신광훈윤종규가 경쟁구도를 형성했고 심상민은 완전히 전력 외로 밀려나게되었다.

전반기까지 같이 포지션경쟁을 하던 센터백출신 박동진은 최용수 감독의 복귀 이후 치러진 자체 청백전에서 거친태클로 인해 진작에 방출통보를 받고 2군으로 내려가 있었는데 동계훈련에서 주전경쟁을 하던 두 선수가 나란히 전력 외 취급을 받는건 아쉬울 따름[5]

2019시즌을 앞두고 고광민이 전역하는터라 본인에게도, 팀에게도 이적이 좋은 선택일 듯 하다.

2.2. 포항 스틸러스[편집]


2019년 1월 2일, 포항에 입단했다.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시절 코치였던 김기동 수석 코치의 존재가 컸다고 한다.

2.2.1. 2019 시즌[편집]


터키 안탈리아에서 진행된 전지훈련 마지막 경기에서 2도움을 올려 팬들의 기대감을 높이는 중이다.

등번호 2번을 배정받았다.[6]

2019년 3월 3일 리그 개막전인 친정 팀 FC 서울과의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했으나 0:2 패배에 일조하고 말았다. 일단 수비 시에 거의 안 보일 정도로 커버가 전혀 안 되었고, 공격 시에도 우물쭈물하며 템포를 끊는다던지 무리한 드리블로 턴오버가 생긴다던지 하는 등 공수 양면에서 실망스러운 경기력을 보여 주었다.

지난 경기에서 논란이 있었지만 2라운드 상주 상무와의 홈 개막전에도 선발 출전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실수가 늘어났고, 상대가 역습을 진행할 때마다 공간을 노출하며 좋은 공격 루트가 되었다. 결국 후반 56분 이광혁과 교체 아웃되었다.

결국 3라운드 경남 FC전에서 수비 라인 물갈이로 인해 명단 제외되었는데, 하필 그 경기에서 4:1 대승을 거두어 앞으로 입지가 불안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왼쪽 풀백 자리를 꿰찬 완델손의 준수한 활약으로 5라운드 강원전 벤치 대기를 제외하면 아예 최순호 감독의 구상에 없는지, 1군 명단에서 제외되고 있다. 대신 4월 9일 대전 시티즌과의 R리그 경기에 선발 출전해 45분을 소화하며 경기 감각을 유지했다.

4월 김기동 감독 부임 이후 4-2-3-1과 4-4-2 전형을 쓰며 완델손을 한 칸 올려 왼쪽 미드필더로 사용하며 왼쪽 풀백 자리가 비어 명단에 복귀했으나, 이상기가 왼쪽에서도 괜찮은 활약을 보이고 있어 출전하지 못했다. 심지어 11라운드 인천전에는 유스 출신 유망주 우찬양에게 밀려 다시 명단 제외됐다.--

12라운드 경남 FC전에서 지난 경기 퇴장으로 결장한 이상기를 대신해 선발 출전하며 약 두 달만에 1군 경기에 출전했고, 풀타임을 뛰었다. 13라운드 서울전엔 벤치에 머물렀고, 14라운드 수원 삼성전 후반 막판 이상기와 교체 투입됐다.

이후 이상기와 번갈아가며 출전하며 왼쪽 풀백 자리를 경쟁하고 있는데, 시즌 초의 부진한 모습과 달리 7,8월이 지나며 점점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너무도 극과 극의 모습에 시즌초 실망하던 포항팬들도 어리둥절한 모습.

본래 장점인, 날카로운 크로스 능력을 보여주면서, 포항 스틸러스 입단 이전에 부진했던 대인마크와 역습 능력을 키워 우측에 김용환과 함께 이번 시즌 포항의 폭발적 상승세를 견인하는 핵심 중추로 활약하였다. 심지어 여러 사람들이 상주 상무로 임대간 강상우가 제대 후 포항으로 복귀해도 심상민과 주전 경쟁을 시켜봐야 하지 않겠냐는 말을 할 정도로 이번 시즌 현저한 기량발전을 보여줬다.

