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ILIA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레밀리아 문서
레밀리아번 문단을
레밀리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EMILIA
레밀리아 | 레밀레기
활동명트위치: 레밀레기
유튜브: REMILIA
본명박현욱
출생1993년 2월 23일[1] (31세)
가족부모님[2][3], 형[4]
거주지경상북도 구미시[5]
학력구미중학교 (졸업)
구미고등학교 (졸업)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컴퓨터학부[6]
병역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2013년 6월 11일 ~ 2015년 3월 10일)
MBTIINTP[7]
유튜브
개설일
2008년 12월 12일
첫 방송일2019년 12월 20일[8]
방송 시간오후 6시 시작
(휴방일: 월, 목)
유튜브
구독자
6.73만명[A] 실시간
유튜브
조회수
28,269,085회[A]
트위치
팔로워
22,539명[A] 실시간
트위치
시청수
1,202,885회[A] 실시간
방송국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풀버전]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9]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파일:트게더 아이콘.svg

1. 개요
2. 수상 경력
3. 주요 성과들
3.1. 사운드 볼텍스
3.2. 노스텔지어 시리즈
3.2.1.1. 8강
3.2.1.2. 준결승전
3.2.1.3. 결승전
3.2.2.1. 준결승전
3.2.2.2. 결승전
3.2.3.1. 준결승 B조
4. 방송 콘텐츠
5. 용어
5.1. Showtime과 사돌단
5.2. 과거에 사용된 밈/용어
6. 연관 스트리머
6.1. 합방
7. 여담



1. 개요[편집]


스트리머이자 리듬게임 유저. 과거 KAC에서 사운드 볼텍스, 노스텔지어 초대 우승자가 되었고 2019 LG울트라기어 OSL 퓨처스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 부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현재는 DJMAX RESPECT V의 파트너쉽 인플루언서 유튜버로 활동 중.

활동명은 레밀리아 스칼렛에서 따왔으며, 디스코드 프로필과 트위치 팔로우를 하면 나오는 캐릭터도 레밀리아 스칼렛.

2020년 11월 12일, 구독자 2만명을 달성했다. 대기업 스트리머들의 지원, 디맥의 스팀 할인으로 인한 유입으로 꾸준히 구독자가 증가 중.


2. 수상 경력[편집]


||
[ 펼치기 · 접기 ]

순서부문우승자우승 횟수
KAC 2012-REMILIA
1회
KAC 2013XD2.BOT★★
2회
The 4th KAC
The 5th KAC1008.BOT
1회
The 6th KACGGD
1회
The 7th KACK.FLAT
1회
The 8th KACLV.MINI★★
2회
The 9th KACMINI
> 기종별 우승자



||
[ 펼치기 · 접기 ]

순서부문우승자우승 횟수
The 7th KAC-REMILIA★★
2회
The 8th KAC베이직 부문
리사이틀 부문yukitani
1회
The 9th KAC베이직 부문hr
1회
리사이틀 부문yukitani★★
2회
> 기종별 우승자




우승 기록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KAC 2012
SOUND VOLTEX BOOTH 우승
(초대)REMILIAXD2.BOT
The 7th KAC
노스텔지어 FORTE 우승

The 8th KAC
노스텔지어 Op.2 베이직 부문 우승
(초대)REMILIAhr
DJMAX RESPECT V
LG 울트라기어 OSL FUTURES Phase2 DJMAX RESPECT V 우승
(초대)REMILIA-
DJMAX MIRACLE FESTA 우승
efdaREMILIA-
DJMAX : Luxpect League 2023 우승
(초대)REMILIA-
준우승 기록
BEMANI MASTER KOREA
BEMANI MASTER KOREA 2017 준우승
BEMANI MASTER KOREA 2019 준우승
삼형제
(TIMER, NARI, YAKI)
REMILIAGGD
DJMAX RESPECT V
DJMAX GLORY FESTA 준우승
(초대)REMILIA에스토


3. 주요 성과들[편집]



3.1. 사운드 볼텍스[편집]


KAC 2012 SOUND VOLTEX BOOTH 종목에서 우승했다. REMILIA로 출전한 KAC 2012년도에 유일하게 우승한 한국인으로, 결승전 당시의 결승곡 Max Burning!!에 관련하여 작은 전설을 만들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레밀리아 스칼렛이 KAC 티셔츠를 입고 우승 트로피를 든 어필카드가 나오기도 했다. #[10]


3.2. 노스텔지어 시리즈[편집]


7th부터 부문별 우승자의 홈 점포 지정 제도가 생겼는데, 두 번의 우승 모두 대구광역시 중구 로얄게임장을 지정하여 인증패가 걸려 있다.


3.2.1. The 7th KAC[편집]



3.2.1.1. 8강[편집]

8강 A블록KOUREMILIATAMATUEspresso[11]
夢ハ夢ノママデ974,314988,268984,578989,167
Pee-wee Boogie990,602991,029986,245985,689
FLOWER ~live pf addition~980,259984,693968,131970,604
小犬のワルツ969,642993,382-986,974
합계3,914,8173,957,3722,938,9543,932,434
순위3142

Pee-wee BoogieFLOWER ~live pf addition~로 다른 3명과 압도적으로 격차를 벌리며 무난하게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3.2.1.2. 준결승전[편집]

준결승EspressoYUKITANIREMILIAGGD
隅田川夏恋歌988,528987,622997,132993,433
The Least 100sec995,379978,191996,006997,729
Miroir Riorim985,089984,061995,201984,490
英雄ポロネーズ994,307991,011992,410996,604
합계3,963,3033,940,8853,980,7493,972,356
순위3412

역시 준결승전에서도 Espresso가 선곡한 隅田川夏恋歌와 본인이 선곡한 Miroir Riorim에서 격차를 벌리며 GGD와 함께 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


3.2.1.3. 결승전[편집]

결승GGDREMILIA
zeeros980,313973,739
ピアノ協奏曲第1番 "蠍火"967,521976,678
Carezza975,672986,114
합계2,923,5062,936,531
순위21

마지막 결승곡에서 3미스를 달성해 압승. 이로서 초대 노스텔지어 우승자가 되었다.


