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신걸

덤프버전 :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신화
시대
신화상족보상
첫째둘째셋째초대
양을나고을나부을나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제15대제26대제27대제30대
고후담왕지운왕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제?대제?대제?대
도동음률유리도라고여
족보상 (9~10세기)
제43대제44대제45대
경직왕민왕자견왕
기타 고후 |
왕자*
고청 |
도내*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왕자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高信傑
(? ~ ?)

1. 개요[편집]


고려의 인물로 탐라국의 성주다.


2. 생애[편집]


『동문선』 「성주고씨가전」에 따르면 형의 뒤를 이어 성주가 된 고순원(高順元)의 아들이다. 고려에서 호부상서를 지냈고, 공민왕 18년(1369) 서해도 부천호에 임명됐다. 공민왕 23년(1374) 최영반란을 일으킨 카치(哈赤, 목호)들을 진압한 뒤 고신걸은 부천호로 임명됐다.

이듬해 우왕 원년(1375) 을묘년에 차현유(車玄有)가 반란을 일으켜 탐라안무사와 제주목사, 만호 등을 죽였다. 고신걸은 왕자 문충걸과 고려에 반란이 일어났음을 알렸다. 차현유는 고씨와 문씨의 집을 포위하고 3일간 양가의 가축들을 죽였는데 고신걸이 문충걸과 함께 겨우 빠져나갔고, 고려의 힘을 빌려 반란을 진압했다. 한편 『고려사』에서는 제주 사람 문신보(文臣輔), 성주 고실개(高實開), 진무 임언(林彦), 천호 고덕우(高德羽)가 병사를 일으켜 반란을 진압했다고 한다.

우왕 3년(1376) 병진년과 그 다음해 정사년(1377)에는 왜구가 제주도에 침입해 섬을 포위하는데 고신걸이 화살에 맞아가며 적들을 격퇴했고, 고려에서 관직과 상을 받았다. 갑자년(1384) 고려로부터 성주의 칭호와 함께 붉은 가죽띠, 자줏빛 옷, 보개, 활과 화살을 받았다. 우왕 12년(1386) 전의부정 이행과 대호군 진여의를 따라, 아들 고봉례를 데리고 고려에 향했다.


3. 가족관계[편집]


  • 아들: 고봉인
  • 아들: 고봉의
  • 아들: 고봉례
    • 손자: 고상온
  • 아들: 고봉지

장남과 차남은 요절했고 삼남 고봉례맏아들로서 성주를 계승했다. 막내 고봉지는 조선에서 상장군을 지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3:49:00에 나무위키 고신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