결국 7월 20일 22라운드 인천과의 스틸야드 홈 경기부터 리그 모든 경기에 풀타임 출전하며 김용환과 함께 리그 정상급 좌우 풀백으로 활약했다.

K리그1 26경기에 출전해 1도움을 기록했다.

2.2.2. 2020 시즌[편집]


파일:pohang2020_02.png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3라운드까지 전 경기 풀타임 출장하며 김용환과 함께 측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2.2.3. 상주-김천 상무 FC[편집]


파일:2021심상민.png

국군체육부대 2차 모집에 최종 합격하여 5월 25일 상주 상무에 입대하였다. 첫 시즌에는 K리그1 26라운드 광주전에서 훌륭한 택배 크로스로 박동진의 결승골을 어시스트하며 입대 후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입대 후 거의 모든 경기에 풀타임 출전하며 상주의 마지막 파이널A 진출에 기여했다.

21시즌에 팀은 김천시로 연고이전하며 김천 상무로 재창단되어 K리그 2에서 시작하게 됐고, 김천의 초대 주장에 임명되었다.

개막전 안산과의 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K리그1, 2 통합 1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3월 14일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3라운드 원정 경기에서 왼쪽에서 크로스를 올려 오현규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5월 5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경기에서 58분 조규성의 선제골을 크로스로 어시스트했고, 88분 김주성과 교체아웃 되었다. 팀은 1:0 승리.

전역을 앞둔 10월부터 세대교체의 일환으로 주장직을 정승현에게 물려줬다. K리그2 우승에 기여했다.

2021시즌 김천에서의 출전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17경기 출전 3도움. 정규시즌 종료 후 K리그 어워드 2021K리그2 BEST XI 수비수 부문 후보로 선정되었다.

2021년 11월 27일자로 전역하여 포항으로 복귀한다.


2.2.4. 2021 시즌[편집]


입대 전에 썼던 2번은 그랜트가 달고 있었기 때문에, 등번호는 34번을 배정받았다.

전역하자마자인 11월 28일 인천전부터 풀타임 출전했으며 서울과의 최종전에서도 좌측에서 강상우와 호흡을 맞추며 풀타임을 소화했다. 2021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2경기 출전.


2.2.5. 2022 시즌[편집]


2022시즌 포항 스틸러스 부주장으로 임명되었다. 팀을 떠나는 게 확실해 보였던 기존 부주장 겸 왼쪽 풀백의 포지션과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아 활약할 전망이기 때문에, 올 시즌 많은 시간 출전하며 김기동 감독의 신임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등번호를 입대 전에 썼던 2번으로 바꿨다.

그러나 강상우가 팀에 잔류했기 때문에, 멀티 능력이 강점인 강상우와 좌측면이나 좌우 풀백으로 공존할지, 혹은 좌풀백 자리를 두고 경쟁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3월 2일 3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원정경기에서 왼쪽에서 폭발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 상대한테 경고를 2번이나 유도하고 전북의 측면공격도 막아내면서 1 : 0 승리에 기여하였다.

1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왼쪽에서 왕성한 활동량을 바탕으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시즌 첫 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16라운드 강원 FC와의 홈경기에서 77분 동안 좋은 모습을 보였고, 또 다시 라운드 베스트 11에 선정됐다.

2022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31경기에 출전해 0골 0도움을 기록.


2.2.6. 2023 시즌[편집]


지난 시즌 종료 후 대전 하나 시티즌 이적설이 있었으나 잔류했다. 올 시즌을 끝으로 FA가 된다.

7라운드 FC 서울과의 홈경기에선 41분에 김인성의 동점골을 어시스트하며 시즌 첫 도움을 기록했다.

8라운드 동해안 더비 원정에선 13분만에 고영준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며 2경기 연속 도움을 기록했다.

꾸준히 주전으로 출전하다가 16라운드 광주 원정에서 전반 부상을 당해 하프타임에 교체 아웃됐고 이후 결장했다.

10월 4일 ACL 2차전 우한과의 홈경기 엔트리에 들며 복귀 시점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렸다. 심상민의 대체자 역할을 잘 해주던 완델손이 시즌 아웃을 당했기 때문에 포항 팬들은 심상민를 복귀가 어느 때보다 간절하게 바라고 있다.