3.2.2. The 8th KAC[편집]



3.2.2.1. 준결승전[편집]

곡명난이도MONREMILIA*TAMATU
neko fun jitterReal ◇2989,579996,245996,051
ivy of rutilesExpert 12997,050998,689995,770
합계1,986,6291,994,9341,991,821
결과탈락결승 진출탈락


3.2.2.2. 결승전[편집]

곡명난이도EXP?REMILIA*
魔王Real ◇3978,475994,151
パガニーニによる大練習曲第6番「主題と変奏」Real ◇3955,936958,236
virkatoの主題によるperson09風超絶技巧変奏曲Real ◇3957,415966,230
합계2,891,8062,918,617
결과준우승우승


3.2.3. The 9th KAC[편집]



3.2.3.1. 준결승 B조[편집]

곡명난이도hrREMILIA*LEMON
LEMON 선곡
ワルツ第14番
Expert 12999,803991,164998,691
REMILIA* 선곡
Last Twilight
Expert 12994,193995,021985,724
hr 선곡
革命
Real ◇3981,950981,529930,478
합계2,975,8962,967,7142,914,893
결과결승 진출탈락탈락

LEMON이 저격용으로 고른 왈츠 제14번에서 꼴찌를 해서 아쉽게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3.3. DJMAX RESPECT V[편집]


모든 버튼에서 상당한 기량을 보여준다. 특히 8버튼 판정 및 처리력이 뛰어난 편.

2019년 12월 27일 2019 LG울트라기어 OSL 퓨처스의 페이즈 2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 부문에서 우승했다.

6버튼 보스곡 위치에 있는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SC를 6번 만에 퍼펙트 플레이했다.

또한 블랙스퀘어 DLC로 추가된 해당 DLC 보스곡 Heart of Witch 8B SC를 7분 만에 퍼펙트 클리어를 달성했다. 이후 DJMAX 방송을 할 때마다 특별한 경우[12]를 제외하면 항상 이 곡부터 시작하여 이걸 퍼펙트를 쳐야 다른 곡을 시작하며 레밀리아의 시그니처 곡으로 등극했다. 네오위즈 공식 유튜브 채널에도 출연해 퍼펙트 플레이를 선보였다.

2020년 8월 22일에는 6버튼 Knowledge System 6B MX을 하드 판정으로 퍼펙트를 달성했다.

2021년 12월 2일 시즌 4에서 통상 패턴으로 내려온 Road of Death 8B SC [13]를 1시간 만에 세계 최초 퍼펙트를 달성하였다.

2022년 1월 25일에는 V EXTENSION 2 DLC로 추가된 Odysseus 8B SC를 대략 1시간 정도만에 최초 퍼펙트를 달성하였다.

상술한 곡을 포함해서 진행한 "퍼펙트 스피드런"에서 4시간 31분만에 DLC에 수록된 모든 SC패턴을 퍼펙트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2023년 6월 1일 V EXTENSION 4 DLC로 추가된 DIE IN의 4B, 5B, 6B SC를 전부 퍼펙트 달성했다. 심지어 6B SC의 경우 초견에 퍼펙트를 성공할 뻔했고 퍼펙트 직후 갈라쇼로 5B SC를 딱 한 번 더 플레이했는데 6B SC보다 더 어렵다고 여겨지는 5B SC의 갈라쇼 플레이가 또 퍼펙트가 되는 기적을 보여주었다.[14] 8B 역시 당일 퍼펙트를 포기하였으나 초반 인체공학 연타패턴을 초견에 콤보를 잇기도 했다.

DJMAX LUXPECT LEAGUE 2023 결승에서 efda를 꺾고 최종 우승했다. 5판 3선승, 2:0 상황에서 본인의 약점인 6버튼이 많이 나와 3라운드에서 패배하였으나 이후 라운드에서 승리하면서 우승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3.4. EZ2ON REBOOT : R[편집]


현재 4키 레이팅 이론치이며, 이외에도 4키에서 매우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LIMBO HD를 제외한 18레벨 전곡 ALL KOOL을 달성하였다.


4. 방송 콘텐츠[편집]



4.1. 발광 BMS[편집]


주로 1부 콘텐츠로 진행하며, DJMAX RESPECT V 방송을 시작하기 전에 손풀기 목적으로 한다. 또다른 발광 BMS 유저인 LUXURY가 관리하는 새틀라이트, 스텔라 채널 채보들을 주로 건드리고 있다.


4.2. DJMAX RESPECT V[편집]


주로 2부로 DJMAX RESPECT V 방송을 진행하고 있으며, 얼리 액세스 시절에는 래더 매치 베타가 열렸을 때 방송 주가가 최고치를 찍었고, 래더 시스템 개편 이전 전 키 마스터 이상을 달성한 몇 안 되는 플레이어이다.[15] 이 과정에서 상대방과 합의해서 1차 리매치 이후 맥스 판정으로 2차 리매치를 진행하는가 하면 4버튼 마스터 승격전에서 3연속으로 Espresso를 만나는 해프닝도 있었고[16][17] 래더 매치 베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개발자 겸 초고수 D.Flash와의 6꽉 대결[18] 등 레전설이란 레전설은 다 뽑아냈다. 오죽했으면 개발자 D.Flash와의 대결 영상에는 네오위즈 공식 유튜브 계정"누가 이 분좀 이겨주세요"라고 달았을 정도...

정식 출시 이후에도 DJMAX RESPECT V를 이용해서 뽑아낼 수 있는 콘텐츠들을 숱하게 뽑아내고 있다. 주요 콘텐츠는 다음과 같다.

티어키 오픈결승 선곡 티어
실버4B골드 1
골드4B플래티넘 1
플래티넘4+6B다이아 1
다이아4+5+6B[22]마스터
마스터+ALL그랜드마스터

현재는 자주 진행하지 않는 콘텐츠는 다음과 같다.


래더 매치는 정식 출시 후 초창기 때 주로 진행했으며, 전 버튼 마스터 달성 이후에는 레이턴시 문제 및 큐가 잘 잡히지 않는 문제 등으로 아주 가끔씩 진행한다. 이는 정규시즌에 돌입한 2021년도 1월 중순경에 와서도 비슷한데, 이 때 레밀리아 曰 "빡겜 말고 즐겜을 할게요"는 덤. 당연하지만 시청자들에게는 레엄령이라고 불리고, 아랫티어에서 어이없이 치여버린 사람들에게는 교통사고나 다름없으며, 해당 사람들의 라이브 반응은 교통사고 블랙박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방송 설문조사에서는 "레밀리아에게 래더 매치를 지고 나서부터 보기 시작했다"는 사람들이 다수 있는 모양.

