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덕왕릉

덤프버전 :

신라 왕릉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width=25%>
[[혁거세 거서간|{{{#fff 초대 혁거세 거서간}}}]]
[br][[오릉|혁거세왕릉(오릉)]] ||<width=25%>
[[남해 차차웅|{{{#fff 제2대 남해 차차웅}}}]]
[br][[오릉|남해왕릉(오릉)]]
||<width=25%>
[[유리 이사금|{{{#fff 제3대 유리 이사금}}}]]
[br][[오릉|유리왕릉(오릉)]]
||<width=25%>
[[탈해 이사금|{{{#fff 제4대 탈해 이사금}}}]]
[br][[탈해왕릉]]
|| ||
[[파사 이사금|{{{#fff 제5대 파사 이사금}}}]]
[br][[오릉|파사왕릉(오릉)]] ||
[[지마 이사금|{{{#fff 제6대 지마 이사금}}}]]
[br][[지마왕릉]] ||
[[일성 이사금|{{{#fff 제7대 일성 이사금}}}]]
[br][[일성왕릉]] ||
[[아달라 이사금|{{{#fff 제8대 아달라 이사금}}}]]
[br][[배동 삼릉|아달라왕릉(배동 삼릉)]] || ||
[[벌휴 이사금|{{{#fff 제9대 벌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내해 이사금|{{{#fff 제10대 내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조분 이사금|{{{#fff 제11대 조분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첨해 이사금|{{{#fff 제12대 첨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미추 이사금|{{{#fff 제13대 미추 이사금}}}]]
[br][[미추왕릉]] ||
[[유례 이사금|{{{#fff 제14대 유례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기림 이사금|{{{#fff 제15대 기림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흘해 이사금|{{{#fff 제16대 흘해 이사금}}}]]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내물 마립간|{{{#fff 제17대 내물 마립간}}}]]
[br][[내물왕릉]][br][[황남대총]](소수설) ||
[[실성 마립간|{{{#fff 제18대 실성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눌지 마립간|{{{#fff 제19대 눌지 마립간}}}]]
[br][[황남대총]](다수설) ||
[[자비 마립간|{{{#fff 제20대 자비 마립간}}}]]
[br][[황남대총]](소수설) || ||
[[소지 마립간|{{{#fff 제21대 소지 마립간}}}]]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지증왕|{{{#fff 제22대 지증왕}}}]]
[br][[천마총]](통설) ||
[[법흥왕|{{{#fff 제23대 법흥왕}}}]]
[br][[법흥왕릉]] ||
[[진흥왕|{{{#fff 제24대 진흥왕}}}]]
[br][[진흥왕릉]] || ||
[[진지왕|{{{#fff 제25대 진지왕}}}]]
[br][[진지왕릉]] ||
[[진평왕|{{{#fff 제26대 진평왕}}}]]
[br][[진평왕릉]] ||
[[선덕여왕|{{{#fff 제27대 선덕여왕}}}]]
[br][[선덕여왕릉]] ||
[[진덕여왕|{{{#fff 제28대 진덕여왕}}}]]
[br][[진덕여왕릉]] || ||
[[태종 무열왕|{{{#fff 제29대 태종 무열왕}}}]]
[br][[무열왕릉]] ||
[[문무왕|{{{#fff 제30대 문무왕}}}]]
[br][[문무대왕릉|문무대왕릉(대왕암)]] ||
[[신문왕|{{{#fff 제31대 신문왕}}}]]
[br][[신문왕릉]] ||
[[효소왕|{{{#fff 제32대 효소왕}}}]]
[br][[효소왕릉]] || ||
[[성덕왕|{{{#fff 제33대 성덕왕}}}]]
[br][[성덕왕릉]] ||
[[효성왕|{{{#fff 제34대 효성왕}}}]]
[br][[효성왕릉]] ||
[[경덕왕|{{{#fff 제35대 경덕왕}}}]]
[br][[경덕왕릉]] ||
[[혜공왕|{{{#fff 제36대 혜공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선덕왕|{{{#fff 제37대 선덕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원성왕|{{{#fff 제38대 열조 원성왕}}}]]
[br][[원성왕릉|원성왕릉(괘릉)]] ||
[[소성왕|{{{#fff 제39대 소성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애장왕|{{{#fff 제40대 애장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덕왕|{{{#fff 제41대 헌덕왕}}}]]
[br][[헌덕왕릉]] ||
[[흥덕왕|{{{#fff 제42대 흥덕왕}}}]]
[br][[흥덕왕릉]] ||
[[희강왕|{{{#fff 제43대 희강왕}}}]]
[br][[희강왕릉]] ||
[[민애왕|{{{#fff 제44대 민애왕}}}]]
[br][[민애왕릉]] || ||
[[신무왕|{{{#fff 제45대 신무왕}}}]]
[br][[신무왕릉]] ||
[[문성왕|{{{#fff 제46대 문성왕}}}]]
[br][[문성왕릉]] ||
[[헌안왕|{{{#fff 제47대 헌안왕}}}]]
[br][[헌안왕릉]] ||
[[경문왕|{{{#fff 제48대 경문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
[[헌강왕|{{{#fff 제49대 헌강왕}}}]]
[br][[헌강왕릉]] ||
[[정강왕|{{{#fff 제50대 정강왕}}}]]
[br][[정강왕릉]] ||
[[진성여왕|{{{#fff 제51대 진성여왕}}}]]
[br]'''현재 소재 파악 불가''' ||
[[효공왕|{{{#fff 제52대 효공왕}}}]]
[br][[효공왕릉]] || ||
[[신덕왕|{{{#fff 제53대 신덕왕}}}]]
[br][[배동 삼릉|신덕왕릉(배동 삼릉)]] ||
[[경명왕|{{{#fff 제54대 경명왕}}}]]
[br][[배동 삼릉|경명왕릉(배동 삼릉)]] ||
[[경애왕|{{{#fff 제55대 경애왕}}}]]
[br][[경애왕릉]] ||
[[경순왕|{{{#fff 제56대 경순왕}}}]]
[br][[경순왕릉]] || ||<-4>
{{{#000,#e5e5e5 수장급 능묘}}}
[br][[대릉원]]([[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br][[금척리 고분군]] ·[[서악동 고분군]][br][[구정동 방형분]] · [[경주 김유신묘|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묘 ||






