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리그/기록

덤프버전 : (♥ 0)

||



1. 역대 우승 구단
2. 개인 수상
2.2. 역대 월간/라운드 MVP
2.2.1. 남자부
2.2.2. 여자부
2.3. V-리그 기록상
2.3.1. 남자부 기록상
2.3.2. 여자부 기록상
2.4. V-리그 베스트7
2.4.1. 남자부
2.4.2. 여자부
3. 항목별 기록
3.1. 남자부 기록
3.1.1. 득점 1위
3.1.2. 공격 1위
3.1.3. 서브 1위
3.1.4. 블로킹 1위
3.1.5. 디그 1위
3.1.6. 리시브 1위
3.2. 여자부 기록
3.2.1. 득점 1위
3.2.2. 공격 1위
3.2.3. 서브 1위
3.2.4. 블로킹 1위
3.2.5. 디그 1위
3.2.6. 리시브 1위
4. 달성 기록
4.1. 남자부 기록
4.1.1. 누적 득점
4.2. 여자부 기록
4.2.1. 누적 득점
5. 감독 기록
5.1. 역대 감독상
5.1.1. 남자부
5.1.2. 여자부
5.2. 승수
5.2.1. 남자부
5.2.2. 여자부
6. 기타 기록



1. 역대 우승 구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현캐배구단1세대로고.png파일:현캐배구단1세대로고.pn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2005년2005-062006-072007-082008-09
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파일: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 로고.svg
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
파일:external/oi64.tinypic.com/4uzx3c.png파일:external/oi64.tinypic.com/4uzx3c.png파일:현캐배구단2010로고.jpg파일:인천대한항공점보스 엠블렘.svg파일: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로고.svg
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
파일:인천대한항공점보스 엠블렘.svg파일:인천대한항공점보스 엠블렘.svg파일:인천대한항공점보스 엠블렘.svg파일:국기.svg
2019-20*2020-212021-222022-232023-24
* 2019-20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플레이오프 미개최.









2. 개인 수상[편집]


  • 프로 출범 이전 선수 생활을 시작한 경우와 외국인 선수는 신인상에서 제외한다.
  • 한일탑매치 대회가 폐지된 이후 데뷔한 경우는 제외한다.

선수명개인 수상V-리그 MVP기타 수상
신인왕월간/라운드
MVP
기록상베스트7정규리그
MVP
챔피언결정전
MVP
올스타전
MVP
KOVO컵
MVP
한일탑매치
MVP
김연경O[1]O[2]O[3]O[4]O[5]O[6]O[7]O[8]O[9]
정대영O[10]O[11]O[12]O[13]O[14]O[15]O[16]X
황연주O[17]O[18]O[19]XO[20]O[21]O[22]O[23]X
이재영O[24]O[25]O[26]O[27]O[28]O[29]XX
베띠O[30]O[31]O[32]O[33]O[34]O[35]XX
알레시아O[36]O[37]O[38]O[39]O[40]O[41]XX
몬타뇨O[42]O[43]O[44]O[45]XXX
니콜O[46]O[47]O[48]O[49]XO[50]XX
맥마혼O[51]O[52]O[53]XXX
양효진XO[54]O[55]O[56]O[57]O[58]XXX
케니O[59]O[60]O[61]XXXX
이바나O[62]XO[63]O[64]XXXX
한유미XXO[65]X
김사니XO[66]O[67]XO[68]X
이효희XO[69]O[70]O[71]XXXX
한송이O[72]XO[73]X
김희진XO[74]XO[75]X
박정아O[76]O[77]XO[78]X
강소휘O[79]XO[80]
고예림O[81]XO[82]X
최은지XXO[83]X
문지윤XXO[84]
김선영XXO[85]X
정지윤O[86]XO[87]
최광희O[88]O[89]XX
이소영O[90]O[91]O[92]XX
김민지XO[93]O[94]XX
배유나O[95]O[96]XX
알레나XO[97]O[98]X
이다영XO[99]XX
메디XO[100]XXX
러츠XO[101]O[102]XXX
폴리O[103]O[104]XX
캣벨XO[105]XXX
한수지O[106]XXX
표승주O[107]XXX
양유나O[108]XXX
지민경O[109]XX
김채연O[110]XX
이선우O[111]XX
박현주O[112]XX
이윤정O[113]XX
최효서O[114]XX
염혜선O[115]XXX
임유진XO[116]XXX
문정원XO[117]XXX
황민경XO[118]XXX
임효숙XO[119]XXX
이숙자O[120]XXX
윌킨스O[121]XXX
카리나O[122]XXX
데스티니O[123]XXX
조이스O[124]XXX
밀라O[125]XXX
마리안O[126]XXX
김세영XO[127]XXXXXX


2.1. 역대 신인왕과 MVP[편집]


연도남자부 MVP여자부 MVP남자부 신인왕여자부 신인왕
2005후인정
(현대캐피탈)
정대영
(현대건설)
하현용
(LG화재)
황연주
(흥국생명)
2005-06숀 루니
(현대캐피탈)
김연경
(흥국생명)
[기록말소]김연경
(흥국생명)
2006-07레안드로
(삼성화재)
김연경
(흥국생명)
김학민
(대한항공)
한수지
(GS칼텍스)
2007-08안젤코
(삼성화재)
김연경
(흥국생명)
[기록말소]배유나
(GS칼텍스)
2008-09박철우
(현대캐피탈)
데라크루즈[128]
(GS칼텍스)
황동일
(LIG손해보험)
염혜선
(현대건설)
2009-10가빈 슈미트
(삼성화재)
케니
(현대건설)
신영석
(우리캐피탈)
양유나
(GS칼텍스)
2010-11김학민
(대한항공)
황연주
(현대건설)
[기록말소]표승주
(한국도로공사)
2011-12가빈
(삼성화재)
몬타뇨
(인삼공사)
최홍석
(드림식스)
박정아
(IBK기업은행)
2012-13레오
(삼성화재)
알레시아
(IBK기업은행)
양준식
(한국전력)
이소영
(GS칼텍스)
2013-14레오
(삼성화재)
이효희
(IBK기업은행)
전광인
(한국전력)
고예림
(한국도로공사)
2014-15레오
(삼성화재)
니콜, 이효희
(한국도로공사)
오재성
(한국전력)
이재영
(흥국생명)
2015-16문성민
(현대캐피탈)
맥마혼
(IBK기업은행)
나경복
(우리카드)
강소휘
(GS칼텍스)
2016-17문성민
(현대캐피탈)
이재영
(흥국생명)
황택의
(KB손해보험)
지민경
(KGC인삼공사)
2017-18신영석
(현대캐피탈)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이호건
(한국전력)
김채연
(흥국생명)
2018-19정지석
(대한항공)
이재영
(흥국생명)
황경민
(우리카드)
정지윤
(현대건설)
2019-20나경복
(우리카드)
양효진
(현대건설)
정성규
(삼성화재)
박현주
(흥국생명)
2020-21정지석
(대한항공)
김연경
(흥국생명)
김선호
(현대캐피탈)
이선우
(KGC인삼공사)
2021-22케이타
(KB손해보험)
양효진
(현대건설)
박승수
(OK금융그룹)
이윤정
(한국도로공사)
2022-23한선수
(대한항공)
김연경
(흥국생명)
김준우
(삼성화재)
최효서
(KGC인삼공사)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V-리그/역대 신인왕과 MVP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역대 월간/라운드 MVP[편집]



