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 the Bridge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2014년 영국방송공사가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로 꼽은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의 목록이다.
1위Whole Lotta Love
2위Sweet Child O' Mine
3위Back in Black
4위Smoke on the Water
5위Layla
6위How Soon Is Now?
7위Down Down
8위Money for Nothing
9위You Really Got Me
10위Money
11위Ziggy Stardust
12위Purple Haze
13위Motorcycle Emptiness
14위20th Century Boy
15위Do I Wanna Know?
16위Enter Sandman
17위Johnny B. Goode
18위The Spirit Of Radio
19위Livin' on a Prayer
20위Smells Like Teen Spirit
21위All Right Now
22위Oh Well
23위Sweet Home Alabama
24위Sunshine of Your Love
25위Seven Nation Army
26위Paranoid
27위(I Can't Get No) Satisfaction
28위The Riverboat Song
29위Day Tripper
30위Alive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1990년대 최고의 노래
[ 펼치기 · 접기 ]

※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2007년에 VH1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로 선정한 목록이다. VH1의 "The Greatest" 시리즈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총 3개의 목록이 선정되어있다.
1위2위3위4위5위
파일:틴스피릿커버.jpg
파일:R-801675-1160221816.jpg
파일:264x264.jpg
파일:whitney_iwaly_front.jpg
파일:R-5575089-1398071143-9402.jpg
너바나U2백스트리트 보이즈휘트니 휴스턴마돈나
Smells Like Teen SpiritOneI Want It That WayI Will Always Love YouVogue
6위7위8위9위10위
파일:R-234684-1296904133.jpg
파일:...Baby One More Time_Single Cover.jpg
파일:waterfalls.jpg
파일:losing my religion.jpg
파일:nothingcompares2u.jpg
Sir Mix-a-Lot브리트니 스피어스TLCR.E.M시네이드 오코너
Baby Got Back...Baby One More TimeWaterfallsLosing My ReligionNothing Compares 2 U
11위12위13위14위15위
파일:71lwTDrZE4L._UF1000,1000_QL80_.jpg
파일:You_Oughta_Know_single.jpg
파일:Nuthin' But A ‘G’ Thang.jpg
파일:vol.jpg
파일:red-hot-chili-peppers-under-the-bridge-1993.jpg
펄 잼앨라니스 모리셋닥터 드레 & 스눕 독머라이어 캐리레드 핫 칠리 페퍼스
JeremyYou Oughta KnowNuthin' but a ‘G’ ThangVision of LoveUnder the Bridge
16위17위18위19위20위
파일:U_Can't_Touch_This.jpg
파일:Say_My_Name.jpg
파일:Enter Sandman_single.jpg
파일:R-1672252-1671511144-2861.jpg
파일:Hanson-Mmmbop-94954.jpg
MC 해머데스티니스 차일드메탈리카비스티 보이즈핸슨
U Can't Touch ThisSay My NameEnter SandmanSabotageMMMBop
21위부터는 출처1 / 출처2 / 출처3 참조.
같이 보기: 80년대, 00년대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354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328위
2021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 328위
"연도3=display:none@"
@연도3@년 @순위3@위
||}}}

파일:red-hot-chili-peppers-under-the-bridge-1993.jpg
수록 앨범Blood Sugar Sex Magik
앨범 발매일1991년 9월 24일
싱글 발매일1992년 3월 10일
작사/작곡레드 핫 칠리 페퍼스
프로듀서릭 루빈
러닝 타임4:24
레이블워너 브라더스

뮤직비디오어쿠스틱 버전

1. 개요
2. 상세
3. 가사


1. 개요[편집]


1991년 발매된 미국의 락밴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5번째 정규 앨범 Blood Sugar Sex Magik의 11번 트랙이다.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대표곡 중 하나로, 얼터너티브 록 역사상 가장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크게 성공한 곡으로 30년이나 된 지금에 와서도 널리 사랑받는 얼터너티브 록 트랙의 대명사격 곡들 중 하나이다.