가끔씩 리스펙트 V 고인물 초대석 합방 콘텐츠를 진행하기도 했다. 1회는 OSL 대회 8강 진출자이자 5버튼 최강자 중 한 명인 MACAOF, 2회는 상술한 3연커피의 주인공 Espresso, 3회는 그의 친구 중 한 명이자 1회 출연자 MACAOF와 같은 팀 MACAO 소속이였던 이원제.

이렇게 뽑아내는 콘텐츠도 상당히 재미있고, 본인의 입담도 한몫 거들어서 왠만하면 늦은 밤에서 새벽까지 이어지는 방송임에도 불구하고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를 주제로 방송하는 스트리머 중에서는 유일하게 시청자 200~300명 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신규 DLC 발매 당일의 경우, 800~12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24]


4.3. Marbles on Stream[편집]


매주 일요일마다 3부 콘텐츠로 진행하고 있는 구슬 굴리기 게임. 시참 콘텐츠이며 시청자들은 채팅으로 !play를 입력하면 참가할 수 있다. [25] REMILIA는 시청자들이 후원해준 기프티콘, 혹은 본인이 구매한 기프티콘을 상품으로 걸어 1등에게 트게더를 통해 지급해주고 있다.

게임 자체의 BGM이 없어서 그냥 하면 재미가 없기 때문에 NCS 악곡들을 사용하며, 첫 곡으로 항상 트는 Heroes Tonight은 시청자들에게 '레국가'라는 밈으로 불린다. [27]

기프티콘 증정이 끝난 후에는 일요일에 진행할 3부 게임을 시청자 추첨 혹은 유료 도네[28]를 통해 받아 구슬 이름으로 적은 다음 각 구슬들로 배틀로얄을 해서 당첨된 구슬에 해당하는 게임을 하고 있다. 청자들과 레밀리아 본인은 이를 '낼겜무'[29] 내지는 '낼똥무'[30]로 지칭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토요일 3부로 진행하였으나, 상품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낼겜무만 진행하던 시기가 있었다. 2023년 4월부터 낼겜무를 토요일로 분리하고 일요일에 구슬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부활하였다.


4.4. EZ2ON REBOOT : R[편집]


2021년 3월 17일 얼리 엑세스가 시작된 이후로 가끔씩 즐겨하는 게임이며, 1주년 기념으로 선정된 파트너 스트리머이기도 하다.7th TraX, CODENAME: VIOLETSabin Sound Star까지를 오락실에서 즐겨했던 경험이 있어 [31] 과거에 서비스되었던 RETRO EZ2ON이나 REBOOT도 꽤 플레이했다고 한다. 그래서 오픈 당일에도 10시간을 꼬박 기다렸으며, 엄청난 발적화로 인해 3판에 1번 꼴로 튕기면서 플레이했으나, 오락실 대기열 서는 감성이라 즐겁다며 긍정적인 마인드를 보여주었다.

이지투온의 KOOL 판정은 스탠다드 기준 22ms로 DJMAX RESPECT V의 하드 판정보다 살짝 쉬운 정도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온지 얼마 안되어 10렙 초중반 대의 중저레벨 곡들을 ALL KOOL 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이외에도 얼리-레이트 표시를 ms 단위로 지정할 수 있게 되자, 해당 기능으로 서든데스의 난이도 별 판정을 알아내기도 했다.

이후에는 DLC 출시 및 신곡 업데이트, 그리고 패턴의 개편 같은 대규모 패치 소식이 있을 때에 주로 플레이한다. 이때 CosmographFOX-B 등, 수록곡의 작곡가나 개발진이 방송에 시청자로 참여하면서 직접 도네이션으로 미션을 걸거나 은연중에 살짝 츄라이츄라이 하듯 이지투온의 각종 모드, 곡에 대한 홍보를 하기도 한다.

2022년 3월 17일에 이지투온 1주년 공식 방송을 당시 레밀리아 유튜브 편집자였던 아르파, 그리고 시청자들과 같이 관람했었는데, 얼리 액세스 보상으로 CODENAME: VIOLET DLC가 무료로 제공된다는 소식과 함께 공개된 수록곡 리스트를 보고 기립박수를 쳤으며, 이후 소개된 신규 DLC인 Prestige Pass에 수록된 곡들을 작곡한 작곡가 라인업들을 보고 '이 작곡가들 곡들이 이지투온으로 배송 오류난거 아니냐', '폭스비가 이거 작곡가들 납치해서 곡 쓰게 한 거냐?' 라며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 후 정식으로 EZ2ON REBOOT : R의 파트너 스트리머가 되어 DJMAX RESPECT V 못지않게 EZ2ON REBOOT : R의 플레이 비중이 많이 높아졌다.


4.5. 세상에 이런 리겜이[편집]



파일:세상에 이런 리겜이.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오직 리듬게임만을 리뷰하는 리뷰 컨텐츠입니다.
수록곡, 패턴, 그래픽, 편의성, 컨텐츠
각각 개별 점수를 매기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EP.영상게임수록곡패턴그래픽편의성컨텐츠총점
0파일:유튜브 아이콘.svgTrombone Champ3.5/53.0/53.5/52.5/52.0/560/100
1파일:유튜브 아이콘.svgVELUCITY4.0/52.0/53.5/52.3/52.0/535/100
2파일:유튜브 아이콘.svgRhythm Stones3.3/53.5/53.5/53.3/52.3/566/100
3파일:유튜브 아이콘.svgNOISZ STΔRLIVHT3.0/53.8/52.8/52.0/53.3/572/100
4파일:유튜브 아이콘.svgTwin Edge2.3/52.5/52.8/53.0/52.8/547/100
5파일:유튜브 아이콘.svgDisaster Band1.5/53.0/52.0/52.0/51.5/533/100
6파일:유튜브 아이콘.svgMelatonin2.5/52.0/53.3/53.0/52.3/555/100
7파일:유튜브 아이콘.svgTyping Tempo3.8/53.8/53.5/53.1/52.3/561/100
8파일:유튜브 아이콘.svg오토슈3.3/53.8/52.7/53.1/52.1/553/100
9파일:유튜브 아이콘.svgMuseSwipr0.0/50.0/53.0/51.5/50.0/511/100
특별[32]파일:유튜브 아이콘.svgDJMAX RESPECT V4.5/54.5/54.5/54.5/54.5/5150/100



4.6. 기타 플레이한 게임[편집]



4.6.1. 리듬 게임[편집]




4.6.2. 종합 게임[편집]


단순히 리듬게임만 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다양한 게임들에도 손을 대고 있다. 보통 플레이 타임이 짧은 게임은 1부, 플레이 타임이 긴 게임은 3부 콘텐츠로 진행한다.

