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WA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파일:Stardom_2021_logo.svg.png 월드 원더 링 스타덤의 챔피언십 타이틀
월드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원더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하이 스피드 챔피언십
퓨처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가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아티스트 오브 스타덤 챔피언십
뉴 블러드 태그팀 챔피언십SWA 월드 챔피언십IWGP 위민스 챔피언십[★]


파일:swaworldchampion.jpg
현재 챔피언공석
챔피언 등극
이전 챔피언이와타니 마유
소속 단체월드 원더 링 스타덤
World Wonder Ring Stardom
벨트 창설일2016년 5월 21일

1. 소개
2. SWA 월드 챔피언십 규정
3. 기록
4. 역대 챔피언 목록



1. 소개[편집]


SWA는 Stardom World Associaion의 줄임말이다.
이 연합에 참여한 단체는 일본의 스타덤, 영국의 BEW(British Empire Wrestling), 프랑스의 ABC(Association Biterroise de Catch), 멕시코의 WWS(Women Wrestling Stars), 스페인의 RCW(Revolution Championship Wrestling)이다.
2016년 5월 21일 스타덤이 유럽 투어 4일차에 개최한 스페인 단체 RCW와의 합동흥행에서 초대 챔피언 결정 토너먼트를 시행했다.


2. SWA 월드 챔피언십 규정[편집]


같은 국적의 선수간 타이틀전은 인정되지 않는다.
2020년 11월 15일 제7대 챔피언으로 등극한 슈리는, 일본과 필리핀의 혼혈인이기에 "2개의 국적을 짊어지고 싸우고 싶다"고 하며 일본국적의 선수와 방어전을 희망했고, 줄리아[1] 와의 1차 방어전이 성사되었다.


3. 기록[편집]


초대 챔피언시라이 이오
최다 획득 회수역대 모든 타이틀 홀더1회
최다 방어 회수토니 스톰15회
통산 방어 회수토니 스톰15회
최장 보유 기간토니 스톰612일
통산 보유 기간토니 스톰612일
최단 보유 기간비 프리스틀리43일

4. 역대 챔피언 목록[편집]


  • 현재 챔피언이나 최다 횟수, 최장 보유 기간 등 중요한 부분에만 강조 표시.
#이름챔피언 횟수등극한 날 (챔피언 방어 기간)방어전 승리 횟수비고
1시라이 이오1회2016년 5월 21일 (64일)2회[2]
2토니 스톰1회2016년 7월 24일 (612일)15회
3바이퍼1회2018년 3월 28일 (292일)2회
4하야시시타 우타미1회2019년 1월 14일 (377일)3회
5제이미 헤이터1회2020년 1월 26일 (235일)0회
-공석2020년 9월 17일[3]
6비 프리스틀리1회2020년 10월 3일 (43일)0회[4]
7슈리1회2020년 11월 15일 (419일)9회
-공석2022년 1월 8일[5]
8테크라1회2022년 1월 29일 (96일)2회[6]
9이와타니 마유1회2022년 5월 5일 (182일)1회[7]
-공석2022년 11월 3일[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16:27:59에 나무위키 SWA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줄리아도 아버지가 이탈리아인이고 어머니가 일본인인 혼혈인이다.[2] 9인으로 치러진 초대 SWA 월드 챔피언쉽 결정 토너먼트 결승에서 토니 스톰을 꺾고 챔피언 등극하며 스타덤 사상 최초의 그랜드슬램을 달성.[3] 코로나 19로 인한 입국제한으로 방어전을 치룰수 없게되어서 벨트를 반납하게 되었다.[4] 와타나베 모모와의 제 6대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5] 슈리가 싱글 타이틀은 빨간 벨트에만 집중하고 싶다며 타이틀을 반납.[6] 시라카와 미나와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7] 스타덤 사상 두번째 그랜드 슬램 달성.[8] 이와타니 마유가 히스토릭 크로스오버에서 열릴 IWGP 위민스 챔피언십 토너먼트에만 집중하고 싶다며 타이틀을 반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