2.2.1. 남자부[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e9e9e9,#191919><colbgcolor=#80b2d9><tablebgcolor=#FFFFFF><|2><width=15%> 2005 ||<-6> 3월 ||<-6> 4월 ||
||<-6> 이경수
LG화재 / 레프트 ||<-6> 후인정
현대캐피탈 / 센터 ||
||<|2><rowbgcolor=#e9e9e9> 2005-06 ||<-4> 12월 ||<-4> 1월 ||<-4> 2월 ||
||<-4> 숀 루니
현대캐피탈 / 레프트 ||<-4> 이경수
LIG손해보험 / 레프트 ||<-4> 장병철
삼성화재 / 라이트 ||
||<|2><rowbgcolor=#e9e9e9> 2006-07 ||<-4> 1월 ||<-4> 2월 ||<-4> 3월 ||
||<-4> 보비
대한항공 / 라이트 ||<-4> - ||<-4> 박철우
현대캐피탈 / 라이트 ||
||<|2><rowbgcolor=#e9e9e9> 2007-08 ||<-3> 12월 ||<-3> 1월 ||<-3> 2월 ||<-3> 3월 ||
||<-3>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3> 장광균
대한항공 / 레프트 ||<-3>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3>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

||<tablewidth=100%><|2><rowbgcolor=#e9e9e9><#80b2d9><width=15%><tablebgcolor=#FFF> 2008-09 || 1R || 2R || 3R || 4R || 5R || 6R || 7R ||
|| 김학민
대한항공 / 레프트 ||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 - || 최태웅
삼성화재 / 세터 || 박철우
현대캐피탈 / 라이트 || 안젤코
삼성화재 / 라이트 || 칼라
대한항공 / 레프트 ||

||<tablewidth=100%><colbgcolor=#80b2d9><tablebgcolor=#FFFFFF><|2><rowbgcolor=#e9e9e9><width=15%> 2009-10 ||<-6> 11월 ||<-6> 2월 ||<-6> 1월 ||<-6> 2월 ||<-6> 3월 ||
||<-6> 김요한
LIG손해보험 / 센터 ||<-6>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6>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6> 최태웅
삼성화재 / 세터 ||<-6> 석진욱
삼성화재 / 레프트 ||
||<|2><rowbgcolor=#e9e9e9> 2010-11 ||<-10> 12월 ||<-10> 1월 ||<-10> 2월 ||
||<-10> 김학민
대한항공 / 레프트 ||<-10> 에반
대한항공 / 라이트 ||<-10>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
||<-31><bgcolor=#ddd,#212121><)>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80b2d9,#191919><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2011-2012 시즌 ||
|| 가빈
삼성화재 / 라이트 || 수니아스
현대캐피탈 / 라이트 || 마틴
대한항공 / 라이트 || 김학민
대한항공 / 레프트 || 안젤코
KEPCO / 라이트 || 김요한
LIG손해보험 / 센터 ||
||<bgcolor=#e9e9e9><:><-6>2012-2013 시즌 ||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문성민
현대캐피탈 / 레프트 || 신영석
드림식스 / 센터 || 박철우
삼성화재 / 라이트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김학민
대한항공 / 레프트 ||
||<bgcolor=#e9e9e9><:><-6>2013-2014 시즌 ||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최홍석
우리카드 / 레프트 || 아가메즈
현대캐피탈 / 라이트 || 송명근
OK저축은행 / 레프트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1] ||
||<bgcolor=#e9e9e9><:><-6>2014-2015 시즌 ||
|| 시몬
OK저축은헹 / 센터 || 레오
삼성화재 / 레프트 || 시몬
OK저축은헹 / 센터 || 전광인
한국전력 / 레프트 || 전광인
한국전력 / 레프트 || 유광우
삼성화재 / 세터 ||
||<-6>
[1] 6라운드 없음
||
||<-6><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남자부 2015~2020
라운드 MVP
||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80b2d9,#191919><rowcolor=#000><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 {{{-3 2015-2016 시즌}}} || || [[로베르틀란디 시몬 아티스|{{{#000,#e5e5e5 시몬}}}]][br],,[[안산 OK금융그룹 읏맨|{{{#000,#e5e5e5 OK저축은행}}}]] / 센터,, || [[괴르기 그로저|{{{#000,#e5e5e5 그로저}}}]][br],,[[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000,#e5e5e5 삼성화재}}}]] / 라이트,, || [[김학민|{{{#000,#e5e5e5 김학민}}}]][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레프트,, || [[노재욱(배구선수)|{{{#000,#e5e5e5 노재욱}}}]][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세터,, || [[오레올 까메호|{{{#000,#e5e5e5 오레올}}}]][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레프트,, || [[문성민| {{{#000,#e5e5e5 문성민}}}]][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라이트,, || ||<bgcolor=#e9e9e9><-6> {{{-3 2016-2017 시즌}}} || || [[크리스티안 파다르|{{{#000,#e5e5e5 파다르}}}]][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전광인|{{{#000,#e5e5e5 전광인}}}]][br],,[[수원 한국전력 빅스톰|{{{#000,#e5e5e5 한국전력}}}]] / 레프트,, || [[문성민| {{{#000,#e5e5e5 문성민}}}]][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라이트,, || [[크리스티안 파다르|{{{#000,#e5e5e5 파다르}}}]][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김학민|{{{#000,#e5e5e5 김학민}}}]][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레프트,, || [[문성민| {{{#000,#e5e5e5 문성민}}}]][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라이트,, || ||<bgcolor=#e9e9e9><-6> {{{-3 2017-2018 시즌}}} || || [[크리스티안 파다르|{{{#000,#e5e5e5 파다르}}}]][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박철우(배구)|{{{#000,#e5e5e5 박철우}}}]][br],,[[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000,#e5e5e5 삼성화재}}}]] / 라이트,, || [[문성민|{{{#000,#e5e5e5 문성민}}}]][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라이트,, || [[신영석|{{{#000,#e5e5e5 신영석}}}]][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센터,, || [[정지석|{{{#000,#e5e5e5 정지석}}}]][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레프트,, || [[펠리페 알톤 반데로|{{{#000,#e5e5e5 펠리페}}}]][br],,[[수원 한국전력 빅스톰|{{{#000,#e5e5e5 한국전력}}}]] / 라이트,, || ||<bgcolor=#e9e9e9><-6> {{{-3 2018-2019 시즌}}} || || [[요스바니 에르난데스|{{{#000,#e5e5e5 요스바니}}}]][br],,[[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000,#e5e5e5 OK저축은행}}}]] / 레프트,, || [[정지석|{{{#000,#e5e5e5 정지석}}}]][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레프트,, || [[리버맨 아가메즈|{{{#000,#e5e5e5 아가메즈}}}]][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리버맨 아가메즈|{{{#000,#e5e5e5 아가메즈}}}]][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펠리페 알톤 반데로|{{{#000,#e5e5e5 펠리페}}}]][br],,[[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000,#e5e5e5 KB손해보험}}}]] / 라이트,, || [[곽승석|{{{#000,#e5e5e5 곽승석}}}]][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레프트,, || ||<bgcolor=#e9e9e9><-6> {{{-3 2019-2020 시즌}}} || || [[송명근|{{{#000,#e5e5e5 송명근}}}]][br],,[[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000,#e5e5e5 OK저축은행}}}]] / 레프트,, || [[안드레스 비예나|{{{#000,#e5e5e5 비예나}}}]][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라이트,, || [[다우디 오켈로|{{{#000,#e5e5e5 다우디}}}]][br],,[[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000,#e5e5e5 현대캐피탈}}}]] / 라이트,, || [[펠리페 알톤 반데로|{{{#000,#e5e5e5 펠리페}}}]][br],,[[서울 우리카드 위비|{{{#000,#e5e5e5 우리카드}}}]] / 라이트,, || [[안드레스 비예나|{{{#000,#e5e5e5 비예나}}}]][br],,[[인천 대한항공 점보스|{{{#000,#e5e5e5 대한항공}}}]] / 라이트,, || -^^[a]^^ || ||<-6> {{{-2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리그 조기 종료에 따라 6라운드 MVP는 공석}}} || ||<-6><bgcolor=#ddd,#212121>
{{{#000,#e5e5e5 ◀ [[틀:V-리그 남자부 라운드 MVP/2011~2015|{{{#0066b3 '''2011~2015''' 라운드 MVP}}}]]}}}
{{{#000,#e5e5e5 [[틀:V-리그 남자부 라운드 MVP/2020~2025|{{{#0066b3 '''2020~2025''' 라운드 MVP}}}]] ▶}}}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남자부 2020~2025
라운드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80b2d9,#191919><rowcolor=#000><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 2020-2021 시즌 ||
|| 케이타
KB손해보험 / 라이트 || 러셀
한국전력 / 라이트 || 알렉스
우리카드 / 레프트 || 다우디
현대캐피탈 / 라이트 || 알렉스
우리카드 / 레프트 || 요스바니
대한항공 / 레프트 ||
||<bgcolor=#e9e9e9><-6> 2021-2022 시즌 ||
|| 케이타
KB손해보험 / 라이트 || 러셀
삼성화재 / 라이트 || 케이타
KB손해보험 / 라이트 || 케이타
KB손해보험 / 라이트 || 레오
OK금융그룹 / 레프트 || 케이타
KB손해보험 / 라이트 ||
||<bgcolor=#e9e9e9><-6> 2022-2023 시즌 ||
|| 니콜라
KB손해보험 / 아포짓 ||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 레오
OK금융그룹 / 아웃사이드 히터 || 타이스
한국전력 / 아웃사이드 히터 || 허수봉
현대캐피탈 / 아포짓 || 한선수
대한항공 / 세터 ||
||<bgcolor=#e9e9e9><-6> 2023-2024 시즌 ||
|| 요스바니
삼성화재 / 아웃사이드 히터 || 임성진
한국전력 / 아웃사이드 히터 || 마테이
우리카드 / 아웃사이드 히터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bgcolor=#e9e9e9><-6> 2024-2025 시즌 ||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6><bgcolor=#ddd,#212121> ||