플레이한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


5. 용어[편집]


오뱅알(OBR)[46]이나 ㄱㄴ?[47] 같은 트위치 공용 밈을 제외한, 레밀레기 채널 전용으로 사용하는 용어들을 기술한다.

된다니까의 초성으로 어려운 미션을 성공했을 때나 곡을 퍼펙트를 했을 때 사용한다. 시그니처 사운드로도 사용되고 있으며,이 클립에서 처음 유래됐다. 후술할 세상에 이런 일이 출연 당시에도 방송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사용하기도 했다.
바리에이션으로 맞다니까(ㅁㄷㄴㄲ)[48]와 안된다니까(ㅇㄷㄷㄴㄲ)가 있다.

레밀리아+리믹스.[49] 플레이하면서 빅장을 치거나 노트가 나오지 않을 때 키를 누르거나, 본래 타이밍이 아닌 다른 타이밍에 키를 눌러서 키음을 나오게 하는 것을 말한다. 바리에이션으로 The One을 플레이하면서 레믹스를 할 때는 폴바주카 혀놀림 리믹스로 불린다. 이유는 The One 문서 참조.

발광 BMS 플레이 중 플레이를 취소하거나 게임 오버를 당할 때 나오는 화면이 흰 바탕에 '히 히 못 깨 (^^)'라는 글귀만 적힌 것인데 이게 시청자들에게 임팩트가 컸는지 레밀리아가 방송 중 게임 오버가 뜨거나 미션을 실패할 때마다 시청자들이 히히못깨를 치곤 한다. 바리에이션으로 '히못히깨'도 있다.


BMS에서 プナイプナイたいそう등의 푸나이푸나이 시리즈에서 나오는 원형 슬라임 비슷한 캐릭터로 BMS 방송을 하면서 푸나이푸나이 시리즈의 곡이 나오면 채팅창에 푸나이 이모티콘이 많이 올라온다.[50]



레밀리아+박찬호. 후술에서 나오는 쫀득고인물 초대석에서 나왔던 별명으로 플레이 중에도 계속 말을 하고 있고 방종을 하려는데도 말이 끊이질 않아 결국 쫀득이 절규했던 상황에서 나왔다.# 평소 방송에서도 오디오가 거의 비질 않아 지루하지 않게 볼 수 있다는 점이 레밀리아 방송의 장점이다.[51] 공시생J군의 인물사전에 따르면 이는 방송에서 시청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이렇게 말이 많은 것이라고 하며 평소에는 의외로 과묵하다고 한다.



디맥을 시작하면서 손풀기 겸으로 특정 곡을 퍼펙트 플레이하는 것을 말하고, 중간에 90%나 브레이크가 나면 중간에 무언가를 집에 두고 와서 다시 가지러 간다는 식으로 상황극을 이어가며 퍼펙트 플레이를 달성하면 출근 도장을 찍었다고 말한다. 가끔씩 미션으로써 다른 곡으로 출근 도장을 찍을 때도 있었다.
그 특정곡은 이전에는 Heart of Witch 8B SC였으나, 츄니즘 DLC 출시 이후에는 Trrricksters!! 4B SC 맥스랜덤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시즌 8에 v o l d e n u i t 8B SC패턴이 추가되자 이걸로 다시 변경되었다.


사이터스 콜라보곡 L을 의미한다. 한 시청자가 랜덤으로 곡을 골랐을 때 곡 제목에 한글이 나오면 성공 미션을 걸었는데, 이 곡이 등장하자 제목이 ㄴ이라고 외친 것에서 유래했다.[53]
이 방송 이전에도 몇몇 유저들이 L은 ㄴ, L7은 ㅁ이라 부르긴 했으나, 이 방송을 계기로 해당 경향이 더 강해졌다.

레밀리아의 휴방일인 월요일, 목요일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밴은 강제 퇴장이 아닌 임시 차단(타임아웃)으로[54], 시청자들 사이에서 밴 = 포상으로 여겨지다보니 장난성 타임아웃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룰렛에 랜덤 3명 333초 밴이 들어있는 것으로 시작해서, Marbles on Stream의 배틀로얄 맵에서 자기 구슬을 제거한 사람을 10분 밴한다던가, 과거 있었던 구독뽑기에서 가장 잘 당첨되던 4등 상품이 444초 밴인 등, 아예 밴 아이콘이 구독티콘에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많이 사용한다.

방송 중 재미를 위해 영어를 특이하게 읽을 때가 많은데[55], 그 때마다 가끔씩 "토익 100점보다 영어 잘해요"라고 언급한다. 물론 실제로 토익 점수가 100점인 건 절대 아니니 오해하지 말 것.[56]

OSL 퓨쳐스 DJMAX 대회 당시 프로필로 소개된 문구 중에 선호패턴도 있었는데, 나머지 참가자들이 트릴이나 동시치기를 썼는데 레밀리아만 유일하게 연타로 써서 제출했고, 실제로도 연타 패턴에 엄청나게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발광 BMS에서도 재봉틀 기예공연을 심심하면 선보이는가 하면[57] 디맥에서도 넥슨 DLC가 나왔을 때 8버튼 보스로 취급받는 크로우 크루아흐 SC를 오히려 초반에서 말려서 3번 정도 리트하고 초반 넘기자마자 한 번에 퍼펙트를 찍어버리고 "별로 어렵지 않은데?"라고 언급해 수많은 갈고리들을 수집했다. 사실 멀리 갈 것도 없이, Nightmare 8B SC를 가장 먼저 퍼펙트 찍은 사람이 누구인가 생각해보자.

밈 탄생 시점 3년 전에 올라온 던파나하러가자 귀신를 보고 모티브를 얻은 시청자가 3주년 영상 공모전에 해당 영상을 패러디한 영상을 올렸다. 이 후 레밀리아 본인이 직접 디맥이나하러가자 귀신 쇼츠 영상을 촬영했고 이것이 그대로 밈으로 탄생했다. 덧붙여, 원작자 본인도 이 쇼츠를 보고서는 디맥이나하러가자 귀신 vs 던파나하러가자 귀신 2 영상을 제작했다.