3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교체명단에 들면서 복귀전을 가질 예정이다. 후반전 60분 신광훈하고 교체투입을 하면서 복귀전을 가졌다.

FA컵 결승전 후반 11분 신광훈과 교체 투입했고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다가 후반 추가시간 홍윤상의 추가골에 어시스트를 하며 4:2 승리에 기여했다. 이로써 포항에서의 첫 번째 우승을 경험했다.

2.3. 통산 클럽 기록[편집]


2023년 12월 20일 기준

시즌소속 리그구단리그FA컵대륙 대회합계
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경기득점도움
2014K리그 클래식FC 서울200100200500
20151202201---1403
2016400100---500
K리그 챌린지서울 이랜드 FC1310------1310
2017K리그 클래식FC 서울13011002001601
2018K리그11600------1600
2019포항 스틸러스2601------2601
2020300------300
상주 상무 FC1001200---1201
2021K리그2김천 상무 FC1703000---1703
K리그1포항 스틸러스200------200
합계1181860140013019



2.4. 대회 기록[편집]






3. 국가대표[편집]


U-20 대표팀을 거쳐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U-23 대표팀에도 주전 풀백으로 중용되고 있다. 이광종 감독 시기 킹스컵에서 우즈벡의 샴시디노프에게 경기 중 구타를 당한 일이 유명하다. 이후 2016 리우 올림픽 최종 예선에서도 좌 심상민-우 이슬찬 콤비로 8회 연속 올림픽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 특히 왕성한 체력과 활발한 공격 가담으로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 주었다. 그러나 예선 내내, 그리고 결승에서까지 라인 올리고 공격가담 시키는 플레이로 인해 극심한 체력 소모가 있었고 이게 결승에서 터지는 바람에 다소 미덥지 못한 모습을 보여 아쉬움을 남겼다.

2016 리우 올림픽에서도 주전으로 꾸준히 나왔으나 폼이 좋지 못했다. 피지전에서는 역습을 허용할 뻔했고 독일전에서는 손흥민의 적극적인 수비 가담을 이끌어 낸 일등 공신이 되었다. 멕시코전에서는 팀에서 가장 부진했다고 해도 될 정도. 패스가 한 템포 늦거나 한 템포 빨라서 부정확하기 일쑤고 수비에서도 불안하다. 오른쪽의 이슬찬 역시 경기력이 좋지 못하지만 이쪽은 권창훈의 수비 가담이 안 좋아서 어느 정도 쉴드가 가능하한데, 심상민의 경우 손흥민의 수비 기여도를 감안하면 여러모로 아쉬움이 짙다.

2020년 10월 8일 벤투호 주전 왼쪽풀백 홍철이 무릎부상으로 하차하고 대체자원으로 발탁됐다. 이는 심상민의 프로 데뷔 후 첫 국가대표 발탁이다.

4. 플레이스타일[편집]


롱 스로인이 장기인 심상민은 페널티 에어리어 근처에서 상대에게 위협을 줄 수 있으며, 빠른 발을 이용한 과감한 오버래핑이 장점인 왼쪽 풀백이다.


5. 여담[편집]


  • 드리블 폼이 특이하다. 뭔가 촐랑촐랑거리면서 좌우로 몸을 빠르게 흔들며 돌파 타이밍을 잡는데, 보다 보면 귀엽다.

  • 2015년 킹스컵에서 우즈베키스탄의 토히르욘 샴시트디노프 선수에게 일방적 폭행을 당하고 잘 참았다. 이후 한국 페어플레이 위원회에서 수여하는 2016 한국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했다. 샴시트디노프는 우즈베키스탄 축구협회로부터 1년 자격정지 처분을 받았고, 슈흐라트 마크수도프 우즈벡 감독은 경질되었다. [7]




