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V-리그/역대 샐러리 캡과 연봉

덤프버전 : (♥ 0)

||




1. 개요
2. 역대 샐러리 캡
3. 역대 연봉 1위
4. 관련 기사



1. 개요[편집]


V-리그의 시즌별 샐러리 캡과 연봉 순위를 정리한 문서.


2. 역대 샐러리 캡[편집]


시즌남자부여자부
200510억 3500만 원-
2005-0611억 7000만 원6억 원
2006-0713억 원7억 원
2007-0814억 3000만 원7억 7000만 원
2008-0915억 원8억 5000만 원
2009-10
2010-1118억 5000만 원10억 원
2011-12
2012-1320억 원11억 원
2013-14
2014-1521억 원12억 원
2015-1622억 원
2016-1723억 원13억 원
2017-1824억 원
2018-1925억 원14억 원
2019-2026억 원
2020-2131억 원23억 원[1]
2021-2236억 원[2]
2022-2358억 1000만 원[3]


3. 역대 연봉 1위[편집]


시즌남자부여자부
이름최고연봉이름최고연봉
2005김세진(삼성화재),
이경수(LIG)
1억 원
2005-06이경수(LIG)1억 1500만 원[4]
2006-07후인정(현대캐피탈)1억 1800만 원[5]
2007-081억 3000만 원한유미(현대건설)1억 2000만 원
2008-09최태웅(삼성화재)1억 5000만 원한송이(도로공사)1억 5000만 원[6]
2009-101억 6800만 원[7]김사니(KT&G),
김민지(GS칼텍스)
1억3000만 원[8]
2010-11박철우(삼성화재)3억 원황연주(현대건설)1억 8500만 원[9]
2011-122억 5000만 원[10]김사니(흥국생명)1억 9000만 원[11]
2012-13김요한(LIG)3억 500만 원[12]
2013-14한선수(대한항공)5억 원[13]양효진(현대건설)2억 5000만 원[14]
2014-15여오현(현대캐피탈),
유광우(삼성화재)
3억 5000만 원[15]
2015-16한선수(대한항공)5억 원
2016-173억 원 [16]
2017-18양효진(현대건설),
김희진(기업은행)
2018-196억 5000만 원[17]양효진(현대건설),
김희진(기업은행),
한수지(GS칼텍스)
2019-20양효진(현대건설),
박정아(도로공사)
3억 5000만 원 [18]
2020-21황택의(KB손해보험)7억 3000만 원 [19]양효진(현대건설)7억 원[20]
2021-22한선수(대한항공)7억 5000만 원 [21]


4. 관련 기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04:41:16에 나무위키 V-리그/역대 샐러리 캡과 연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옵션캡 5억 원 명시적으로 샐캡에 포함.[2] 옵션캡이 적용되도록 이전에 의결했으나 연기되었다.[3] 기본연봉 41.5억 옵션 16.6억, 옵션캡 적용 강제 시점[4] "이경수는 21일 소속 구단과 종전 연봉 1억 원에서 15% 오른 1억 1500만 원에 재계약 협상을 매듭지었다." (배구 이경수, 연봉왕 예약)[5] "현대캐피탈은 이경수가 지난 시즌 후 1억 1500만 원에 계약하자 후인정에게 300만 원을 더 얹어줘 연봉킹을 만들어줬다."후인정-이경수 연봉킹 경쟁..한유미 연봉퀸 예약[6] "흥국생명은 14일 "한송이와 옵션 없이 3년간 연봉 1억 5000만 원에 계약했다"고 밝혔다." (남녀배구 통틀어 '연봉 퀸' 된 한송이, 흥국생명과 계약)[7] 최태웅이 지난해(1억 5000만 원)보다 1800만 원 오른 1억 6800만 원에 재계약해 지난해에 이어 연속 최고 연봉을 받는다고 발표했다. (최태웅 2년연속 프로배구 ‘연봉킹’)[8] FA자격을 얻으며 원 소속팀 GS칼텍스와 재계약한 김민지는 지난시즌보다 2000만 원이 올랐고, 2007년 FA계약 이후 2008~2009시즌 팀을 정규리그 2위로 올린 김사니는 1000만 원 상승했다. 지난시즌 1억 5000만 원으로 연봉퀸이었던 흥국생명 한송이는 많은 결장탓에 1억 2000만 원에 재계약했고, 언니 한유미(현대건설)는 지난 시즌과 같은 1억 2000만 원에 도장을 찍었다. (김민지, 김사니 1억 3000 연봉 퀸!)[9] 지난 5월 FA를 통해 현대와 여자부 최고액(1억8500만 원)에 3년간 계약한 그는 “‘연봉퀸’이라고 주위에서 지켜보는 눈이 많아 부담이 되긴 하지만 현대를 통합우승으로 이끌겠다”는 자신감을 보였다. (女배구 연봉퀸 황연주 “FA 1년차 징크스 깬다”)[10] 2011~2012시즌 남자프로배구 선수등록 결과 박철우는 2억 5000만 원에 계약을 체결했지만 연봉 순위 전체 1위에 이름을 올렸다. (박철우, 연봉 5천 삭감에도 2년 연속 '연봉킹')[11] 2011-2012 시즌 여자부 선수 등록 현황에 따르면 김사니는 1억 9000만 원을 받아 연봉이 동결된 황연주(현대건설·1억 8500만 원)를 따돌리고 '연봉 퀸'에 등극했다. (김사니, 1억9000만 원 '연봉 퀸')[12] 2012-2013 시즌 남자부 선수등록을 마감한 결과 김요한이 연봉 3억500만 원을 받아 '연봉킹'에 올랐다고 3일 발표했다. (프로배구 김요한·김사니 남녀 최고 연봉)[13] 남자부에서는 한선수가 올 FA선수로 원 소속팀과 프로배구 역대 최고 연봉인 5억 원에 사인하며, 역시 FA로 삼성화재와 재계약한 박철우(3억 3000만 원)를 제치고 연봉 킹을 차지했다. (한선수·양효진, 남녀 V리그 연봉킹·퀸 등극)[14] "2013년 이후 여자부 연봉 1위(2억 5000만 원)에 올라 있다." (프로배구 ‘연봉퀸’ 양효진 “매년 조금씩 성장하겠다”)[15] 유광우는 FA로서, 여오현은 지난해 연봉을 유지하면서 각각 3억 5000만 원에 계약했다. (프로배구 올해 연봉 킹과 연봉 퀸은 누구)[16] 2016-17 시즌 최고 연봉 순위, 2017-18 시즌 최고 연봉 순위, 2018-19 시즌 연봉 최고 순위[17] 남자 프로배구에선 대한항공의 정규리그 우승에 중요한 역할을 한 세터 한선수가 지난 시즌과 동일한 6억 5000만 원을 받아 최고 연봉 선수가 됐다. (한선수, 5년 연속 배구 '연봉킹'…양효진은 7년 연속 '연봉퀸')[18] 2019-20 시즌 연봉 Top 10[19] 옵션 미공개.[20] 연봉 4억 5000만 원 옵션 2억 5000만 원. 갑자기 연봉이 대폭 상승할 리는 없고 이전에도 옵션이 있었으나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21] 옵션 미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