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가 변
부수
나머지 획수
, 15획
총 획수
19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ヘン
일본어 훈독
あた-り, べ, へ, ほとり
표준 중국어
bi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邊은 '가 변'이라는 한자로, '가(가장자리)', '변방', '곁', '변두리', '끝'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908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卜竹山尸(YHUS)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과 음을 나타내는 (보이지않을 면)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와자(訛字)로는 邉(U+9089)이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3.1. 성씨[편집]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60,633명, 인구 순위 63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원주(原州), 황주(黃州)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변(성씨) 문서 참조.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변방 새, 막힐 색)
  • (변방 수)
  • (즈음/가 제)


5. 상대자[편집]


  • (가운데 앙)
  • (가운데 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달리려할 변)
  • 파일:성 변자(한자).png(성 변)[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8:38:4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니코드에 할당되지 못한 한자이기에 인터넷 상으로 입력할 수 없어 '가 변'으로 대체하여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글 문자표에서 가장 비슷한 이체자 邉(U+9089)를 사용할 수 있다. '성 변'은 갓 변(邊)이라는 글자에서 스스로 자(自)를 흰 백(白)으로, 갓 머리(宀)를 민갓머리(冖)로, 민갓머리(冖) 아래에 팔(八)를 인(儿)자로, 모방(方)을 입구(口)로 바꾸어 쓰는 한자다. 원주 변씨 별좌공파(別座公派) 회장 변덕희 씨는 “일제가 자신들이 쓰는 한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변씨 성을 마음대로 바꿔버렸다”며 “이걸 바로잡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