5.1. Showtime과 사돌단[편집]


DJMAX의 곡인 Showtime을 싫어한다고 한다. 처음 이 곡을 접했을 때 퍼펙트 플레이를 하는 데 있어 상당히 애를 먹어서 그렇다고 한다. 거기에 기름을 붓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원래 400만이 넘는 콤보 수를 이어 나가고 있었으나 이 곡에서 블라인드(채보가 안보임)를 걸고 클리어를 하다가 실수로 곡 선택창으로 넘어가버려서 400만 콤보를 날려먹는 사태가 터지고 만것. 이 장면은 클립으로 남아 두고두고 쇼타임 플레이를 할때마다 등장하는 중. 일종의 금기라서 '그 사자', '-쇼-'로 불리는 일도 많다. 얼마나 싫어했으면 곧 발매될 EZ2ON의 DJMAX 콜라보 DLC에 Showtime이 넘어간다면 그 즉시 이지투온을 불매운동하겠다고 했을 정도. 다행히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58]

팬들 사이에선 그가 사실은 이 곡을 좋아하면서도 아닌 척 하는게 아닐까 라는 의혹이 나올 정도로 이 곡을 매우 싫어하고 있다.[59] 하지만 역효과로 악질 트수들이 스스로를 해당 곡의 아이콘에 등장하는 사자 캐릭터 사돌이를 따서 사돌단으로 호칭할 정도로 마스코트가 되었는데,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당연하지만 시청자들은 별 미션을 다 걸어서 어떻게든 쇼타임을 플레이하도록 유도 중이다. 하도 온갖 방법으로 괴롭혀댄 탓에 플레이 횟수 1위는 당연히 쇼타임이라서 디맥을 끝내고 컬렉션 화면에서 플레이 횟수를 확인할 때마다 쇼타임을 가리는 빨간 띠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소리 끄고 첫 노트 3개만 봐도 쇼타임 채보인 걸 알아볼 정도...

한편 방송 규칙 중에는 이모티콘 5개 이상시 10분 타임아웃을 먹이는 규칙이 있는데, 이 쇼타임 때문에 사돌이 구독티콘으로 오목을 두는 것에는 아예 '5돌'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져 있다. 물론 '이게 대체 몇 개냐' 싶을 정도로 많이 넣는다면? 결과는 하루치 포상... [62] 이 사돌이 구독티콘은 쇼타임 플레이시에만 제한적으로 허용하며 그 때만큼은 채팅창이 갑자기 사돌이로 도배되며 불타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 3분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만단위의 사돌티콘이 쏟아지는 모습도 볼 수 있다. 2022년 12월에도 잠시 1분간 무한 사돌티콘을 허용한 적이 있었다.

DJMAX 제작진도 이걸 아는지 공식 차원으로 Showtime 밈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63]

다만 너무 많이 사용되어 뇌절급으로 오용될 수 있어 가급적이면 방송내 혹은 디스코드에서만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디맥갤 등의 유저 커뮤니티는 대부분이 파트너라도 엄연히 스트리머의 언급이 금지되는 곳이라 관련 밈을 굳이 가져올 이유가 없는데다, 레밀리아 본인이 직접 다른 방송에서는 사용 자제를 요청한 바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시청자 간에서도 자정운동을 통해 최근에는 내부에서만 레밀리아를 놀려먹는 소재로 사용한다.

5.2. 과거에 사용된 밈/용어[편집]


콘텐츠 진행 도중 특정 곡의 저작권 문제가 우려되어 대신 사용하는 음악을 일컬었다. 간혹 유튜브에 올라갈 콘텐츠 도중 Maharajah와 같이 유튜브에 올릴 수 없는 곡을 해야 할 경우 게임 소리 대신 켜서 사용할 때도 있었다.
현재는 이쪽보다는 Marbles on Stream 방송시 제일 먼저 재생하는 Heroes Tonight을 가리키는 의미로 더 많이 사용한다.

레밀리아는 방송을 할 때 채팅 TTS를 틀어놓는데, 초창기에는 이 TTS를 시청자들도 들을 수 있었다. 이 TTS가 물음표가 올라올 때마다 'question mark'라고 읽어서 생긴 밈이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밈.

리듬 닥터가 정식으로 출시되어 켠왕을 시작하며, 간호사로 지칭되는 해당 목소리가 자주 나오게 되면서 용어화되었다. 원샷 노트 박자를 알려주기 위해서 나왔던 신호의 일부[66]였는데, 어느순간 리듬 닥터를 플레이하면서 불편한 상황들에 대해서 ㄳㄲ라고 하는 대신에 외쳤던 말이다.
하지만 해당 게임을 플레이하던 레밀리아는 플레이 도중 "이 게임은 올클리어를 해버리면 다시 하기가 애매해지는 게임이다" 라고 밝힌 바 있어, 콜라보나 새로운 레벨이 추가되지 않는 한 사용되지 않는 용어가 될 가능성이 높기에 과거에 사용된 용어에 기재.


6. 연관 스트리머[편집]




6.1. 합방[편집]


2020년 6월 7일에는 쫀득고인물 초대석DJMAX RESPECT V 종목으로 초대되어 합방을 진행했다. 편집본 보러가기[70] 덕택에 신규 시청자 및 팔로워 유입이 늘어나는 긍정적인 효과도 거두었다.

2020년 7월에는 소니쇼의 방송에 시청자 자격으로 참여하였다.[71] 이에 소니쇼는 Showtime을 선곡하여 화답했는데, 레밀리아 본인은 노래를 듣기 싫어서 소리를 끄고 일부러 판정을 망쳤다. 그 뒤로도 방종할 때까지 신들린 플레이를 선보였다.

같은 달에 쫀득이 진행한 24시간 10인 릴레이 고인물 초대석에 다시 참가, 두 번째 순서로 등장해서 소리도 안 들리고 싱크도 안 맞는 환경이었음에도 디맥으로 뽑아낼 수 있는 모든 서커스 플레이를 숱하게 선보여 같이 등장한 고인물들까지 경악할 만큼 엄청난 반응을 이끌어냈다. [72] 선보인 서커스들 중 가장 임팩트가 강했던 장면들만 뽑아봐도 이 정도다.

2020년 11월에는 아구의 방송에서 얀마크원핸드 대 투핸드 배틀을 벌이기도 했다. 락커룸의 제왕을 재연한 벌칙이 압권.