6.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입단 연도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윤평국YOON Pyeongguk1992년 2월 8일189cm, 88kg2022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심상민SIM Sangmin1993년 5월 21일172cm, 78kg2019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용환KIM Yonghwan1993년 5월 25일175cm, 67kg2019
5파일:호주 국기.svgDF그랜트Alexander Ian GRANT1994년 1월 23일191cm, 82kg2021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종우KIM Jongwoo1993년 10월 1일181cm, 70kg2023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인성KIM Insung1989년 9월 9일180cm, 74kg2023
8파일:브라질 국기.svgMF오베르단Oberdan Alionço DE LIMA1995년 7월 30일175cm, 70kg2023임대
9파일:브라질 국기.svgFW제카José Joaquim DE CARVALHO1997년 3월 10일192cm, 83kg2023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백성동BAEK Sungdong1991년 8월 13일167cm, 66kg2023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고영준GOH Youngjun2001년 7월 9일168cm, 69kg2020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승대KIM Seungdae1991년 4월 1일175cm, 64kg2022[b]주장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원철SHIN Wonchul2000년 4월 2일175cm, 70kg2023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승욱PARK Seungwook1997년 5월 7일184cm, 78kg2021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한찬희HAN Chanhee1997년 3월 17일185cm, 75kg2023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신광훈SHIN Kwanghoon1987년 3월 18일178cm, 73kg2021[c]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강현제KANG Hyeonje2002년 8월 31일183cm, 75kg2023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윤민호YOON Minho1999년 10월 17일170cm, 64kg2022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찬용PARK Changyong1996년 1월 27일186cm, 81kg2022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황인재HWANG Injae1994년 4월 22일188cm, 80kg2020
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건우PARK Keonwoo2001년 8월 9일171cm, 70kg2022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조재훈CHO Jaehun2003년 6월 29일180cm, 71kg2021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정재희JEONG Jaehee1994년 4월 28일174cm, 70kg2022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정현KIM Junghyun2004년 6월 29일183cm, 73kg2023
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박형우PARK Hyeongwoo2004년 9월 13일173cm, 68kg2023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윤재운YOON Jaewoon2002년 4월 1일177cm, 77kg2023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이승환LEE Seunghwan2003년 4월 5일186cm, 78kg2022
33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이호재LEE Hojae2000년 10월 14일192cm, 84kg2021
3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규백LEE Gyubaeg2004년 2월 10일185cm, 83kg2022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홍윤상Hong Yunsang2002년 3월 19일178cm, 68kg2021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조성훈CHO Sunghoon1998년 4월 21일189cm, 85kg2019
4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송한록SONG Hanrok2004년 1월 7일182cm, 76kg2023
4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하창래HA Changrae1994년 10월 16일188cm, 82kg2018부주장
55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최현웅CHOI Hyeonwoong2003년 10월 9일188cm, 76kg2023
6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준호KIM Junho2002년 12월 11일182cm, 70kg2021
77파일:브라질 국기.svgFW완델손WANDERSON[d]1989년 03월 31일172cm, 60kg2019
8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규표KIM Kyupyo1999년 2월 8일176cm, 70kg2019
9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양태렬Yang Tae-Ryoul1995년 5월 25일179cm, 73kg2018
구단 정보
대표이사: 최인석 / 감독: 박태하 / 홈구장: 포항스틸야드
출처: 포항 스틸러스 홈페이지
[b] 유스 출신으로 2013년 포항에서 프로데뷔[c] 유스 출신으로 2006년 포항에서 프로데뷔[d] 풀 네임은 Wanderson Carvalho DE OLIVEIR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8:45:29에 나무위키 심상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2020, 2022~[2] 2021[3] 이규로는 완전이적, 심상민은 6개월 임대라는 조금 특이한 형식의 트레이드다.[4] 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했다.[5] 그러나 박동진은 최용수감독에게 절실함을 어필하여 2019시즌 동계훈련에 가까스로 참가하게 되었고, 이 기간동안 공격수로의 가능성을 보이며 주전공격수로 자리잡았다.[6] 서울에서 쓰던 21번, 19번은 이준, 이상기가 쓰고 있었다.[7] 경기 중에 저렇게 심하게 맞고도 그냥 참고만 있는 게 페어플레이냐며 말이 많긴 했다. 그래도 이후 2022년에 이스타TV에서 이 사건이 잠시나마 다시 언급되었을 땐 축구 내적으로는 잘 참은게 맞다는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