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제락

덤프버전 :


International Bartenders Association
2020년 IBA 공식 칵테일
[ 펼치기 · 접기 ]

||<-6><bgcolor=#1c1c1c><color=#df0101><tablebgcolor=#FFF,#2d2f34><tablewidth=100%> The Unforgettables ||
|| 네그로니 || 다이키리 || 드라이 마티니 || 라모스 피즈 || 라스트 워드 || 러스티 네일 ||
|| 마르티네스 || 맨해튼 || 메리 픽포드 || 몽키 글랜드 || 불바디에 || 뷰 카레 ||
|| 브랜디 크러스타 || 비트윈 더 시트 || 사이드카 || 사제락 || 스팅어 || 아메리카노 ||
|| 알렉산더 || 애비에이션 || 엔젤 페이스 || 올드 패션드 || 위스키 사워 || 존 콜린스 ||
|| 진 피즈 || 카지노 || 클로버 클럽 || 턱시도 || 파라다이스 || 포르토 플립 ||
|| 플랜터즈 펀치 || 행키팽키 || 화이트 레이디 || 더비 || 바카디 || 스크루드라이버 ||
||<-6><bgcolor=#1c1c1c><color=#df0101> Contemporary Classics ||
|| 골든 드림 || 그래스호퍼 || 데킬라 선라이즈 || 롱 아일랜드 아이스 티 || 마가리타 || 마이타이 ||
|| 모스코 뮬 || 모히토 || 미모사 || 민트 줄렙 || 베스퍼 || 벨리니 ||
|| 블랙 러시안 || 블러디 메리 || 샴페인 칵테일 || 섹스 온 더 비치 || 시 브리즈 || 싱가폴 슬링 ||
|| 아이리시 커피 || 좀비 || 카이피리냐 || 코스모폴리탄 || 콥스 리바이버 No.2 || 쿠바 리브레 ||
|| 키르 || 프렌치 75 || 프렌치 커넥션 || 피나 콜라다 || 피스코 사워 || 헤밍웨이 스페셜 ||
|| 홀시스 넥 || 갓마더 || 갓파더 || 로즈 || 하비 월뱅어 ||
||<-6><bgcolor=#1c1c1c><color=#df0101> New Era Drinks ||
|| 네이키드 앤 페이머스 || 뉴욕 사워 || 다크 앤 스토미 || 러시안 스프링 펀치 || 레몬 드롭 마티니 || 바라쿠다 ||
|| VE.N.TO || 브램블 || 비스 니즈 || 사우스사이드 || 서퍼링 바스타드 || 스파이시 피프티 ||
|| 아페롤 스프리츠 || 에스프레소 마티니 || 옐로 버드 || 올드 쿠반 || 일레갈 || 칸찬차라 ||
|| 토미스 마가리타 || 트리니다드 사워 || 티퍼러리 || 팔로마 || 페니실린 || 페르난디토 ||
|| 페이퍼 플레인 || 프렌치 마티니 || 더티 마티니 || 뱀피로 || B-52 || 카미카제 ||
||<-6><bgcolor=#dddddd,#6f6f6f><color=#000,#DDD> ※ 취소선 : 2011년 공식 레시피였으나 2020년 제외 ||
||<-6> IBA 제외 칵테일 목록 보러가기 ||


파일:logo-iba.png IBA Cocktail, The Unforgettables
Sazerac

1. 개요[편집]


코냑을 베이스로 하며, 현재 IBA 공식 칵테일에 등록되어 있는 레시피 중 하나이다. 외국에서는 나름대로 인지도와 인기가 높은 반면 우리나라는 그다지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와 국내에서의 인지도 차이가 극심한 칵테일이다.


2. 상세[편집]


파일:사제락원조.jpg
사제락 증류소(Sazerac de Forge et Fils)의 로고
사제락(Sazerac)은 원래 프랑스에서 코냑을 만들던 가문의 이름이었다. 가문의 이름을 딴 사제락 증류소(Sazerac de Forge et Fils)에서는 코냑을 만들어 미국, 뉴올리언스에 있는 사제락 커피 하우스에 이를 판매하였으나, 필록세라의 유행으로 맥이 끊겼다.

이 사제락 커피 하우스에서는 자신들의 시그니처 칵테일로 본인들의 이름을 딴 '사제락'을 판매하였는데,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남북 전쟁 이전에 만들어졌다는 점은 확실하다. 필록세라의 영향으로 코냑의 공급이 끊긴 후에는 호밀이 주 원료인 라이 위스키를 이용해서 이 칵테일을 만들었다.

이어 페이쇼드 비터를 인수한 후, 기존에 사용하던 비터를 이것으로 대체하고, 압생트가 금지되면서 허브를 이용한 술로 대체했다.


3. 레시피[편집]



3.1. IBA 공식 레시피[편집]


* 코냑 - 50 ml (1 2/3 oz)
* 압생트 - 10 ml (1/3 oz)[1]
* 각설탕 - 1개
* 페이쇼드 비터 - 2 Dashes
-
* 1. 차갑게 식힌 올드 패션드 글라스에 압생트를 따르고 잔을 돌려가며 잔 안에 압생트를 골고루 묻혀준다.
* 2. 이후 올드 패션드 글라스에 얼음을 넣어 차갑게 식혀준다.
* 3. 믹싱 글라스를 준비해준다. 각설탕과 비터를 넣고 각설탕을 머들러로 으깨준 다음[2], 꼬냑을 넣고 얼음과 함께 스터한다.
* 4. 올드 패션드 글라스에 있는 얼음과 압생트를 버리고, 얼음을 걸러내며 믹싱 글라스에 있는 음료를 따른다.
* 5. 레몬 제스트로 장식한다.

만드는 방법이 상당히 복잡하다. 만드는 이에 따라 방법도 더 여러 가지로 세분화되는데, 압생트를 린스하지 않고 향수병 같은 작은 병으로 스프레이하거나, 완성 후에 비터처럼 몇 방울 떨어트려 향을 퍼트리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압생트를 좋아하는 사람은 남은 압생트를 버리지 않고 믹싱 글라스에 추가하기도 한다.

필록세라 이후의 시기처럼 라이 위스키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일드 터키 라이[3]나 사제락 사에서 나온 사제락 라이를 주로 사용하며, 한국에서는 이쪽이 더 보편적이고 코냑을 이용해서 만든 사제락을 꼬제락어감이 어째 안좋다이라고 구분해서 부르기도 한다.

여담으로, 을 섞거나 버번 위스키를 이용해서 만들면 자자락(Zazarac)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9:42:21에 나무위키 사제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이것보다 적어도 된다.[2] 당연하지만, 머들러 외에도 각설탕을 으깰 수 있는 재료라면 무엇이든 대체해 사용하면 된다.[3] 한때는 한국에 수입되는 라이 위스키가 이것밖에 없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