2.2.2. 여자부[편집]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2005~2011
여자부 월간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e9e9e9,#191919><colbgcolor=#f9c2f7><tablebgcolor=#FFFFFF><|2><width=15%> 2005 ||<-15> 3월 ||<-15> 4월 ||
||<-15> 김민지
GS칼텍스 / 레프트 ||<-15> 정대영
현대건설 / 센터 ||
||<|2><rowbgcolor=#e9e9e9> 2005-06 ||<-10> 12월 ||<-10> 1월 ||<-10> 2월 ||
||<-10>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10> 황연주
흥국생명 / 라이트 ||<-10> 임유진
도로공사 / 라이트 ||
||<|2><rowbgcolor=#e9e9e9> 2006-07 ||<-10> 1월 ||<-10> 2월 ||<-10> 3월 ||
||<-10>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10> 윌킨스
흥국생명 / 레프트 ||<-10> 레이첼
도로공사 / 라이트 ||
||<|2><rowbgcolor=#e9e9e9> 2007-08 ||<-10> 12월 ||<-10> 1월 ||<-10> 2월 ||
||<-10>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10> 김사니
KT&G / 세터 ||<-10> 한송이
도로공사 / 레프트 ||

||<tablewidth=100%><|2><rowbgcolor=#e9e9e9><#f9c2f7><width=15%><tablebgcolor=#FFF> 2008-09 || 1R || 2R || 3R || 4R || 5R || 6R || 7R ||
|| 데라크루즈
GS칼텍스 / 라이트 || 카리나
흥국생명 / 레프트 ||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 밀라
도로공사 / 라이트 || 마리안
KT&G / 라이트 || 김사니
KT&G / 세터 || 이숙자
GS칼텍스 / 세터 ||

||<tablewidth=100%><colbgcolor=#f9c2f7><tablebgcolor=#FFFFFF><|2><rowbgcolor=#e9e9e9><width=15%> 2009-10 ||<-6> 11월 ||<-6> 2월 ||<-6> 1월 ||<-6> 2월 ||<-6> 3월 ||
||<-6> 케니
현대건설 / 라이트 ||<-6> 몬타뇨
KT&G / 라이트 ||<-6> 데스티니
GS칼텍스 / 라이트 ||<-6>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6> 몬타뇨
KT&G / 라이트 ||
||<|2><rowbgcolor=#e9e9e9> 2010-11 ||<-10> 12월 ||<-10> 1월 ||<-10> 2월 ||
||<-10> 황민경
도로공사 / 레프트 ||<-10> 임효숙
도로공사 / 레프트 ||<-10> 몬타뇨
KT&G / 라이트 ||
||<-31><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2011~2015
여자부 라운드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f9c2f7,#191919><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2011-2012 시즌 ||
||<-2> 몬타뇨
인삼공사 / 라이트 || 김사니
흥국생명 / 세터 ||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2> 이바나
도로공사 / 라이트 ||
||<bgcolor=#e9e9e9><:><-6>2012-2013 시즌 ||
|| 베띠
GS칼텍스 / 라이트 || 김희진
기업은행 / 센터 ||<-2>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 니콜
도로공사 / 라이트 || 알레시아
기업은행 / 라이트 ||
||<bgcolor=#e9e9e9><:><-6>2013-2014 시즌 ||
|| 조이스
인삼공사 / 라이트 ||<-2> 베띠
GS칼텍스 / 라이트 ||<-2> 김희진
기업은행 / 센터 ||
||<bgcolor=#e9e9e9><:><-6>2014-2015 시즌 ||
||<-2> 폴리
현대건설 / 라이트 || 데스티니
기업은행 / 라이트 || 문정원
도로공사 / 라이트 || 니콜
도로공사 / 라이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6><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2015~2020
여자부 라운드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f9c2f7,#191919><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2015-2016 시즌 ||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2>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2> 맥마혼
IBK기업은행 / 라이트 || 박정아
IBK기업은행 / 레프트 ||
||<bgcolor=#e9e9e9><:><-6>2016-2017 시즌 ||
|| 박정아
IBK기업은행 / 레프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황연주
현대건설 / 라이트 || 알레나
KGC인삼공사 / 라이트 || 이고은
IBK기업은행 / 세터 || 알레나
KGC인삼공사 / 라이트 ||
||<bgcolor=#e9e9e9><:><-6>2017-2018 시즌 ||
|| 이다영
현대건설 / 세터 ||<-2>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 라이트 || 메디
IBK기업은행 / 레프트 ||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 라이트 || 듀크
GS칼텍스 / 라이트 ||
||<bgcolor=#e9e9e9><:><-6>2018-2019 시즌 ||
|| 이소영
GS칼텍스 / 레프트 || 어나이
IBK기업은행 / 라이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알리
GS칼텍스 / 라이트 || 문정원
한국도로공사 / 레프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bgcolor=#e9e9e9><:><-6>2019-2020 시즌 ||
|| 강소휘
GS칼텍스 / 레프트 || 러츠
GS칼텍스 / 라이트 || 이다영
현대건설 / 세터 ||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 디우프
KGC인삼공사 / 라이트 || -[a] ||
||<-6>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한 리그 조기 종료에 따라 6라운드 MVP는 공석 ||
||<-6><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2020~2025
여자부 라운드 MVP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f9c2f7,#191919><tablebgcolor=#FFFFFF> 1R ||<width=16%> 2R ||<width=16%> 3R ||<width=16%> 4R ||<width=16%> 5R ||<width=16%> 6R ||
||<bgcolor=#e9e9e9><-6> 2020-2021 시즌 ||
|| 김연경
흥국생명 / 레프트 || 러츠
GS칼텍스 / 라이트 || 디우프
KGC인삼공사 / 라이트 || 이재영
흥국생명 / 레프트 || 이소영
GS칼텍스 / 레프트 || 라자레바
IBK기업은행 / 라이트 ||
||<bgcolor=#e9e9e9><-6> 2021-2022 시즌 ||
|| 야스민
현대건설 / 라이트 || 양효진
현대건설 / 센터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선수명
팀명 / 포지션 ||
||<-6><bgcolor=#ddd,#212121> ||




2.3. V-리그 기록상[편집]



2.3.1. 남자부 기록상[편집]


