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흥군·보성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고흥군·보성군.svg
선거인 수117,240명 (2008)
상위 행정구역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고흥군 전역
고흥읍, 도양읍,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점암면, 영남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보성군 전역
보성읍, 벌교읍, 노동면, 미력면, 겸백면, 율어면, 복내면, 문덕면, 조성면, 득량면, 회천면, 웅치면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고흥군, 보성군·화순군
폐지년도2016년
이후 선거구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승남



1. 개요[편집]


2004년 17대 총선을 앞두고 신설된 선거구로, 12대 총선까지 같은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던 고흥군보성군을 다시 합쳐 신설된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의 유명 정치인으로는 5선 의원과 국민의 정부 초대 법무부장관을 지낸 박상천국민의당, 바른미래당 대표를 역임한 박주선, 신민당, 평화민주당 부총재를 역임한 이중재 등이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의원명당적임기지역구
제9대[中]신형식
ta-hash-start=w-779aee58a113f3232367178bd9c8bde0[[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보성군·고흥군
이중재
ta-hash-start=w-cc9657884708170e160c8372d92f353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제10대[中]신형식
ta-hash-start=w-2150efa649c97d89173ef907ac5a4b0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73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김수
무소속

11대[中]이대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5월 29일
유준상
ta-hash-start=w-0f178c4bac39101d7d38a61e4c420b26[[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2대[中]이대순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유준상
ta-hash-start=w-99e30f7397f051b882943a65c240e2b6[[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1]
제13대박상천
ta-hash-start=w-3e426911d34b34dfcff99725190f07d4[[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고흥군
유준상보성군
제14대박상천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고흥군
유준상보성군
제15대박상천
ta-hash-start=w-bf9d0c59964a37b03173d7c683153962[[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고흥군
박찬주보성군·화순군
제16대박상천
ta-hash-start=w-6cd9313ed34ef58bad3fdd504355e72c[[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고흥군
박주선
무소속

보성군·화순군
제17대신중식
ta-hash-start=w-f9639421ad8666783822bcb2e5b8eb8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고흥군·보성군
제18대박상천
ta-hash-start=w-ae7c0e8ffef3475672285e78135d7ff2[[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제19대김승남
ta-hash-start=w-7dc64f1f00917377ced739505ad9278b[[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2016년 5월 29일

3. 중선거구제 시기 (보성군·고흥군, 9~12대)[편집]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보성군·고흥군
보성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형식(申洞植)69,9031위

ta-hash-start=w-adb70a02574478c4ca2ecd2b5529189a[[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47.75%당선
2이중재(李重載)45,9862위
31.41%당선
3전창권(全昌權)8,9504위
6.11%낙선
4박률(朴律)7,9075위
5.40%낙선
5안종천(安鍾千)13,6373위
9.31%낙선
선거인 수194,766투표율
76.39%
투표 수148,774
무효표 수2,391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보성군·고흥군
보성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형식(申洞植)72,7181위
48.12%당선
2이중재(李重載)31,5603위
20.88%낙선
3김수(金守)46,8292위
30.99%당선
선거인 수184,042투표율
83.24%
투표 수153,188
무효표 수2,081

3.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보성군·고흥군
보성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달승(梁達承)7,3576위
5.01%낙선
2유준상(柳晙相)30,9252위
21.07%당선
3이대순(李大淳)60,5581위
41.27%당선
4송기태(宋基太)9,8985위
6.74%낙선
5김형운(金炯雲)12,5614위
8.56%낙선
6이영재(李榮載)3,1847위
2.16%낙선
7홍계표(洪啓杓)22,2473위
15.16%낙선
선거인 수178,808투표율
83.04%
투표 수148,481
무효표 수1,751

3.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보성군·고흥군
보성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준상(柳晙相)38,4582위
25.92%당선
2신형식(申洞植)36,7963위
24.80%낙선
3임미준(林米俊)14,0444위
9.46%낙선
4이대순(李大淳)59,0261위
39.79%당선
선거인 수176,548투표율
85.56%
투표 수151,055
무효표 수2,731


4. 고흥군, 보성군/보성군·화순군 (13~16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대순(李大淳)23,7682위
29.89%낙선
2박상천(朴相千)54,5131위
68.56%당선
3최성희(崔盛喜)8823위
1.10%낙선
4송점진(宋占珍)3384위
0.42%낙선
선거인 수99,907투표율
80.45%
투표 수80,373
무효표 수872

보성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식(李容植)17,5232위
33.96%낙선
2유준상(柳晙相)34,0711위
66.03%당선
선거인 수66,062투표율
79.36%
투표 수52,426
무효표 수832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지연태(池蓮泰)23,4262위
34.61%낙선
2박상천(朴相千)41,2071위
60.88%당선
3신귀자(申貴子)1,8653위
2.75%낙선
4김범태(金範泰)1,1824위
1.74%낙선
선거인 수88,409투표율
77.48%
투표 수68,499
무효표 수819