2021년 2월에는 비웬과 함께 쫀득의 고인물 초대석에 참여했다.

같은해 9월 네오위즈의 초청으로 박잔디와 함께 뉴비 교육 합방을 진행했다. 후술할 40kg 키보드 플레이도 여기서 나왔다.

같은 해 12월에는 테스터훈의 장인초대석에 디맥 부문으로 참가, 1부로 버튼별 보스들 퍼펙트 찍기, 2부로 각종 서커스를 보여주었다. 여기서도 맥스 콤보로 88.88% 찍기를 2트만에 성공하는 것으로 클래스 입증. 그리고 테스터훈과의 합방 녹화 다음날에 다시 한 번 쫀득의 고인물 초대석에 참가하여 디맥 넥슨 DLC와 얼불춤, 이지투온 플레이를 진행했다.

2022년 5월에는 푸린의 고인물 초빙석에 참여했다. 1부[73]2부

2023년 6월 29일에는 성우 김가령, 장예나, 장미 3인과 합방을 진행하였다.

7. 여담[편집]




















이후 2.5 버전에서 악몽 난이도를 플레이 하여 2트만에 히든 스테이지까지 완주하는 모습을 보여줬다.[93]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레밀리아 문서의 r36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레밀리아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09:11:02에 나무위키 REMILIA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빠른 생일이라 학교를 7살때 갔다. 테스터훈 장인 초대석에서도 본인이 빠른 생일이라고 직접 언급했다.[2] 세상에 이런 일이에 출연했을 때 알려진 사실로, 어머니가 청소년 심리 상담사라고 한다.[3] 참고로 부모 모두 사돌단이다. 레밀리아가 방송 도중 자리를 비우면 실시간으로 누가 사돌콘을 보내는지 다 감시한다고 하니, 5돌콘을 남발하다가 밴 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자. 레밀리아 피셜로 진은검보다 더 빡세게 관리한다고 한다.[4] 나이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기혼자이다. [5] 2021년 3월 10일 방송 도중 방송사고로 구체적인 주소가 노출된 적 있다.[6] 세상에 이런 일이에서 언급된 내용. 쫀득과의 합방에서 본인이 컴퓨터를 전공했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7]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DJMAX RESPECT V가 얼리 엑세스로 첫 발매 되었을 때 30시간동안 쉬지 않고 레벨 99를 찍어서 Nightmare를 국내 최초로 해금한 게 첫 방송이였다.[A] A B C D 2023년 2월 11일 기준[풀버전] [9] 트위터 ID를 잘 보면 가운데가 소문자 L이 아니고 대문자 i이다.[10] 정확히는 동방홍마향 어필카드 콘테스트에서 뽑혔다.[11] OSL DJMAX대회 4강진출자 Espresso가 맞다.[12] 신곡 업데이트 등.[13] 원래는 로키 퇴사 미션 전용 채보였다.[14] 본인도 더 어렵다고 하면서 보여드릴께요!하고 시작했는데 퍼펙트을 쳐가니 어라? 하면서 당황하다가 퍼펙트를 치니 대폭소 및 채팅창도 대폭발하였다[15] 래더 시스템 개편 전 마스터 등반은 8버튼이 가장 어려웠다. 8버튼이 고인물급 유저 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 이 때문에 다른 버튼에서 마스터에 오른 유저가 8버튼에서 플래티넘~다이아몬드인 경우도 허다했다. 현재는 단일 등급으로 통합되었으며 래더 플레이 시 키 종류만 선택만 하는 방식이다.[16] OSL 대회 최종4위 유저로, 당시 대회에서 Nightmare 5버튼 SC를 99.85% 맥스 콤보 슈퍼플레이를 보여준 유저이다.[17] 특히 세 번째 대결은, 일부러 Espresso가 다른 상대와 매칭이 되는 것까지 확인한 다음에 큐를 돌렸는데 시간이 지나도 매칭이 잡히지 않아 기다리는 시간에 I Wanna Maker를 하고 있었는데 그 사이에 매칭이 끝난 Espresso가 큐를 돌렸다가 레밀리아하고 매칭이 잡혀버린 것이다.[18] 오픈 매치에서 마지막 곡으로 자주 선곡되는 Good Bye가 2경기곡, 거기에 제목에서부터 '마지막'이 대놓고 들어가 있는 SIN ~The Last Scene~이 3경기곡인지라 곡 제목부터 절묘하게 마지막에 어울리는 선곡이었다는 평이 많다. 1경기곡 Child of Night까지 포함해서 세 곡 전부 퍼펙트 무승부로 리매치를 했다![19] 만약 피버 X5나 피버 X5 오토로 시작한 경우에는 실격처리 된다. 방 입장한 뒤에 스페이스 바를 눌러서 옵션을 바꿀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면 좋다.[20] 언랭크인 경우에는 일단 배치라도 보고 오는것을 권장하며 추가로 래더를 시즌 10판 이상 돌리는걸 추천한다. 덤으로 양심껏 플레이트를 착용하는 것을 권장한다.[21] 순서는 그때마다 바뀌나 보통 마지막에 마스터+ 구간을 진행한다.[22] 8버튼은 선택사항으로 열 수 있다.[23] 정식 출시 초기 72개(기본 미션 60개 + V EXTENSION 미션 12개) 미션이 있었을 때는 1일 3회씩 했었다.[24] 특히 V EXTENSION 4 발매 당일엔 최대 2500명이 넘는 시청자 수를 기록하였다.[25] !play 뒤에 숫자를 입력하면 자신이 구슬을 따로 커스터마이징 하지 않은 경우 구슬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비구독자는 화면 좌측 상단에 있는 목록에서만 선택할 수 있고, 구독자는 추가로 우측 상단의 목록에서도 선택할 수 있다.[26] 노 카피라이트 사운즈 라고는 하지만, 인디 동영상 제작자 제외하고는 사실상 상업 라이센스를 따로 받아야 하는 것. 관련 문서에서도 언급되지만, 절대로 자유 저작물이 아니다.