연도득점상[129]공격상[130]블로킹상 [131]서브상[132]세터상[133]수비상[134]
2005이경수
(구미 LG)
후인정
(천안 현대)
이선규
(천안 현대)
이경수
(구미 LG)
권영민
(천안 현대)
여오현
(삼성화재)
2005-2006이경수
(구미 LG)
이경수
(구미 LG)
이선규
(천안 현대)
이경수
(구미 LG)
최태웅
(삼성화재)
여오현
(삼성화재)
2006-07레안드로
(삼성화재)
보비
(대한항공)
방신봉
(LG)
보비
(대한항공)
최태웅
(삼성화재)
여오현
(삼성화재)
2007-08안젤코
(삼성화재)
장광균
(대한항공)
이선규
(현대캐피탈)
안젤코
(삼성화재)
최태웅
(삼성화재)
김주완
(상무)
2008-09안젤코
(삼성화재)
박철우
(현대캐피탈)
이선규
(현대캐피탈)
안젤코
(삼성화재)
최태웅
(삼성화재)
이강주
(상무)
2009-10가빈
(삼성화재)
가빈
(삼성화재)
하경민
(현대캐피탈)
가빈
(삼성화재)
한선수
(대한항공)
여오현
(삼성화재)
2010-11가빈
(삼성화재)
김학민
(대한항공)
방신봉
(KEPCO)
에반
(대한항공)
한선수
(대한항공)
최부식
(대한항공)
2011-12가빈
(삼성화재)
가빈
(삼성화재)
신영석
(드림식스)
마틴
(대한항공)
유광우
(삼성화재)
곽승석
(대한항공)
2012-13레오
(삼성화재)
레오
(삼성화재)
신영석
(러시앤캐시)
마틴
(대한항공)
유광우
(삼성화재)
임동규
(현대캐피탈)
2013-14레오
(삼성화재)
레오
(삼성화재)
신영석
(우리카드)
마이클
(대한항공)
유광우
(삼성화재)
곽승석
(대한항공)


2.3.2. 여자부 기록상[편집]


연도득점상[135]공격상[136]블로킹상 [137]서브상[138]세터상[139]수비상[140]
2005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김세영
(대전 KT&G)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김사니
(구미 도로공사)
남지연
(LG정유)
2005-06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김세영
(대전 KT&G)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김사니
(구미 도로공사)
남지연
(인천 GS칼텍스)
2006-07레이첼
(구미 도로공사)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안드레이아
(인천 GS칼텍스)
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이영주
(천안 흥국생명)
남지연
(인천 GS칼텍스)
2007-08한송이
(구미 도로공사)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정대영
(인천 GS칼텍스)
하께우
(인천 GS칼텍스)
이효희
(천안 흥국생명)
김해란
(구미 도로공사)
2008-09밀라
(구미 도로공사)
베띠
(인천 GS칼텍스)
김세영
(대전 KT&G)
김연경
(천안 흥국생명)
이효희
(천안 흥국생명)
김해란
(구미 도로공사)
2009-10케니
(수원 현대건설)
몬타뇨
(대전 KT&G)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케니
(수원 현대건설)
한수지
(수원 현대건설)
남지연
(서울 GS칼텍스)
2010-11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황연주
(수원 현대건설)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임명옥
(대전 인삼공사)
2011-12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몬타뇨
(대전 인삼공사)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황민경
(성남 도로공사)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김해란
(성남 도로공사)
2012-13니콜
(성남 도로공사)
알레시아
(화성 기업은행)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니콜
(성남 도로공사)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남지연
(서울 GS칼텍스)
2013-14조이스
(대전 인삼공사)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양효진
(수원 현대건설)
백목화
(대전 인삼공사)
염혜선
(수원 현대건설)
임명옥
(대전 인삼공사)

연도백어택상[141]수비상[142]
2005황연주
(천안 흥국생명)
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2005-06정대영
(수원 현대건설)
2006-07레이첼
(구미 도로공사)
2007-08한송이
(구미 도로공사)


2.4. V-리그 베스트7[편집]


한국배구연맹은 V-리그 10주년을 맞이해 프로배구의 발전과 도약을 위해 변화를 모색, 그 일환으로 시상제도를 개편하여 남자부/여자부 각각 V-리그 포지션별 시즌 베스트7상을 신설하였다. 기존의 기록상(득점·공격·블로킹·서브)을 폐지함과 동시에 수여되던 세터상, 수비상(리베로)을 베스트7상에 흡수하였다. 시상 기준은 기록에 의한 정량 평가, 기자단 투표, 전문위원 투표, 각 팀 감독 및 주장 투표를 합산한 결과에 따른다.


2.4.1. 남자부[편집]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남자부 2014~2020
베스트 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80b2d9,#191919><tablebgcolor=#FFFFFF> OP ||<width=14%> OH1 ||<width=14%> OH2 ||<width=14%> MB1 ||<width=14%> MB2 ||<width=14%> S ||<width=14%> L ||
||<-7><bgcolor=#e9e9e9> 2014-2015 시즌 ||
|| 시몬
(OK저축은행) ||<width=13%> 레오
(삼성화재) || 전광인
(한국전력) ||<width=13%> 최민호
(현대캐피탈) || 박진우
(우리카드) || 유광우
(삼성화재) || 여오현
(현대캐피탈) ||
||<-7><bgcolor=#e9e9e9> 2015-2016 시즌 ||
|| 그로저
(삼성화재) || 오레올
(현대캐피탈) || 송명근
(OK저축은행) || 이선규
(삼성화재) || 최민호
(현대캐피탈) || 한선수
(대한항공) || 여오현
(현대캐피탈) ||
||<-7><bgcolor=#e9e9e9> 2016-2017 시즌 ||
|| 문성민
(현대캐피탈) || 전광인
(한국전력) || 타이스
(삼성화재) || 윤봉우
(한국전력)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광국
(우리카드) || 부용찬
(삼성화재) ||
||<-7><bgcolor=#e9e9e9> 2017-2018 시즌 ||
|| 파다르
(우리카드) || 전광인
(한국전력) || 타이스
(삼성화재)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규민
(삼성화재) || 유광우
(우리카드) || 부용찬
(삼성화재) ||
||<-7><bgcolor=#e9e9e9> 2018-2019 시즌 ||
|| 아가메즈
(우리카드) || 정지석
(대한항공) || 전광인
(현대캐피탈)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규민
(대한항공) || 한선수
(대한항공) || 정민수
(KB손해보험) ||
||<-7><bgcolor=#e9e9e9> 2019-2020 시즌 ||
|| 비예나
(대한항공) || 나경복
(우리카드) || 정지석
(대한항공) || 신영석
(현대캐피탈) || 김규민
(대한항공) || 한선수
(대한항공) || 이상욱
(우리카드) ||
||<-7><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남자부 2020~2025
베스트 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80b2d9,#191919><tablebgcolor=#FFFFFF> OP ||<width=14%> OH1 ||<width=14%> OH2 ||<width=14%> MB1 ||<width=14%> MB2 ||<width=14%> S ||<width=14%> L ||
||<-7><bgcolor=#e9e9e9> 2020-2021 시즌 ||
|| 케이타
(KB손해보험) ||<width=13%> 정지석
(대한항공) || 알렉스
(우리카드) ||<width=13%> 신영석
(한국전력) || 하현용
(우리카드) || 황택의
(KB손해보험) || 오재성
(한국전력) ||
||<-7><bgcolor=#e9e9e9> 2021-2022 시즌 ||
|| 케이타
(KB손해보험) ||<width=13%> 나경복
(우리카드) || 레오
(OK금융그룹) || 신영석
(한국전력) ||<width=13%> 최민호
(현대캐피탈) || 황택의
(KB손해보험) || 박경민
(현대캐피탈) ||
||<-7><bgcolor=#e9e9e9> 2022-2023 시즌 ||
|| 레오
(OK금융그룹 ||<width=13%> 정지석
(대한항공) || 타이스
(한국전력) || 신영석
(한국전력) ||<width=13%> 최민호
(현대캐피탈) || 황택의
(KB손해보험) || 오재성
(우리카드) ||
||<-7><bgcolor=#ddd,#212121> ||
||<-7><bgcolor=#ee82ee><color=#373a3c> 여자부 베스트7 보기 ||