보성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식(李容植)19,2162위
44.65%낙선
2유준상(柳晙相)23,8161위
55.34%당선
선거인 수55,754투표율
78.43%
투표 수43,726
무효표 수694

훗날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갈고 광진구 을에 올라가서 추미애에게 번번이 깨진 유준상 맞다.(...)[2]


4.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문휴(崔文休)8,2772위
14.81%낙선
2박상천(朴相千)43,0811위
77.09%당선
3송점진(宋占珍)1,1974위
2.14%낙선
4신금식(申金植)3,3233위
5.94%낙선
선거인 수80,720투표율
72.60%
투표 수58,572
무효표 수2,694

보성군·화순군
보성군, 화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용식(李容植)23,7742위
33.00%낙선
2박찬주(朴燦柱)45,5311위
63.20%당선
3정인환(鄭仁煥)1,7243위
2.39%낙선
4김길곤(金吉坤)1,0084위
1.39%낙선
선거인 수103,270투표율
72.71%
투표 수75,089
무효표 수3,052


4.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섭(金在燮)1,3384위
2.42%낙선
2박상천(朴相千)40,3121위
73.06%당선
4김범태(金範泰)5,6073위
10.16%낙선
5신금식(申金植)7,9182위
14.35%낙선
선거인 수77,684투표율
73.38%
투표 수57,002
무효표 수1,827

보성군·화순군
보성군, 화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인환(鄭仁煥)9324위
1.20%낙선
2한영애(韓英愛)28,7092위
37.00%낙선
4박주선(朴柱宣)46,4841위
59.92%당선
5박판석(朴判錫)1,4513위
1.87%낙선
선거인 수106,489투표율
74.31%
투표 수79,131
무효표 수1,555

5. 고흥군·보성군 (17~19대)[편집]



5.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보성군
고흥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박상천(朴相千)25,2462위
31.43%낙선
3신중식(申仲植)27,6991위
34.49%당선
4박주선(朴柱宣)23,8763위
29.73%낙선
5신금식(申金植)2,2534위
5.78%낙선
6정봉자(鄭奉子)1,2305위
1.53%낙선
선거인 수117,194투표율
68.92%
투표 수82,257
무효표 수1,953
이전 총선까지 분구되있던 고흥군과 보성군 선거구가 하나로 통페합 되었고, 탄핵 역풍 까지 겹쳐 두 동교동계 중진이 낙선하는 일이 벌어진다. 여담으로 당선된 신중식 후보는 고흥군, 보성군 두 군에서 모두 2위에 머물렀으나,[3]두 지역서 고른 득표를 받은 덕[4]에 두 현직 의원을 제치고 당선될 수 있었다.

5.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보성군
고흥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상천(朴相千)36,4071위
56.03%당선
2장귀석(張貴錫)2,8543위
4.39%낙선
6박성곤(朴成坤)1,3224위
2.03%낙선
7진종근(陳宗根)24,3862위
37.53%낙선
선거인 수108,212투표율
65.78%
투표 수66,430
무효표 수1,461
17대 총선에서 낙마했던 박상천 의원이 원내복귀에 성공하였다.

5.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고흥군·보성군
고흥군, 보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귀석(張貴錫)3,3685위
5.38%낙선
2김승남(金承南)32,3361위
51.67%당선
6김철근(金哲根)5,9773위
9.55%낙선
7신중식(申仲植)15,8712위
25.36%낙선
8김범태(金範泰)5,0224위
8.02%낙선
선거인 수102,904투표율
61.72%
투표 수64,027
무효표 수1,453

[中] A B C D 중선거구제 [1] 1985년 민주한국당 탈당ㆍ신한민주당 입당
1987년 신한민주당 탈당ㆍ통일민주당 입당
1987년 통일민주당 탈당ㆍ평화민주당 입당
[2] 전자인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현역의원인 추미애에게 밀린 2위였으나, 후자인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탄핵역풍이었고 추미애도 열린우리당 분당때 따라가지 않고 새천년민주당에 잔류한 상황에서 선거가 치러졌는데 치열한 3파전 끝에 당선자는 열린우리당 김형주 후보였고, 본인은 개표 초중반까지는 김형주 후보에게 밀렸지만 새천년민주당의 추미애 후보를 제치고 2위를 유지했으나, 막판에 사전투표함이 개표되면서 추미애 후보한테도 마저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그러니까 후자는 두 사람 모두 승자가 없다.[3] 고흥군에서는 현직 박상천 의원이 1위(44.5%)를 했고, 보성군은 박주선 의원(64.0%)이 1위를 했다.[4] 고흥 42.0%, 보성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