[27] 트위치 DMCA 클레임 사건 으로 트위치 전역이 저작권에 많이 신경쓰던 시기에는 DJMAX 시리즈의 수록곡들을 BGM으로 사용했다. NCS 음악들도 저작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26][28] 일반적으로 단가는 5천원으로 책정되어 있다.[29] 내일 할 게임은 무엇(인가)?[30] 내일 할 똥겜은 무엇(인가)?[31] 이후의 시리즈는 BErA 약간 한 것 말고는 많이 하지 않아서 AE 이후의 곡들은 BEDLAM, GEHENNA, Harpe for GAIA, Oriental Shade 등의 일부 곡들이나, BMS 출신 곡들 빼면 잘 모른다고 한다. 특히 TTFNEX 출신곡들은 REBOOT: R에서 처음했을 정도.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EZ2 시리즈에서 7th, CV, 3S의 곡들을 가장 좋아한다고 했다. 특히 Doll's Garden, Wars of the Roses 1455, 적월애, An Old Story가 최애곡들이라고. 반면 Eraser Rain for GAIA, Tempus Praeterita, Le Grand Bleu, Akasha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32] DJMAX RESPECT V를 '세상에 이런 리겜이'에서 평가하는 식으로 진행된 특별편이다.[33] 4주만에 11렙 Grievous Lady를 이론치-8을 달성했고 이후 Tempestissimo를 PM하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한때 최종보스곡Testify 랭크 1위를 달성했고 현재 밀린 상태다.[34] Aegis SPA를 EX-HARD 게이지로 완주 페일(...)한 적이 있다.[35] 서비스 종료 4일 전에 트수의 계정을 활용하여 플레이 했다.[36] 일명 딸기게임. 1부 게임으로도 진행한 적이 있으며 구독 이모티콘 중에 딸기콘이 생겨난 계기를 제공했다.[37] 2020년 8월 6일 방송에서 들어온 "최종 1등일 경우 20.5만원" 미션을 성공하기도 했다.[38] 고인물 초대석 3편 때 이원제와 함께 플레이.[39] 레밀리아 생각에는 "(가급적이면)청자들이 안했으면 했던 게임들" 중 하나였지만 현재는..[40] 전곡 챌린저를 달성하였다.[41] FPS 실력도 수준급으로, 매 시즌 초월자를 꾸준히 달성하고 있다.[42] 처음으로 한 게임 광고 방송이다.[43] 스트리머 녹두로의 천국의 계단을 클리어한 적 있다.[44] 일퀘할 때 라이스 샤워 한 번씩 키운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실제 방송에서는 짤막하게만 한 번 플레이하였다.[45] 럭키 클로에 원챔 유저로, 리듬게임 탑랭커답게 타이밍에 맞춰 버튼을 눌러 데미지를 증가하는 레이지아츠의 성공률이 99%를 자랑한다. 과거 빨강단까지 찍어봤다고 밝힌 적 있으며, 2022년 5월 18일 새벽 방송에서 의자단을 달성했다.[46] 오늘 뱅송(방송) 알찼다의 준말로 방송 종료 시에 사용한다. 바리에이션으로 오디알(ODR, 오늘 디맥 알찼다), 오븜알(OBR, 오늘 븜스 알찼다), 1BR(1부 방송 알찼다)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47] 다른 방들처럼 방장이 잠깐 자리를 비울 때 쓴다. 그러나 이후 시청자들이 사돌이 이모티콘으로 도배를 하는 것은 레밀리아 방송의 밈. 그리고 레밀리아가 돌아오는 즉시 부검쇼 시전.[48] '클로킹 -레-이스' 미션 후에 나왔다.[49] 우연찮게 이 조합을 따라도 영어로 원래 단어와 똑같은 remix가 나오는데, 그래서 remix는 원래 레믹스로 발음하는 거라고 드립을 치는 시청자들도 있다.[50] 타케에 나오는 여캐나 대나무 마디 모양의 캐릭터도 가끔 이모티콘으로 나오지만 이 푸나이처럼은 자주 쓰이지 못한다.[51] 여담으로 쫀득 유튜브에서 고인물 초대석 영상이 나왔을 때 댓글을 단 적이 있었는데 글 길이가 어마무시했다.[52] 아무래도 롱노트나 사이드가 없는 곡이다 보니 정확도 맞추기가 편해서 고를 가능성이 높다.[53] 결과는 ㄴ을 외친 것을 포함해서 끝끝내 한글 곡명이 나오지 않으면서 실패했다.[54] 강제 퇴장은 찐밴으로 일컫는다.[55] Cypher Gate를 '시퍼가테'로 읽는다거나 Fate를 '파테'로 읽는 식.[56] 여담 부분에 나와있지만 중학교때 전교 1등도 해본 사람이다.[57] 급기야는 이런 제봉틀 채보만 꽉꽉 모아 플레이하는 레밀짐이라는 새 컨텐츠를 만들었다.[58] 참고로 OSL 8강 첫 경기의 곡 리스트 중 하나가 Showtime이었는데, 밴픽 화면이 뜨자마자 쇼타임을 칼밴하는 레밀리아를 볼 수 있다. Showtime은 그나마 곡 레벨이 낮아서 래더에서 자주 보이진 않지만, 지금도 마스터 매칭에서 Over Me를 마주치면 특별한 일이 없으면 밴한다.[59] 심지어 전혀 상관없는 다른 노래 등에서 쇼타임이라는 말이 들리기만 해도(대표적으로 Old Gold) 바로 꺼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어쩔 수 없이 플레이 할 때는 그 부분을 자체 검열처리 해버린다. It's 악!!![60] 워낙 K 버튼으로 연타를 많이 처리하다 보니 금세 마모된 것.[61] 여담으로 그마저도 사돌이가 탈모 + 오른쪽 눈 실명 상태가 될 정도로 많이 눌렀고 현재는 다른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다.[62] 정도가 심하면 경고성으로 975310초 밴하는 경우도 있다.[63] 비단 레밀리아 방송뿐만 아니라, 디맥 제작진에서도 스트리머들의 디맥 방송, 디맥 커뮤니티의 여러 반응들을 하나하나 유심히 보고 있다고 한다. Trrricksters!! BGA에 디맥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밈이 쓰인 것도 그 증거.