2.4.2. 여자부[편집]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2014~2020
여자부 베스트 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f9c2f7,#191919><tablebgcolor=#FFFFFF> R ||<width=14%> L1 ||<width=14%> L2 ||<width=14%> C1 ||<width=14%> C2 ||<width=14%> S ||<width=14%> Li ||
||<-7><bgcolor=#e9e9e9> 2014-2015 시즌 ||
|| 니콜
(한국도로공사) ||<width=13%> 폴리
(현대건설) || 박정아
(IBK기업은행) ||<width=13%> 양효진
(현대건설) || 김희진
(IBK기업은행) || 이효희
(한국도로공사) || 나현정
(GS칼텍스) ||
||<-7><bgcolor=#e9e9e9> 2015-2016 시즌 ||
|| 맥마혼
(IBK기업은행) || 이재영
(흥국생명) || 에밀리
(현대건설) || 양효진
(현대건설) || 캣 벨
(GS칼텍스) || 김사니
(IBK기업은행) || 나현정
(GS칼텍스) ||
||<-7><bgcolor=#e9e9e9> 2016-2017 시즌 ||
|| 알레나
(KGC인삼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리쉘
(IBK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김수지
(흥국생명) || 조송화
(흥국생명) || 한지현
(흥국생명) ||
||<-7><bgcolor=#e9e9e9> 2017-2018 시즌 ||
|| 이바나
(한국도로공사) || 이재영
(흥국생명) || 메디
(IBK기업은행) || 양효진
(현대건설) || 배유나
(한국도로공사) || 이다영
(현대건설) || 오지영
(KGC인삼공사) ||
||<-7><bgcolor=#e9e9e9> 2018-2019 시즌 ||
|| 톰시아
(흥국생명) || 이재영
(흥국생명) ||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 양효진
(현대건설) || 정대영
(한국도로공사) || 이다영
(현대건설) || 오지영
(KGC인삼공사) ||
||<-7><bgcolor=#e9e9e9> 2019-2020 시즌 ||
|| 디우프
(KGC인삼공사) || 강소휘
(GS칼텍스) || 이재영
(흥국생명) || 양효진
(현대건설) || 한송이
(KGC인삼공사) || 이다영
(현대건설) || 임명옥
(한국도로공사) ||
||<-7><bgcolor=#ddd,#212121> ||



파일:V_League_Logo.pngV-리그 여자부 2020~2025
베스트 7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6%><rowbgcolor=#f9c2f7,#191919><tablebgcolor=#FFFFFF> OP ||<width=14%> OH1 ||<width=14%> OH2 ||<width=14%> MB1 ||<width=14%> MB2 ||<width=14%> S ||<width=14%> L ||
||<-7><bgcolor=#e9e9e9> 2020-2021 시즌 ||
|| 디우프
(KGC인삼공사) ||<width=13%> 김연경
(흥국생명) || 이소영
(GS칼텍스) ||<width=13%> 양효진
(현대건설) || 한송이
(KGC인삼공사) || 안혜진
(GS칼텍스) || 임명옥
(한국도로공사) ||
||<-7><bgcolor=#e9e9e9> 2021-2022 시즌 ||
|| 모마
(GS칼텍스) ||<width=13%> 박정아
(한국도로공사) || 강소휘
(GS칼텍스) ||<width=13%> 양효진
(현대건설) || 이다현
(현대건설) || 김다인
(현대건설) || 임명옥
(한국도로공사) ||
||<-7><bgcolor=#e9e9e9> 2022-2023 시즌 ||
|| 엘리자벳
(KGC인삼공사) ||<width=13%> 김연경
(흥국생명) || 산타나
(IBK기업은행) ||<width=13%> 배유나
(한국도로공사) || 양효진
(현대건설) || 김다인
(현대건설) || 임명옥
(한국도로공사) ||
||<-7><bgcolor=#ddd,#212121> ||
||<-7><bgcolor=#0066b3> 남자부 베스트7 보기 ||





2.5. 트리플 크라운[편집]


한국배구연맹(KOVO) V-리그에 한정된 기록으로, 한 경기에서 개인이 서브 에이스, 블로킹 득점, 후위공격 득점을 각 3회 이상 성공했을 때 트리플 크라운이라 칭한다. 이 상은 2013-14 시즌에 은퇴한 김건태 前 심판이 V-리그 출범 때 제안하여 만들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V-리그/기록/트리플 크라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항목별 기록[편집]



3.1. 남자부 기록[편집]



3.1.1. 득점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득점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경수LG화재521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경수LIG652
2006-07파일:브라질 국기.svg레안드로 다 실바삼성화재717
2007-08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안젤코 추크삼성화재805
2008-09885
2009-10파일:캐나다 국기.svg가빈 슈미트삼성화재1110
2010-11839
2011-121112
2012-13파일:쿠바 국기.svg레오나르도 레이바삼성화재867
2013-141084
2014-151282
2015-16파일:독일 국기.svg괴르기 그로저삼성화재1073
2016-17파일:네덜란드 국기.svg타이스 덜 호스트삼성화재1065
2017-18파일:헝가리 국기.svg크리스티안 파다르우리카드966
2018-19파일:네덜란드 국기.svg타이스 덜 호스트삼성화재879
2019-20파일:스페인 국기.svg안드레스 비예나대한항공786
2020-21파일:말리 국기.svg노우모리 케이타KB손해보험1147
2021-221285역대 최다 득점
2022-23파일:쿠바 국기.svg레오나르도 레이바OK금융그룹921

3.1.2. 공격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공성 %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후인정현대캐피탈53.99%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경수LIG48.25%
2006-07파일:브라질 국기.svg호보종 지 파지우대한항공53.14%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광균대한항공54.10%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철우현대캐피탈55.32%
2009-10파일:캐나다 국기.svg가빈 슈미트삼성화재55.55%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학민대한항공55.65%
2011-12파일:캐나다 국기.svg가빈 슈미트삼성화재59.27%
2012-13파일:쿠바 국기.svg레오나르도 레이바삼성화재59.69%
2013-1458.57%
2014-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광인한국전력57.52%
2015-16파일:쿠바 국기.svg오레올 까메호현대캐피탈59.45%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학민대한항공57.12%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철우삼성화재55.16%
2018-19파일:네덜란드 국기.svg타이스 덜 호스트삼성화재58.91%
2019-20파일:스페인 국기.svg안드레스 비예나대한항공56.36%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지석대한항공55.43%
2021-22파일:말리 국기.svg노우모리 케이타KB손해보험55.51%
2022-23파일:호주 국기.svg링컨 윌리엄스대한항공55.09%

3.1.3. 서브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경수LG화재0.273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경수LIG0.436
2006-07파일:브라질 국기.svg호보종 지 파지우대한항공0.529
2007-08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안젤코 추크삼성화재0.366
2008-090.368
2009-10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가빈 슈미트삼성화재0.361
2010-11파일:미국 국기.svg에반 페이텍대한항공0.500
2011-12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네맥 마틴대한항공0.500
2012-130.564
2013-14파일:쿠바 국기.svg마이클 산체스대한항공0.463
2014-15파일:쿠바 국기.svg로베르틀란디 시몬 아티스OK저축은행0.568
2015-16파일:독일 국기.svg괴르기 그로저삼성화재0.83
2016-17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미차 가스파리니대한항공0.63
2017-18파일:헝가리 국기.svg크리스티안 파다르우리카드0.69
2018-19파일:헝가리 국기.svg크리스티안 파다르현대캐피탈0.77
2019-20파일:스페인 국기.svg안드레스 비예나대한항공0.56
2020-21파일:미국 국기.svg카일 러셀한국전력0.73[143]
2021-22파일:말리 국기.svg노우모리 케이타KB손해보험0.77
2022-23파일:쿠바 국기.svg레오나르도 레이바OK금융그룹0.93역대 최다

3.1.4. 블로킹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선규현대캐피탈0.932
2005-060.991
2006-07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방신봉LIG1.093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선규현대캐피탈0.750
2008-090.916
2009-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하경민현대캐피탈0.915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방신봉KEPCO450.917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영석드림식스0.845
2012-130.835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영석우리카드0.866
2014-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진우우리카드0.796
2015-16파일:쿠바 국기.svg로베르틀란디 시몬 아티스OK저축은행0.74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봉우한국전력0.62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영석현대캐피탈0.85
2018-19파일:헝가리 국기.svg크리스티안 파다르현대캐피탈0.59
2019-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영석현대캐피탈0.85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영석한국전력0.66
2021-220.63
2022-230.78