파일:성덕왕릉.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8호
경주 성덕왕릉
慶州 聖德王陵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 산 8번지
분류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면적98,948㎡
지정연도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통일신라
위치

1. 개요
2. 상세
3. 기타
4. 외부 링크
5. 사적 제28호



1. 개요[편집]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에 있는 신라왕릉. 1963년 사적 제28호로 지정됐다.


2. 상세[편집]


많은 신라왕릉이 비정이 잘못됐다는 의혹을 받는 상황이지만, 성덕왕릉은 실제 성덕왕의 왕릉이 확실하다고 학계에서 대부분 인정받는 편이다. 아래에 설명하듯 이 시기 왕릉의 형식이 비교적 잘 보존돼있고,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이거사로 추정되는 전이거사지가 성덕왕릉 바로 북쪽에 있기 때문이다.

바로 옆에 전 왕이자 형인 효소왕효소왕릉이 있는데, 지금도 섬세한 장식이 남아있는 성덕왕릉에 비해 규모도 작고 초라해서 비교가 된다.[1] 성덕왕릉은 작은 소나무 숲에 둘러싸여있는데 신라 시대의 십이지상, 받침돌과 돌사자, 실제 사람 크기의 무인상 등이 남아있는 등 오래 재위한 명군답게 상당히 화려하고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파일:사적28호성덕왕릉십이지신상.jpg
입체 십이지상은 성덕왕릉의 가장 큰 특징이다. 다른 신라왕릉에는 대체로 십이지를 평평한 돌 위에 부조했다. 부조 문서의 이미지나 경주 김유신묘 십이지상 문서를 보면 어떤 느낌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성덕왕릉의 십이지상은 입체 조각상이다. 다른 왕릉이 2D라면 여기는 3D인 셈이다. 다만 아쉽게도 대부분 머리 부위가 훼손된 상태다. 다른 왕릉보다 좀 더 오래됐기도 하고, 십이지상이 넘어지면서 깨지고 천수백년 동안 전쟁도 겪다보니 대부분 부서졌고, 그나마 가장 보존 상태가 좋았던 원숭이상은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겼다.

