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준(조선)

덤프버전 : r


신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송문림심회윤사흔
이정이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수류지
박거겸선형신정2신준
심한어유소오백창우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현
이훈정난종정숭조한보
한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정국공신
[ 펼치기 · 접기 ]

1506년 9월 8일 중종에 의해 책록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1등)
박원종홍경주류자광류순정
장정박영문성희안신윤무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
이효성최한홍류순이계
이활심순경윤형로김수동
이계남변수조계상김감
구수영
병충분의정국공신 (3등)
고수겸류세웅이심민회창
구현휘신준정미수강혼
류경김경의윤양로심형
류계종이식허상백수장
김우증박건한순김수경
이함황탄윤사정민희발
장온이극정이석번송질
이손정윤겸심정
분의정국공신 (4등)
박이검윤형이종의한사문
윤탄조세훈박영창이창
박영분변준신윤문민효증
이성언이상이맹우김임
최유정이희옹변사겸홍경림
김극성이당류홍이성동
조계은장한공유승건한숙창
강지성몽정윤희평성율
이기박이온손동윤장
류영류응룡이세응신수린
윤금손김선신은윤이곤
성희옹윤여필황맹헌허광
한세창조원륜강윤희조계형
문치채수서경생김계공
김은김무권균김준
반우형김숙손우정임원산
송일




1. 개요[편집]


조선 전기의 문신. 는 언시(彦施). 는 나헌(懶軒). 시호는 소안(昭安). 본관은 고령(高靈).


2. 생애[편집]


신준(申浚)은 1444년(세종 26)에 태어났으며, 영의정을 지낸 보한재 신숙주의 아들이다.

1470년(성종 1) 별시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병조참지에 특별히 발탁되었고, 이듬해 좌리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그 뒤 병조참의를 거쳐 1477년(성종 8) 동부승지가 되었다. 이로부터 성종의 특별한 은총을 입어 같은 해에 우승지, 좌승지를 거쳐 도승지에 승진하였다. 이듬해 호조참판을 역임하고, 1480년(성종 11) 고양군(高陽君)에 봉해졌다. 이어서 이조참판이 되어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그 뒤 예조참판을 거쳐 1486년(성종 17) 한성부판윤이 되었다. 이듬해에는 이조판서가 되고 공조판서를 거쳐 그 뒤 우참찬, 평안도관찰사, 한성부판윤 등 내외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495년(연산 1)에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공조판서가 되고 이어 형조판서가 되어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임하였다. 그 뒤 대사헌을 거쳐 세번째로 공조판서와 한성부판윤을 역임하고 우참찬, 좌참찬을 지내면서 언로의 개방 등 시무 10조를 진언하였다. 1503년(연산 9) 명나라 사신이 우리나라의 궁시(弓矢)를 요구하자 궁시의 성능은 우리가 우월하니 그 비밀의 누설은 국방상 불리하므로 명의 사신에게 주는 것은 불가하다고 진언하였다. 1506년(연산 12) 7월 23일 좌찬성으로 승진하였다.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에 책록되고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에 진봉되었다. 1507년(중종 2) 반정에 공이 없는 공신은 대간의 청을 가납하여 음가(蔭加)를 회수할 것을 진언하였다. 1509년(중종 4) 7월 11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시호는 소안(昭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3-01 08:02:07에 나무위키 신준(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