3.1.5. 디그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여오현삼성화재3.53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부식대한항공3.45
2006-0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여오현삼성화재4.01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주완상무3.82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강주신협상무4.10
2009-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강주우리캐피탈3.58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부식대한항공3.49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곽동혁KEPCO2.94
2012-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부식대한항공2.89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여오현현대캐피탈2.79
2014-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부용찬LIG손해보험2.92
2015-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부용찬KB손해보험2.89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곽동혁KB손해보험2.84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지석대한항공2.09
2018-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상욱우리카드2.48
2019-203.35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경민현대캐피탈2.24
2021-222.68
2022-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상욱삼성화재2.73

3.1.6. 리시브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리시브효율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여오현삼성화재82.84%[144]
2005-0678.04%[145]
2006-0771.71%[146]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석진욱삼성화재75.24%[147]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평균[148]비고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석진욱삼성화재4.97[149]
2009-105.71[150]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여오현삼성화재4.60[151]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곽승석대한항공5.81[152]
2012-134.95[153]
2013-146.71[154]
2014-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재덕한국전력5.97
2015-165.53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으뜸우리카드5.10[155]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류윤식삼성화재4.14[156]
2018-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광인현대캐피탈3.83
2019-203.46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오은렬대한항공2.52
2021-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경민현대캐피탈2.80
2022-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오은렬대한항공1.52

3.2. 여자부 기록[편집]



3.2.1. 득점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득점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대영현대건설319[157]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756[158]
2006-07파일:미국 국기.svg레이첼 밴 미터한국도로공사666[159]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송이한국도로공사692[160]
2008-09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밀라그로스 카브랄한국도로공사774
2009-10파일:콜롬비아 국기.svg케니 모레노현대건설699
2010-11파일:콜롬비아 국기.svg마델라이네 몬타뇨KGC인삼공사591
2011-121076
2012-13파일:미국 국기.svg니콜 포셋한국도로공사875
2013-14파일:브라질 국기.svg조이스 고메즈 다 실바KGC인삼공사1009
2014-15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폴리나 라히모바현대건설982
2015-16파일:미국 국기.svg헤일리 스펠만KGC인삼공사776
2016-17파일:미국 국기.svg알레나 버그스마KGC인삼공사854
2017-18864
2018-19파일:미국 국기.svg어도라 어나이IBK기업은행792
2019-20파일:이탈리아 국기.svg발렌티나 디우프KGC인삼공사832
2020-21963
2021-22파일:카메룬 국기.svg레티치아 모마 바소코GS칼텍스819
2022-23파일:헝가리 국기.svg엘리자벳 이네 바르가KGC인삼공사1015
V-리그 초창기의 2점 백어택 제도로 인해 실제로 얻은 득점과 당시 시스템으로 얻은 점수의 괴리가 크다. 참고로 05-06 시즌은 2점 백어택이 무제한이었다. 깨끗하게 공격을 성공시킬 경우 2점, 그렇지 않고 상대방 수비수의 두 번 이상의 터치 후 득점된 것은 1점. 06-07 시즌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자 백어택의 위력이 더 강력해질 것을 우려한 KOVO는 결국 2점 백어택을 한 세트당 두 번씩으로 제한하였다. 한 세트에 2회의 백어택 점수를 획득[161]하고 그 이상의 백어택 득점은 1점만 부여. 05-06시즌에 적용됐던 제한적 1점 백어택은 사라졌다. 그러다 08-09시즌에 그 동안 많은 백어택으로 안한 국내 선수들의 부상이 문제가 되자 폐지.

V-리그의 득점수는 당시 룰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득점 관련해서 08-09 시즌에 다시 백어택 점수가 1점으로 환원된 이후로 변화된 것은 없다.

참고로 10-11시즌에는 유일하게 3세트를 국내 선수로만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조항이 있었고 24경기 밖에 치르지 않아 외국인 선수의 득점수에서 상대적으로 손해가 크다.

국내 선수 중에서 현재 시스템 기준으로 역대 한 시즌 득점 1위는 05-06 시즌의 김연경.[162] 다만 앞의 김연경 득점은 백어택 2점이 포함된 점수가 있어 현재 기준을 적용한다면 순수 득점수 1위는 08-09 시즌의 김연경으로 바뀐다.[163]

외국인 선수 중에서 역대 한 시즌 득점 1위는 11-12 시즌의 마델라이네 몬타뇨이며 무려 1076점, 경기당 평균 35.87득점이다.


3.2.2. 공격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공성 %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KT&G39.04%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39.68%
2006-0745.07%
2007-0847.59%
2008-09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GS칼텍스49.26%
2009-10파일:콜롬비아 국기.svg마델라이네 몬타뇨KT&G46.75%
2010-11파일:콜롬비아 국기.svg마델라이네 몬타뇨인삼공사50.42%
2011-1250.69%
2012-13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알레시아 리귤릭IBK기업은행50.73%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효진현대건설51.38%
2014-15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폴리나 라히모바현대건설45.77%
2015-16파일:미국 국기.svg리즈 맥마혼IBK기업은행41.27%
2016-17파일:미국 국기.svg메디슨 리쉘IBK기업은행44.19%
2017-1843.36%
2018-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효진현대건설47.79%
2019-2043.70%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45.92%
2021-22파일:카메룬 국기.svg레티치아 모마 바소코GS칼텍스47.3%
2022-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45.92%

3.2.3. 서브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흥국생명0.306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0.409
2006-07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흥국생명0.358
2007-08파일:브라질 국기.svg하께우 다 실바GS칼텍스0.317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흥국생명0.368
2009-10파일:콜롬비아 국기.svg케니 모레노현대건설0.290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현대건설0.523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민경한국도로공사0.433
2012-13파일:미국 국기.svg니콜 포셋한국도로공사0.566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백목화KGC인삼공사0.461
2014-15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폴리나 라히모바현대건설0.629
2015-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희진IBK기업은행0.32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문정원한국도로공사0.34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희진IBK기업은행0.40
2018-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문정원한국도로공사0.33
2019-200.38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흥국생명0.28
2021-22파일:미국 국기.svg야스민 베다르트현대건설0.44
2022-23파일:헝가리 국기.svg엘리자벳 이네 바르가KGC인삼공사0.28
14-15 시즌의 폴리나 라히모바가 역대 1위, 12-13 시즌의 니콜 포셋이 역대 2위이며 역대 3위는 14-15시즌의 문정원이다.

비공인 기록으로, 11-12 시즌 후반기에 한국도로공사에서 뛰었던 이바나가 대체 선수로 0.85의 서브득점 수치를 찍긴 했다. 다만 12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해 서브 횟수에서 기준을 넘지 못해 공인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했다.


3.2.4. 블로킹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대영현대건설0.762
2005-0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KT&G0.696
2006-07파일:브라질 국기.svg안드레이아 스포르진GS칼텍스0.674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대영GS칼텍스0.649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KT&G0.789
2009-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효진현대건설0.980
2010-110.813
2011-120.958
2012-130.98
2013-141.044
2014-150.922
2015-160.74
2016-170.84
2017-180.87
2018-190.88
2019-200.85[164]
2020-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송이KGC인삼공사0.70
2021-2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효진현대건설0.74
2022-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수지GS칼텍스0.83
13-14 시즌의 양효진은 V-리그 여자부 역사상 유일하게 세트 수보다 블로킹 득점이 많은 역대급 기록을 만들어냈다. 또한, 11년 연속 블로킹 1위는 양효진의 몫이다. 20-21시즌 한송이가 블로킹 1위에 오르며 양효진의 연속 기록이 깨졌다. 정대영과 소수 셋째 자리까지 비교한 근소한 차이로 블로킹 1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21-22시즌은 다시 양효진이 블로킹 1위에 오르긴 했지만 2위인 동료 이다현과 단 1개 차이로 갈렸다.

