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인구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기도


1. 개요
2. 시군별 인구
3. 인구 분석
4. 외국인


1. 개요[편집]


한국 중부에 있는 도(행정구역)로서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주민등록인구는 13,627,840명이다.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道)이자 가장 인구가 많은 광역자치단체이다. 어느 정도의 수치냐 하면 국토 면적의 1/10밖에 되지않는 지역에 인구의 1/4이상이 살고 있다는 것이다.[1] 인구 밀도도 '도'임을 감안하면 굉장히 높은 편으로, 다른 도들과는 두 배 이상 차이나고 심지어 울산광역시보다도 높다.[2]

옛날에는 서울특별시가 부동의 1위를 수십년 간 지켜왔으나 경기도의 신도시 개발로 서울 시민들이 경기도로 많이 이주하면서 2003년에 인구 역전이 일어났다. 2017년 10월에 서울+인천 인구총합도 경기도 인구에 못미치게 되었다.[3] 2016년, 28년만에 서울 인구가 1000만 아래로 내려가면서, 경기도가 서울특별시보다 급부상하고 있다. # 서울이 급속히 인구감소를 면치 못하는 반면, 경기도는 한창 인구가 급성장하던 때인 2010년대에는 월 평균 20,000명에 근접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주었다.[4] 2018년 8월에 13,012,486명을 찍으며 1,300만명선을 돌파하였다. 2023년 현재에는 전국적인 저출산으로 인해 예전만은 못하지만, 현재까지도 꾸준한 인구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구증가도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으며 경기도에서도 또한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되었다. # 물론 어디까지나 사망자 수가 출생자 수를 앞서는 자연감소일 뿐, 타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로 전체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이미 경기도 내에서도 많은 지역이 인구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을 볼 때, 경기도 또한 비수도권보다 덜할 뿐 저출산으로 인한 전국적인 인구감소의 영향에서 자유롭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경기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는 수원시(1,196,864명)이며 용인시(1,076,098명), 고양시(1,075,898명)와 더불어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가 3개나 있다. 특히 수원은 기초자치단체임에도 불구하고 엄연한 광역시인 울산보다도 인구가 많다. 100만명에 가까운 도시는 화성시(928,550명)와 성남시(922,914명)이다. 그러나 성남시는 근 몇년간 인구정체 현상을 보여왔다.[5]

2023년 5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는 화성시(939,302명), 성남시(917,243명), 부천시(782,854명), 남양주시(732,122명), 안산시(632,291명), 평택시(589,407명), 안양시(544,083명), 시흥시(518,771명) 이렇게 8개가 있다. 이 중 시흥시, 평택시, 화성시는 신도시 개발로 인한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전성기를 맞고 있는 반면에, 성남시, 부천시, 안산시, 안양시, 남양주시는 정체 내지 하락세에 있다.[6]

2018년 1~11월 한 해 서울에서 123,949명이 경기도로 이주해왔다.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탈서울 러시 전년比 30%↑


2. 시군별 인구[편집]


시군명2022년 10월2023년 10월증가율비고
전체13,579,508명13,627,840명0.36%
수원시1,189,654명1,196,864명0.61%인구수 1위
용인시1,076,369명1,076,098명-0.03%인구수 2위
고양시1,074,784명1,075,898명0.10%인구수 3위
화성시904,267명939,302명3.87%인구증가율 3위
성남시920,667명917,243명-0.37%
부천시792,561명782,854명-1.22%
남양주시737,352명732,122명-0.71%
안산시644,583명632,291명-1.91%
평택시576,192명589,407명2.29%
안양시548,372명544,083명-0.78%
시흥시512,168명518,771명1.29%
파주시493,938명497,527명0.73%
김포시484,071명486,008명0.40%
의정부시463,324명465,019명0.37%
광주시391,722명391,760명0.01%
하남시324,674명329,559명1.50%
광명시288,366명280,270명-2.81%인구감소율 2위
양주시239,697명265,155명10.62%인구증가율 1위
군포시266,735명262,587명-1.56%
오산시229,821명229,730명-0.04%
이천시224,077명223,525명-0.25%
안성시189,475명189,322명-0.08%
구리시189,008명187,620명-0.73%
의왕시160,563명158,242명-1.45%
포천시147,171명143,690명-2.37%인구감소율 3위
양평군122,613명124,822명1.80%
여주시113,027명114,344명1.17%
동두천시91,980명88,820명-3.44%인구감소율 1위
과천시77,818명81,143명4.27%인구증가율 2위
가평군62,219명62,125명-0.15%
연천군42,240명41,639명-1.42%

전년 대비 인구가 가장 급격하게 증가한 도시는 양주시로, 10.62%가 증가하였다. 반면 인구가 가장 급격하게 감소한 도시는 동두천시로, 3.44%가 감소하였다.

그 외에도 화성시, 평택시, 파주시, 하남시, 과천시 등은 인구가 증가 중에 있으며, 광명시, 연천군, 포천시, 안산시, 의왕시, 부천시, 구리시, 군포시 등은 계속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3. 인구 분석[편집]


  • 2010년 통계청 인구총조사(내국인): 11,196,053 명#
    • 성별
      • 남성: 5,599,570명
      • 여성: 5,596,483명
    • 연령별
      • 15세 미만: 2,032,016명
      • 15세~64세: 8,165,470명
        • 15세~19세: 815,660명
        • 20세~24세: 685,567명
        • 25세~29세: 821,115명
        • 30세~34세: 924,453명
        • 35세~39세: 1,074,295명
        • 40세~44세: 1,059,502명
        • 45세~49세: 992,903명
        • 50세~54세: 837,407명
        • 55세~59세: 544,701명
        • 60세~64세: 409,903명
      • 65세 이상: 998,567명


4. 외국인[편집]


파일:u2XlDGi.jpg
외국인[7]의 최대 거주지이다. 공장이 많기 때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2:33:47에 나무위키 경기도/인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7년 상반기 기준 국토면적 100,387km² 중 경기도 10,175km²[2] 이 때문에 경기도 자체를 하나의 거대한 광역시로 보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우리처럼 수도권 집중이 심한 대만에서는 경기도와 비슷한 포지션인 타이베이현을 신베이시로 승격시킨 바 있다.[3] 2017년 10월 기준 서울+인천(9,882,810명 + 2,948,098명 = 12,830,908명), 경기 12,841,321명[4] 게다가 경기도 전체가 아닌 경기남부만 보더라도 경기남부의 인구가 서울 인구를 앞지르는 상황이다.[5] 다만 신도시가 개발된 전후에 성남시나 부천시 등도 한때 경기도 내 인구 1위를 찍은 적이 있긴 하다.[6] 성남, 부천, 안양의 경우 도시가 이미 포화상태에 있고 1기 신도시가 노후화되어 인근 지역으로 인구가 빠져나가 계속적인 감소세에 있으며, 산업단지가 있는 안산시는 제조업 침체로 인해 인구가 감소 내지 정체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7] 위 이미지에 명시된 외국인의 수는 영주권 소지자(출입국·외국인청에 거소 등록된 외국인)와 시민권 소지자(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한 외국인)의 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