[64] 사돌이와 같이 나오는 코끼리[65] 이걸 본 레밀리아는 V EX 2 출시 직후 퍼펙트 스피드런 때 Over Me만 BGA를 끄고 진행했는데, 사실 Odysseus 8B SC를 퍼펙트 한 후 기쁨에 찬 나머지 BGA를 켜고 퍼펙작을 시도했으나 실패하는 바람에 다시 BGA를 봉인하고 퍼펙에 성공했다.[66] 전체 신호는 "레, 디, 겟, 셋, 고"의 5박자다. 7박자 신호는 숫자를 중국어로 왼다.[67] 실제 성씨는 김씨가 아니다.[68] 불안장애를 이유로 그만두었다. 완치라는 개념이 없는 질병 특성상 간혹 재발할 때마다 통원치료하곤 한다.[69] 레밀리아와 내기를 할 때(레밀리아는 원핸드) 우로보로스 6키 MX 레벨을 골랐는데 비록 내기 당시에는 올콤보를 실패했지만(다만 원핸드로 처리하기 어려운 곡 특성상 해당 경기는 얀마크가 이겼다.) 과거에 올 콤보 + 정확도 99퍼센트를 찍었던 기록이 화면에 나왔었다.[70] 레밀리아 본인도 방송 중에 영상을 시청하고 댓글을 남겼다. 댓글 글자 수가 어마무시한 게 압권.[71] 참고로 소니쇼와의 인연은 3월 12일에 소니쇼가 뜬금없이 호스팅을 해주면서 생기게 되었다.[72] 여담으로 이때 쫀득의 방으로 호스팅을 했던 코렛트Road Of Death 5B SC 원핸드를 보게 되었고, 이후 동료 스트리머 네 명과 디맥 합방을 하던 중 이 광경에 대하여 언급하기도 했다.[73] 썸네일에 대놓고 미소녀처럼 그려진 게 압권.[74] 여담으로 방송에서 머리를 기르는 이유를 설명하다가 소아암 환자를 소아성애자로 잘못 말하는 대참사가 일어났다.[75] 원래는 더 기르려고 했으나, 머리카락을 묶을 때 목 부분에 위치한 머리카락이 눌려서 굳어버린 바람에 어쩔 수 없이 잘라야 한다고 밝혔다.[76] 이 두 곡은 패턴 자체가 판정 잡기가 힘들어 레밀리아를 제외하더라도 많은 플레이어들한테 기피되는 편이다. 쇼타임은 그래도 노래 자체에 대한 평가는 나쁘지 않은데다 아스트랄한 BGA 덕분에 재평가라도 받았지만 드림 오브 유는 그런거 없다.[77] 네오위즈 유튜브의 <내일은 고인물>에 고인물로서 출연했을 때 밝혔다.[78] 그 이유는 본인 방송 미션 특성상 랜덤미션이 자주 걸리다보니 사이드 노트 랑 겹쳐나오는 노트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데 해당 기어 가운데에 있는 보석이 그 역할을 수행해주기 때문이라고 한다.[79] 당시의 레밀리아 측 오피셜 중에는 디코방 운영에만 주력을 할 것을 밝힌 적 있다. 따라서 당첨자에게만 디코 DM으로 확인한다. 참고로 그 오피셜을 밝혔을 시점에서의 운영 방향에 대해서 디스코드 채널 내에서 의논한 결과, 네이버 카페는 물론 카카오톡 오픈채팅도 기각됐다.[80] 유머 글이나, 구슬 게임 당첨 인증 및 상품 증정 목적으로 쓰이고 있다.[예시] Wi-Fi를 위피로 읽거나, boss stage를 보스 스타게로 읽거나, Dream을 드레암으로 등[81] REMILIA는 어지간한 리듬게임 유저들의 나이보다도 오래 리듬게임을 해온 사람이기 때문에 애초에 비교 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82] 정확히는 2021년 3월 17일 23시 59분에 구매링크가 열렸으나 실제 플레이는 자정을 넘어서 시작했다.[83] DJMAX TECHNIKA 시리즈 DLC 발매일 이후로 처음으로, 한때 2000명 넘게 올라가기도 했다.[84] 대학교 학번이 2차이라고 밝혔다. 리겜을 나름 하기도 했다고도 밝혔는데 레밀리아의 위엄에 의해 내려놓았다고[85] 여담으로 당시 자막에 이름이 '박현우'로 오타가 나서 한동안 놀림거리로 쓰이기도 했다.[86] 일반적으로 측정하는, 표준편차 15로 측정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멘사에서 사용하는 표준편차 24짜리 검사로 측정하면 148 이상이 나온다고 한다. 참고로 링크의 사이트에 135를 넣고 계산해보면 표준편차 24 기준으로는 156이 나온다.[87] 예를 들어서 투덱에서 DIAVOLO 싱글 어나더를 풀콤보했는데 편집됐다고 한다...[88] 여담으로 방송에서 나오는 장면은 대부분 다 설정이었는데 대표적인 장면이 리듬게임을 잘하기 위해 악력기를 사용하는 장면이다.[89] 디맥의 SC난이도에 해당되는 민수 난이도. 게이지가 다 소진되어도 끝까지 진행이 가능.[90] 일부 왁굳(디맥의 MX) 난이도도 포함하여 진행했다. 3대장 및 일부 민수 난이도가 없는 곡들 포함.[91] 특히 우마뾰이 전설은 기타 주법 변속 플레이로 퍼펙트, 융터르는 한손 2 수듄(BAD) 풀콤 이후 손 크로스로 퍼펙트를 하는 서커스도 진행했다. 나중에 왁물원에 올라온 내용을 통해 우왁굳 본인도 이러한 클립들을 방송중 시청했다.[92] 문제의 Marigold도 중간 12 23 12 23 알약에 당황했지만 3번 정도 시도 끝에 퍼펙트 플레이를 성공했다.[93] 당시 핫픽스가 적용전이라 고세구 스킬이 1.0~3.0 배속에서 랜덤 고정 + 14곡 플레이 + 최대 체력 50 + 단체곡이 우마뾰이 전설로 고정 의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했고 심지어 릴파 보스 스테이지에서 Marigold가 당첨되기도 했다.[94] 왁제이맥스 플레이 이후 진행. 아이템 운이 좋게 작용해서 3회차만에 엔젤루숙을 격파하여 노말모드 진엔딩을 감상했다.[95] 이쪽은 아예 왁제이맥스 업적으로 구현되었다.[96] 도중 한번씩 1배속, 8배속[95] 및 핸드크로스, 마우스로 퍼펙트 플레이 등 서커스 플레이도 겸한다. 이 경우 왁물원의 형이봤(형 이거 봤어?)에 단골로 올라가는건 덤.[97] 노래 싱크가 80ms 빨랐으며 키보드 입력 후 피드백 사운드가 60ms 늦게 재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