3.2.5. 디그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 평균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도로공사7.10
2005-067.29
2006-076.38
2007-085.78
2008-095.53
2009-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지연GS칼텍스6.51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도로공사6.08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165]흥국생명6.00
2012-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지연IBK기업은행4.78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도로공사5.60
2014-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명옥KGC인삼공사5.76
2015-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KGC인삼공사6.31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나현정GS칼텍스6.63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흥국생명6.70
2018-196.75
2019-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명옥한국도로공사6.36
2020-215.69
2021-225.90
2022-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견현대건설5.65

3.2.6. 리시브 1위[편집]


연도선수명소속 구단리시브효율비고
200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구기란흥국생명68.12%[166]
2005-0671.25%[167]
2006-0762.83%[168]
2007-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지연GS칼텍스67.81%[169]
연도선수명소속 구단세트당평균[170]비고
2008-09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도로공사4.07[171]
2009-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지연GS칼텍스3.87[172]
2010-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혜숙현대건설3.36[173]
2011-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주예나흥국생명3.00[174]
2012-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주하현대건설3.08[175]
2013-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채선아IBK기업은행4.65[176]
2014-154.10[177]
2015-163.63[178]
2016-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재영흥국생명3.86[179]
2017-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문정원한국도로공사5.00[180]
2018-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오지영KGC인삼공사3.66[181]
2019-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임명옥한국도로공사3.24[182]
2020-213.16[183]
2021-223.20[184]
2022-233.31[185]
리시브효율이 가장 높았던 선수는 2005-06 시즌 흥국생명의 구기란이다. 세트당 평균 3.63에 리시브효율이 71.25%에 달했다.

세트당 평균이 가장 높았던 선수는 2017-18 시즌 한국도로공사의 문정원이다. 세트당 평균 5.00에 리시브효율이 48.03%으로 지금까지 리시브 1위를 해본 리베로 아닌 윙으로썬 가장 높은 스탯이다.


4. 달성 기록[편집]



4.1. 남자부 기록[편집]



4.1.1. 누적 득점[편집]


달성기록구분선수경기
선수명구단명시즌경기일자상대 구단
500점1호이경수LG화재20052005-4-23현대캐피탈
2호정평호한국전력2005-20062005-12-28대한항공
3호후인정현대캐피탈2005-20062006-02-18대한항공
3호장병철삼성화재2005-20062006-02-18한국전력
1000점1호이경수LIG2005-20062006-2-19대한항공
2호정평호한국전력2006-20072007-2-14대한항공
3호송인석현대캐피탈2007-20082007-12-23대한항공
1500점1호이경수LIG2006-20072007-2-25한국전력
2호정평호한국전력2007-20082008-3-2상무
3호송인석현대캐피탈2008-20092009-2-7KEPCO45
2000점1호이경수LIG손해보험2007-20082008-3-9현대캐피탈
2호정평호KEPCO452009-20102009-11-21삼성화재
3호박철우현대캐피탈2009-20102009-3-18우리캐피탈
2500점1호이경수LIG손해보험2008-20092009-3-7KEPCO45
2호박철우삼성화재2011-20122011-11-8상무신협
3호가빈삼성화재2011-20122011-12-25KEPCO
3000점1호이경수LIG손해보험2010-20112011-1-10삼성화재
2호가빈삼성화재2011-20122012-3-7KEPCO
3호박철우삼성화재2012-20132012-12-6대한항공
3500점1호이경수LIG손해보험2012-20132012-12-26KEPCO
2호박철우삼성화재2013-20142014-2-18한국전력
3호김요한KB손해보험2015-20162016-1-17삼성화재
4000점1호박철우삼성화재2016-20172017-2-18OK저축은행
2호김요한KB손해보험2016-20172017-3-12우리카드
3호문성민현대캐피탈2017-20182018-2-4OK저축은행
4500점1호박철우삼성화재2017-20182018-1-14우리카드
2호문성민현대캐피탈2019-20202020-2-13OK저축은행
3호
5000점1호박철우삼성화재2018-20192018-12-31우리카드
2호
3호
5500점1호박철우삼성화재2019-20202019-12-15대한항공
2호
3호
6000점1호박철우한국전력2020-20212020-12-22KB손해보험
2호
3호

4.2. 여자부 기록[편집]



4.2.1. 누적 득점[편집]


달성기록구분선수경기
선수명구단명시즌경기일자상대 구단
500점1호정대영현대건설2005-20062005-12-25GS칼텍스
2호김민지GS칼텍스2005-20062006-01-03도로공사
3호황연주흥국생명2005-20062006-01-21현대건설
1000점1호정대영현대건설2005-20062006-03-12GS칼텍스
2호김민지GS칼텍스2006-20072007-01-11현대건설
3호김연경흥국생명2006-20072007-01-20GS칼텍스
1500점1호정대영현대건설2006-20072007-03-10흥국생명
2호김연경흥국생명2007-20082007-12-30KT&G
3호김민지GS칼텍스2007-20082008-01-25도로공사
2000점1호김연경흥국생명2008-20092008-11-25GS칼텍스
2호정대영GS칼텍스2008-20092008-12-20도로공사
3호황연주흥국생명2009-20102009-11-23GS칼텍스
2500점1호김연경흥국생명2008-20092009-03-05현대건설
2호황연주현대건설2010-20112011-01-05흥국생명
3호김민지GS칼텍스2010-20112011-03-12도로공사
3000점1호황연주현대건설2011-20122012-01-31도로공사
2호정대영GS칼텍스2012-20132012-12-29KGC인삼공사
3호한송이GS칼텍스2012-20132013-01-15도로공사
3500점1호황연주현대건설2012-20132013-03-10KGC인삼공사
2호한송이GS칼텍스2014-20152014-11-05한국도로공사
3호정대영한국도로공사2014-20152015-02-10KGC인삼공사
4000점1호황연주현대건설2014-20152015-01-21IBK기업은행
2호한송이GS칼텍스2015-20162016-02-18현대건설
3호정대영한국도로공사2016-20172016-12-20GS칼텍스
4500점1호황연주현대건설2016-20172016-10-18GS칼텍스
2호양효진현대건설2017-20182018-02-06IBK기업은행
3호한송이KGC인삼공사2018-20192018-10-31GS칼텍스
5000점1호황연주현대건설2017-20182017-12-05IBK기업은행
2호양효진현대건설2018-20192019-02-03KGC인삼공사
3호정대영한국도로공사2020-20212020-12-01IBK기업은행
5500점1호양효진현대건설2019-20202020-02-11한국도로공사
2호황연주현대건설2021-20222021-11-26흥국생명
6000점1호양효진현대건설2020-20212021-03-14한국도로공사


5. 감독 기록[편집]



5.1. 역대 감독상[편집]


한 때 우승감독상이라는 이름이었을 정도로 우승을 한 감독에게 주는 상이다.
신영철(2019-20), 이도희(2019-20), 강성형(2021-22) 세 감독은 중단시즌에 팀이 1위를 유지하고 있어 시상했으며, 우승감독들은 아니다.


5.1.1. 남자부[편집]




5.1.2. 여자부[편집]




5.2. 승수[편집]


남자부와 여자부를 모두 지도한 적이 있는 감독은 남자부 승수와 여자부 승수가 따로 카운트된다.


5.2.1. 남자부[편집]




5.2.2. 여자부[편집]




