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흥공용정류장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광양시나주시목포시순천시여수시
광양 · 중마 · 섬진강휴게소 · 용지 · 광영 · 진상 · 도촌 · 제철주택단지 · 제철소 · 태인교나주 · 빛가람 · 영산포 · 동강 · 동창 · 다시목포순천 · 곡천 · 주암 · 송광사여수 · 여천
강진군고흥군곡성군구례군담양군
강진 · 마량 · 성전 · 도암고흥 · 과역 · 녹동 · 나로도 · 도화 · 동강 · 점암곡성 · 옥과 · 석곡구례담양 · 금성
무안군보성군신안군영광군영암군
무안 · 남악 · 망운 · 청게 · 해제 · 현경보성 · 벌교지도 · 지도서부영광 · 법성포 · 홍농영암 · 신북 · 학산 삼호
완도군장성군장흥군진도군함평군
완도 · 고금 · 당목 · 원동장성 ·백양사장흥 · 관산 · 대덕 · 회진진도 ·녹진함평 · 문장 · 함사거리


해남군화순군
해남 · 남창 · 산정 · 송호 · 땅끝 · 남리 · 오공 · 우수영 · 월송화순 · 능주 · 동복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1. 개요
2. 특징
3. 고속버스
4. 시외버스
4.1. 수도권
4.2. 호남권, 영남권
5. 노후화 문제


1. 개요[편집]


고흥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서문리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이다. 동방고속의 본사가 위치해 있어서 금호고속 차량 이외에도 동방고속 차량을 많이 볼 수 있다. 광우고속 차량도 이 터미널에 들어오며, 안산 경유 인천행 경기고속 차량도 들어온다.


2. 특징[편집]


주로 고흥군 도양읍 녹동공용버스터미널에서 착발하여 고흥시외버스터미널을 경유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벌교읍, 순천시로의 의존도가 높아 벌교, 순천 방면 노선이 많다. 그리고 벌교에는 광주 방면 노선도 정차한다. 서울행 노선은 1일 5회이지만, 광주 방면 노선은 34왕복[1]이나 되며, 3개의 회사가 공동 배차를 하고 있다. 다만 광주 방면 차량 상당수는 아직도 그 구불멍텅한 15번 국도를 경유하는 게 흠.[2]


3. 고속버스[편집]


수도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정안알밤휴게소
서울
일 5회[3]금호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녹동발 서울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정안알밤휴게소3:00₩ 16,600
₩ 24,800(우등)
서울(호남)4:30₩ 24,100
₩ 35,800(우등)
운행시각표08:30, 09:00, 10:30, 16:00, 17:00
전 시간대에 정안알밤 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4. 시외버스[편집]


강원권, 충청권 노선은 없다. 최종 목적지에 따라 광주, 순천, 서울로 가서 환승할 것.[4]


4.1. 수도권[편집]


수도권(시외)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안산
인천
일 2회경기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고흥발 인천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안산4:30₩ 41,200(우등)
인천5:10₩ 43,900(우등)
운행시각표08:15, 10:00, 15:00, 16:30
모든 차량이 우등형 차량으로 운행되며 과역, 벌교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2014년 12월 11일에 신설된 노선. 2017년 3월부터 시외우등할증 적용.

4.2. 호남권, 영남권[편집]


행선지정류장소요시간운임운행 횟수운행 회사비고
녹동
나로도
↓광주/여수/서부산 출발
녹동[5]0:20₩ 2,100광우고속
금호고속
동방고속
녹동
[6]
녹동신항0:30₩ 2,3001일 1회동방고속
백양0:30₩ 3,6001일 7회나로도
[7]
나로도0:40₩ 4,200
우주센터0:55₩ 5,1001일 1회
광주
순천
서부산
여수
광양
↓(녹동/나로도 출발)
과역0:20₩ 1,8001일 74회
[8]
광우고속
동방고속
광주
순천
서부산
광영
여수
벌교0:50₩ 4,300
곡천1:00₩ 7,2001일 30회
[9]
광주
화순1:40₩ 11,300
소태역1:50₩ 12,3001일 20회
[10]
학동1:55₩ 12,500
광주2:10₩ 13,300
순천[11]1:20₩ 6,9001일 40회
[12]
금호고속
동방고속
서부산
여수
광영
서부산4:00₩ 19,3001일 3회서부산
[13]
덕양2:10₩ 9,6001일 31회동방고속여수
여천2:20₩ 10,000
여수2:30₩ 10,900
광양1:40₩ 9,0001일 1회광영
성황1:55₩ 10,100
동광양2:10₩ 10,400
도촌2:15₩ 10,700
광영2:20₩ 11,000
도화[14]

영남권 노선은 서부산행 노선 하나만 존재한다.

5. 노후화 문제[편집]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대합실 의자 부족, 냄새나는 화장실, 불법 주정차 등 이용객의 불편함이 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2:20:31에 나무위키 고흥공용정류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일요일에는 35왕복[2] 1일 4회 벌교부터 광주까지 직통 운행하는 차량은 15번 국도를 거의 경유하지 않는다. 그리고 녹동 - 광주 구간을 내비게이션에 때리면 벌교 나들목에서 고속도로 진입 이후 보성 나들목에서 29번 국도로 내려가서 북행하도록 나온다.[3] 코로나로 2회 감차된 3회[4] 서울(동서울 포함)에서는 강원권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많은 덕에 시간여유가 남아도는 편이다.[5] 고흥군 도양읍[6] 1일 1회 여수에서 출발하는 동방고속 차량이 녹동신항까지 연장 운행된다.[7] 서부산발 1일 1회, 고흥발 1일 6회.[8] 토요일, 일요일에는 1일 75회[9] 토요일, 일요일에는 1일 31회[10] 토요일, 일요일에는 1일 35회[11] 여수행은 순천역도 정차[12] 토요일에는 1일 41회, 일요일에는 1일 42회. 일요일에는 1일 1회 순천까지 직통 운행하는 차량이 추가된다. [13] 금호고속 차량은 1일 1회 녹동 출발, 동방고속 차량은 1일 1회 나로도 출발, 1일 1회 고흥 출발.[14] 농어촌버스 이용. 1일 20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