파일:사적28호성덕왕릉능비귀부.jpg
100m 거리에는 왕릉비 비석이 꽂혀있던 귀부가 있다. 귀부는 비석을 등 위에 받치고 있는 거북이 석상을 말하는데, 거북이만 남아있다. 거북이 머리는 깨져 있지만 몸은 상당히 온전하게 보존돼 있어 연구 가치가 크다고 하며, 성덕왕의 업적을 잔뜩 써 놨을 가장 중요한 비석은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지만[2] 문무왕릉비충주 고구려비처럼 어느 시골 마을에서 사람들에게 잊혀진 채 있을 수도 있다.


3. 기타[편집]


왕릉의 접근성은 7번 국도 바로 옆이고 경주시 시내버스를 이용한다면 한국광고영상박물관 정류장에서 매우 가까워 좋은 편이다. 도로와 왕릉 사이에 동해선 철도 철길이 있는데 2022년 기준으로 이 철길은 폐선되어 열차가 더 이상 다니지 않는다. 과거에 이 철도에 열차가 다닐 때는 버스 정류장 바로 옆에 철길을 가로질러 왕릉으로 가는 길이 닦여있었는데, 철도안전법 위반인 데다 굉장히 위험했고 철길을 건너지 않으려면 북동쪽 마을까지 돌아서 가야 했다.[3]


4. 외부 링크[편집]




5. 사적 제28호[편집]



경주에서 불국사 방향으로 가는 길의 동남쪽 구릉 소나무숲 속에 자리하고 있는 신라 제33대 성덕왕(재위 701∼737)의 무덤이다.

성덕왕은 신문왕의 아들로 본명은 융기이다. 당과 적극적인 교류를 하였으며 정치적으로 가장 안정된 신라의 전성기를 이끌어 나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737년에 왕이 죽자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지냈다고 하는데, 현재 왕릉 북쪽에 이거사로 추정되는 절터가 있다.

이 능은 밑둘레 46m 높이5m이다.

무덤 아래부분에는 둘레돌을 배치하여 무덤을 보호하도록 하였는데, 높이 90㎝ 정도의 돌(면석)을 두르고 그 위에 덮개돌인 갑석을 올렸다. 면석 사이에는 기둥 역할을 하는 탱석을 끼워 고정시켰으며, 그 바깥쪽에 삼각형의 돌을 세워 받치고 있다. 삼각형의 받침돌 사이에 12지신상이 배치되어 있는데 네모난 돌 위에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서 있는 모습의 조각이 심하게 파손되어 있다.

무덤 앞쪽에는 석상이 놓여있고 무덤 주위의 4모서리에는 돌사자를 배치하였다. 석상 앞쪽 양 옆으로 문인석·무인석 각 1쌍을 세웠던 것으로 보이나, 지금은 무인석 1개와 상반신만 남은 석인(石人) 1개가 남아 있다.

성덕왕릉에서 보이고 있는 석물의 사실적인 조각기법은 통일신라 초기 양식에 속하며, 왕릉은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으로서 완비된 모습을 갖추고 있다.

※(신라성덕왕릉 → 경주 성덕왕릉)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9:57:33에 나무위키 성덕왕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지금 효소왕의 왕릉으로 알려진 이 무덤은 실제 효소왕의 무덤이 아니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효소왕릉 문서 참조.[2] 사실 비석이 지금까지 남아있는 조선 이전의 왕릉은 거의 없다. 귀부라도 그럭저럭 남아있는 성덕왕릉이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편에 드는 것이다.[3] 이 철도를 폐선한 이유가 일제강점기에 닦은 현 동해선이 이 곳처럼 유적지들 바로 코앞이거나, 심하게는 사천왕사지동궁과 월지처럼 유적지 위를 지나는 경우가 많아 훼손의 위험도 있고 방문객 접근도 위협하고 있어서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