6. 기타 기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V-리그 문서의 r1056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V-리그 문서의 r10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22:50:58에 나무위키 V-리그/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5-06[2] 8회: 2005-06 12월, 2006-07 1월, 2007-08 12월, 2008-09 3R, 2020-21 1R, 2022-23 3R, 5R, 6R[3] 6회: 2005-06 득점, 공격, 서브, 2006-07 공격, 2007-08 공격, 2008-09 서브[4] 2회: 2020-21, 2022-23[5] 5회: 2005-06, 2006-07, 2007-08, 2020-21, 2022-23[6] 3회: 2005-06, 2006-07, 2008-09[7] 1회: 2022-23[8] 1회: 2010[9] 1회: 2009[10] 1회: 2005 4월[11] 4회: 2005 블로킹, 2005 수비, 2005-06 백어택, 2005-06 블로킹[12] 1회: 2018-19[13] 1회: 2005[14] 1회: 2007-08[15] 1회: 2005-06[16] 1회: 2007[17] 2005[18] 1회: 2005-06 1월[19] 4회: 2005 백어택, 서브, 2006-07 서브, 2010-11 서브[20] 1회: 2010-11[21] 1회: 2010-11[22] 2회: 2006-07, 2010-11[23] 1회: 2014[24] 2014-15[25] 2014-15 6R, [26] 1회: 2018-19[27] 2회: 2016-17, 2018-19[28] 1회: 2018-19[29] 1회: 2018-19[30] 2008-09 1R, 2012-13 1R, 2013-14 2R, 3R[31] 1회: 2008-09 공격[32] 1회: 2013-14[33] 1회: 2008-09[34] 1회: 2013-14[35] 1회: 2013-14[36] 1회: 2012-13 6R[37] 1회: 2012-13 공격[38] 1회: 2011-12[39] 1회: 2012-13[40] 1회: 2012-13[41] 1회: 2011-12[42] 2009-10 12월, 3월, 2010-11 2월, 2011-12 1R, 2R[43] 5회: 2009-10 공격, 2010-11 득점, 공격, 2011-12 득점, 공격[44] 1회: 2011-12[45] 2회: 2009-10, 2011-12[46] 1회: 2012-13 5R, 2014-15 5R[47] 2회: 2012-13 득점, 서브[48] 1회: 2012-13[49] 1회: 2014-15[50] 1회: 2012-13[51] 2회: 2015-16 4R, 5R[52] 1회: 2015-16[53] 1회: 2015-16[54] 8회: 2009-10 2월, 2011-12 4R, 2012-13 3R, 4R, 2015-16 2R, 3R, 2019-20 4R, 2021-22 2R[55] 6회: 2009-10 블로킹, 2010-11 블로킹, 2011-12 블로킹, 2012-13 블로킹, 2013-14 공격, 블로킹[56] 9회: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57] 2회: 2019-20, 2021-22[58] 1회: 2015-16[59] 2009-10 11월[60] 2회: 2009-10 득점, 서브[61] 1회: 2009-10[62] 5회: 2011-12 4R, 5R, 2017-18 2R, 3R, 5R[63] 1회: 2017-18[64] 1회: 2017-18[65] 1회: 2006[66] 1회: 2007-08 1월, 2008-09 6R, 2011-12 3R[67] 1회: 2014-15[68] 1회: 2008[69] 2회: 2007-08 세트, 2008-09 세트[70] 1회: 2014-15[71] 2회: 2013-14, 2014-15[72] 1회: 2007-08 2월[73] 1회: 2012[74] 1회: 2012-13 2R, 2013-14 4R, 5R[75] 2회: 2013, 2015[76] 2011-12[77] 1회: 2017-18[78] 1회: 2016[79] 2015-16[80] 3회: 2017, 2020, 2023[81] 2013-14[82] 1회: 2019[83] 1회: 2018[84] 1회: 2022[85] 1회: 2011[86] 2018-19[87] 1회: 2021[88] 1회: 2005[89] 1회: 2005[90] 2012-13[91] 1회: 2020-21[92] 1회: 2021-22[93] 1회: 2005 3월[94] 1회: 2009-10[95] 2007-08[96] 1회: 2015-16[97] 2회: 2016-17 4R, 6R[98] 1회: 2016-17[99] 1회: 2017-18[100] 1회: 2016-17[101] 2019-20 2R[102] 1회: 2020-21[103] 1회: 2014-15 1R, 2R[104] 1회: 2014-15[105] 1회: 2022-23[106] 2006-07[107] 2010-11[108] 2009-10[109] 2016-17[110] 2017-18[111] 2020-21[112] 2019-20[113] 2021-22[114] 2022-23[115] 2008-09[116] 1회: 2005-06 2월[117] 2회: 2014-15 4R, 2018-19 5R[118] 1회: 2010-11 12월[119] 1회: 2011-12 1월[120] 1회: 2008-09 7R[121] 1회: 2006-07 2월[122] 1회: 2008-09 2R[123] 1회: 2009-10 1월[124] 1회: 2013-14 1R[125] 1회: 2008-09 4R[126] 1회: 2008-09 5R[127] 3회: 2005 공격, 2005-06 블로킹, 2008-09 블로킹[기록말소] A B C 승부조작 혐의자로, 기록 말소.[128] 12-13, 13-14 시즌에는 '베띠'로 등록했다.[129] 다득점(공격, 블로킹, 서브 득점의 합계)[130] 공격성공률 (성공횟수/시도횟수) * 점유율 20% 이상[131]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5% 이상[132]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0% 이상[133]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50% 이상[134] 리베로만 해당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
[135] 다득점(공격, 블로킹, 서브 득점의 합계)[136] 공격성공률 (성공횟수/시도횟수) * 점유율 20% 이상[137]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5% 이상[138]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10% 이상[139]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성공횟수/출전세트수) * 점유율 50% 이상[140] 리베로만 해당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
[141] 다득점 (여자만 해당, 성공수(2점후위개수))[142] 세트당 평균 성공횟수 (디그성공횟수+(리시브성공횟수-리시브실패수))/출전세트수
점유율 : 디그 - 팀내 점유율 15% 이상, 리시브 - 팀내 점유율 25% 이상
[143] 리그 전 경기에서 서브득점을 기록했다.[144] 세트당평균 5.28[145] 세트당평균 4.56[146] 세트당평균 4.70[147] 세트당평균 4.77[148] (리시브 성공 - 리시브 실패) / 세트수[149] 리시브효율 72.69%[150] 리시브효율 73.82%[151] 리시브효율 71.98%[152] 리시브효율 62.97%[153] 리시브효율 55.54%[154] 리시브효율 60.02%[155] 리시브효율 54.44%[156] 리시브효율 52.95%[157] 상대적으로 수치가 적은 이유는 사실상 세미프로 시절의 시스템으로 진행된 과도기 시즌이라서, 16경기만 진행했기 때문. 경기당 평균 20득점의 기록이다.[158] 국내선수 최다 득점 기록. 단, 05-06 ~ 07-08 시즌까지는 여자부 한정 백어택 2점이 포함된 기록으로 현재의 점수를 기준으로 하면 143회 성공이고 당시에는 2점 백어택 점수가 무제한이었다. 다만 2회 이상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2점이 아닌 1점만 준다. 그런 과정으로 1점만 얻은 것을 고려한 실제 점수는 623점이다. 참고로 이 시즌은 7라운드 28경기로 진행되었다.[159] 직전 시즌에 비해 4경기가 줄어서 24경기만 진행했으며 경기당 평균 득점은 05-06 시즌의 김연경보다 더 높다.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35점.[160] 현재 득점 기준으로 바꾸면 591점.[161] 24점을 선취한 상황에서 듀스 상황이 아니고 그 때 백어택 득점을 할 경우 1점만 준다. 물론 24-24 상황이라면 2점 백어택 요건이 인정될 경우 그대로 세트가 끝난다.[162] 당시 28경기 756점 - 경기당 27.00점(현재 KOVO가 공인하는 국내 선수 역대 최고 점수), 현재 기준 623점 - 경기당 22.25점[163] 28경기 670점, 경기당 23.93점[164] 11번 연속 블로킹 1위 달성[165] 승부조작 혐의자로 기록 말소[166] 세트당평균 4.70[167] 세트당평균 3.63[168] 세트당평균 3.97[169] 세트당평균 4.05[170] (리시브 성공 - 리시브 실패) / 세트수[171] 리시브효율 62.82%[172] 리시브효율 66.72%[173] 리시브효율 47.59%[174] 리시브효율 41.03%[175] 리시브효율 46.55%[176] 리시브효율 40.94%[177] 리시브효율 40.40%[178] 리시브효율 40.98%[179] 리시브효율 45.91%[180] 리시브효율 48.03%[181] 리시브효율 56.22%[182] 리시브효율 51.94%[183] 리시브효율 52.63%[184] 리시브효율 55.24%[185] 리시브효율 59.85%[186] 이희완 감독이 지병으로 요양하게 되면서 시즌 후반부를 지도한 이성희 GS칼텍스 코치가 특별상을 수상했다.[187] 여자배구 IBK기업은행 감독으로 현역 감독이지만 남자배구팀의 기록은 카운트 되지 않는다.[188] 흥국생명의 우승시즌인 2005-06, 2008-09시즌에 경질당했다.[189] 대한항공도 맡은 바 있는 김종민 감독은 남자부에서는 51승 45패를 기록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