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진전자

덤프버전 :




세진전자
SEJIN ELECTRONICS


정식명
세진전자 주식회사
영문명
Sejin Electronics Co., Ltd.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대표
정동협
설립일
1972년 12월
업종명
환경기기, 전자기기 측정, 시험 및 분석기구 제조업
직원 수
272명[1]
매출액
407억 4,607만원[2]
본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통일로 140, 삼송테크노밸리 B동 4층 419호
규모
중소기업
홈페이지
구 웹사이트[3]
신 웹사이트
1. 개요
2. 역사
3. 휴대폰 사업
4. 현재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자기기 제조업체. 사업분야는 전자기기 측정 시험 및 분석기구 제조업이다.[4]


2. 역사[편집]


1972년 12월 세진전자(주)로 설립되었다. 같은달 중순 쌍엽전자공업(주)에 합병되었으며, 이후 사명을 다시 세진전자(주)로 변경하였다. 크게 보았을 때 역합병이 된 셈.[5]

1973년 1월을 기점으로 한국수출산업공단 입주업체로 지정, 같은해 4월에는 무역업에 등록되었다. 곧 형광문자표시관 1차 수출을 개시하였으며 스위치 생산을 시작함과 함께 전자공업에 등록되었다. 1977년에는 (주)서울디지탈을 흡수합병하여 1980년 키보드 생산을 개시하였다.

1985년 일본의 '산코우 세이키'와 타이머 SW제조기술 계약에 이어, 1986년 미국의 '로버트쇼'와 가전용 컨트롤러 제조기술 계약을 체결하여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며 세간의 이목을 끌기 시작한다. 이외에도 미국 현지법인 설립, 미국 '홈러우'와 J-MOUSE 응용기술 T/A, 일본 '나일레스' 부품사와 자동차 S/W기술 T/A, 삼성자동차의 협력업체로 지정되어 자동차용 스위치 및 부품을 개발, 생산하였다. 또한 1997년 3월 와이어리스 멀티미디어 KBD 세계 최초 개발, 2000년 7월에는 Sankyo와의 합작사인 SCD[6]코스닥 등록, 2001년 10월 계열사인 세진HK(주) 설립 및 중국 SJC공장을 설립과 함께 중국 R&D 센터까지 설립하였다.


3. 휴대폰 사업[편집]


2003년 6월 한화정보통신[7]을 인수하며 휴대폰 사업에 진출하게 되었다.

세진전자가 2004년 출시한 '큐폰'(NS1000)

2004년 세진전자가 출시한 휴대폰 NS1000[8]은 기본적인 기능만 탑재한 LG텔레콤 전용 보급형 제품으로, 출고가가 9만원이었지만 통신사 지원금을 통해 최소 1천원이라는 헐값에 구입이 가능해 일명 버스폰, 천원폰이라고도 불렸다.

하지만 이 휴대폰은 폴더나 플립을 열 필요도 없고 크기도 작으며 출고가도 저렴하다는 점 때문에, 발매 당시 학생들이 수능 부정행위용 단말로 사용하기 위해 대량 구입하여 부정행위를 시도하다 적발되는 사건을 불러일으켰다. 기사

이로인해 정식 발매명은 큐폰(Q Phone)이었지만 모두에게 수능부정폰이라는 오명으로 불리는 휴대폰이 되었다.(...)[9]


4. 현재[편집]


현재는 휴대폰 사업은 하지 않으며, 파워서플라이 및 기타 통신모뎀 등을 생산하고 있다.

세진전자의 파워서플라이 SJ-20XX

세진컴퓨터랜드와는 이름 때문에 계열사로 혼동하기 쉬우나, 전혀 관련성이 없는 기업이다.



[1] 2009년 기준, 등기상.[2] 2010년 기준, 등기상.[3]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4] 경쟁사이자 국내 최초의 통신기기 전문업체였던 맥슨전자보다 빨리 설립되었지만 통신기기 전문업체로 출발하지는 않았다.[5] 쌍엽전자공업도 197212월에 설립됐다.[6] Sejin-Sankyo Control Devices Co., Ltd.[7] 당시는 합병된 상황이었기에 (주)한화/정보통신 부문이었다. 출시 제품으로는 한화G2마이크로아이 등이 유명했다.[8] 언론에서 LG-NS1000으로 오보가 나간 적 있으나, 사실은 그냥 NS1000 또는 NS-1000이 맞다. LG텔레콤 전용모델이긴 하나 LG전자와는 전혀 관련성이 없는 휴대폰이다.[9] 현재는 매우 희귀해졌으며, 여주 폰 박물관에 가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