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오항공

덤프버전 :

아시아의 플래그 캐리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ta-hash-start=w-89013d8e1ded12e8068a49d8ce568da3[[파일:북한 국기.svg 북한ta-hash-start=w-e08fcc4803e06507cc6cf38a3261964d[[파일:일본 국기.svg 일본ta-hash-start=w-0becfc88db68ee210a1d5dc5989632e1[[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고려항공 로고.svg
ta-hash-start=w-6b939460a6f473dc2d6b613bea3af05b[[파일:중국 국기.svg 중국ta-hash-start=w-055e1e5b7050109e8823a3995be15df7[[파일:대만 국기.svg 대만ta-hash-start=w-aa9abedcb245985b4d98dbc804e7bc7a[[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ta-hash-start=w-6ea4ce001aa663d9c80a2257ff27feac[[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좌우.svg
파일:에어마카오 로고.svg
ta-hash-start=w-3b0cc7bcc871da67259a21b278670614[[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ta-hash-start=w-7ae08babfc84c5d76fdd45ee4966140c[[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싱가포르ta-hash-start=w-9f4cb1fef50363b90192914d7b2b31f8[[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
파일:타이항공 로고.svg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브루나이
파일:캄보디아 앙코르 항공 로고.svg
파일:로열 브루나이 항공 로고.svg
카자흐스탄ta-hash-start=w-bde72c4dba0920358fffdb27007be1f6[[파일:인도 국기.svg 인도ta-hash-start=w-eb111ea7e23e7bd8365a1e9964d954e4[[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ta-hash-start=w-09ad8f6b692717316913809f9903fd08[[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에어 아스타나 로고.svg
파일:에어 인디아 로고.svg
파일:미얀마 내셔널 항공 로고.svg
파일:네팔항공_2023로고.png
방글라데시ta-hash-start=w-e2cc2216734e38aa8e97ad9937489082[[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스리랑카 우즈베키스탄
파일:비만 방글라데시 항공 로고.svg
파일:드루크 항공 로고.svg
파일:스리랑카 항공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항공 로고.svg
파키스탄ta-hash-start=w-776f2133216e85c918fc4ca650118d24[[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ta-hash-start=w-25393b46957e31fcdc605d76428cae67[[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파키스탄 국제항공 로고.svg
파일:중동항공 로고.svg
파일:예메니아 항공 로고 영문.svg
ta-hash-start=w-a4ad4c62b6a12892242bd6786d83f9aa[[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ta-hash-start=w-68897f19b106926ed889fe3f7e3d01c9[[파일:오만 국기.svg 오만ta-hash-start=w-0ff0ca3dffc1a64964edbd3b1d14f85d[[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Etihad Airways 로고.svg
파일:Emirates 로고 가로형.svg
파일:오만 항공 로고.svg
파일:로얄 요르단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14fd9fb569a4f7693950b8a7f2e66699[[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이스라엘ta-hash-start=w-017326cd529b9126139a294e682c0495[[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쿠웨이트
파일:엘알 이스라엘 항공 로고.svg
파일:쿠웨이트 항공 로고.svg
아프가니스탄ta-hash-start=w-1803742335a36a204b9df8ec6ff20a36[[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투르크메니스탄ta-hash-start=w-9fa0ab30541e79ee95552142c3560a2e[[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로고.svg
파일:걸프에어 로고.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항공 로고.png
파일:이라크 항공 로고.svg
ta-hash-start=w-dafd5c00f7059f831b443bfb76ef4024[[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ta-hash-start=w-d1b8f0be175020bc1d1f0a188b6476f1[[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시리아 항공 로고.svg
파일:몰디비안 로고.svg




파일:라오항공 로고.svg
라오항공
ການບິນລາວ
Lao Airlines
부호항공사 호출부호 (LAO)
IATA (QV), ICAO (LAO)
항공권 식별번호627
설립 연도1976년
허브 공항왓따이 국제공항
거점 공항루앙프라방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11
취항지 수23
마일리지Champa Muang Lao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2.1. 운항 노선
3. 대한민국 노선
4. 보유 기종
5. 사건 사고
6. 여담



1. 개요[편집]


라오스플래그 캐리어(국영 항공사)이다. 본사는 수도 비엔티안에 두고 있으며, 왓따이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2. 역사[편집]


1976년, 로얄 에어 라오(Royal Air Lao)와 라오항공(Lao Air Lines)가 합병해 라오 에이비에이션(Lao Aviation)으로 설립되었다. 2000년 중국운남항공과 라오스 정부가 합동으로 투자해 국유화 되었다. 2003년 사명을 라오항공으로 변경했다.

2.1. 운항 노선[편집]


국내선
루앙남타 ∙ 루앙프라방[1] ∙ 무앙싸이 ∙ 빡세 ∙ 폰사반 ∙ 까이손폼위한 ∙ 비엔티안[2]
국제선
국가취항지
캄보디아씨엠립
중국베이징창사청두 ∙ 창저우 ∙ 광저우항저우 ∙ 징훙 ∙ 쿤밍상하이 ∙ 원저우
일본후쿠오카마시키
한국서울
태국방콕치앙마이
베트남하노이호찌민

3. 대한민국 노선[편집]


자사 기재 직항
비엔티안(VTE)서울(ICN)/T1비엔티안(VTE)서울(ICN)/T1
(QV924[실제운항편명])
서울(ICN)/T1비엔티안(VTE)
(QV923[실제운항편명])
기종운항일
23:15(ICT) 출발/06:05(KST) 도착08:05(KST) 출발/1:30(ICT) 도착A320-200월,목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ATRATR 72-5004
ATR 72-6003
에어버스A320-2004

5. 사건 사고[편집]


  • 1980년 1월 31일, 경착륙으로 인해 수리를 받고 비엔티안에 착륙하던 An-26기가 추락했다. 탑승객 전원은 생존했다.
  • 1990년 4월 22일, 루앙 남사 공항에서 이륙하던 An-24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건물과 충돌했다. 건물에 있던 1명이 사망했다.
  • 1993년 12월 13일, 폰사반에 접근중이던 Y-12기가 안개속에서 나무와 충돌했다. 탑승객 18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8년 5월 25일, 베트남군을 태운 Yak-40기가 폭우속에서 정글에 추락했다. 탑승객 26명 전원이 사망했다.
  • 2000년 10월 19일, 703편 Y-12기가 악천후 속에서 산에 추락했다. 탑승자 17명 중 8명이 사망했다.
  • 2002년 2월 14일, Y-12기가 이륙중 돌풍을 만나 추락했다. 탑승했던 15명 전원이 생존했다.
  • 2013년 10월 16일, 비엔티안에서 14시 40분에 출발해 참파삭주 팍세(ປາກເຊ)로 가려던 QV301편 ATR 72기가 조종사의 과실로 공항으로부터 약 6km 떨어진 메콩강에 추락하여 탑승했던 49명 전원이 사망했는데 이 중에 대한민국 국민 3명이 포함되었다. #
  • 2022년 12월 19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이륙 대기중인 924편 A320기와 견인중이던 에어프레미아 B787-9 항공기가 충돌하여 A320 수직미익이 파손되었다. 탑승했던 118명 승객은 모두 무사하다.#

6. 여담[편집]


친북 국가이자 탈북민을 북송하는데 협력하는 라오스의 항공사이기 때문에 북한이탈주민은 이 항공사를 이용하지 않을 것을 추천한다. 자세한 사유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의 이 문단을 필독할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0:23:26에 나무위키 라오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거점공항[2] 허브[실제운항편명]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