2. 상세[편집]


빌보드 핫 100 최고 순위 2위에다 1992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8위에까지 오르며, 얼터너티브 락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 중 하나로 꼽힌다.[1] 서정적으로 시작해 폭발하는 후반부가 특징이다. Stairway to Heaven과 곡 구성이 유사한데, 두 곡 모두 각 장르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노래라는 공통점이 있다.

앤서니 키디스의 자서전에 따르면, 앨범 작업 중에 문득 악기 연주를 하는 다른 멤버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점 등에서 외로움을 느끼고는 마약을 복용하고 노트에 이 가사를 적었다고 한다. 그 이후 앨범의 프로듀서인 릭 루빈이 이걸 보고는 곡으로 쓸 것을 추천해서 앤서니를 설득한 끝에 이 곡이 탄생했다고.

앤서니가 외로움을 느끼며 써내려간 가사라는 것을 보여주듯, LA를 본인의 유일한 친구라고 말하기도 하며[2] 당시 본인이 느꼈던 감정을 여과없이 보여준다. 가사에 아무 의미를 담지 않고 가사를 막 쓴다며 앤서니의 작사를 까는 사람들도 이 노래의 가사 만큼은 인정할 만큼 훌륭한 가사를 가진 노래이다.

여담으로 코러스로 나오는 높은 목소리는 의 목소리이기도 하지만 존의 어머니인 게일 프루시안테의 목소리도 들어가 있다고 한다.

워낙에 유명한 노래라 많이 회자되었으며, 다 브랫의 데뷔 앨범의 수록곡 Fire It Up에 샘플링되었다.

앤서니의 자서전에 따르면 이 노래는 라이브로 부르기 정말 어려우며, 기타를 맡은 존이 잘 해줘야 한다고 한다.

3. 가사[편집]


Under the Bridge
Sometimes I feel like I don't have a partner
Sometimes I feel like my only friend
Is the city I live in, the city of angels
Lonely as I am, together we cry
I drive on her streets 'cause she's my companion
I walk through her hills 'cause she knows who I am
She sees my good deeds and she kisses me windy
Well, I never worry, now that is a lie
I don't ever wanna feel
Like I did that day
Take me to the place I love
Take me all the way
I don't ever wanna feel
Like I did that day
Take me to the place I love
Take me all the way
Yeah, yeah, yeah
It's hard to believe that there's nobody out there
It's hard to believe that I'm all alone
At least I have her love, the city, she loves me
Lonely as I am, together we cry
I don't ever wanna feel
Like I did that day
Take me to the place I love
Take me all the way
I don't ever wanna feel
Like I did that day
Take me to the place I love
Take me all the way
Yeah, yeah, yeah
Oh, no, no-no, yeah, yeah
Love me, I say, yeah yeah
One time
Is where I drew some blood
(Under the bridge downtown)
I could not get enough
(Under the bridge downtown)
Forgot about my love
(Under the bridge downtown)
I gave my life away
Yeah, yeah
Oh, no, no-no-no, yeah, yeah
Oh, no, I said, oh, yeah, yeah
Where I stay
파일:Red-Hot-Chili-Peppers-Logo.png
[1] 의외로 1990년대 초반에 인기를 얻은 시애틀 그런지 밴드들이나 그 외의 얼터너티브 락 계열의 밴드들은 빌보드 Hot 100 차트에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2]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자주 등장하는 '캘리포니아'나 '시티 오브 에인절'의 초석이나 다름없는데, 이 때문인지 캘리포니아나 로스앤젤레스가 RHCP를 대표하는 으로도 쓰인다(...) 본격 LA를 사랑하는 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Blood Sugar Sex Magik 문서의 r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Blood Sugar Sex Magik 문서의 r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9:09:24에 나무위키 Under the Bridg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