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Red Velvet)

덤프버전 : (♥ 0)




파일:Red Velvet 로고.svg
[ 한국 음반 ]

파일:1 행복(Happiness).jpg
파일:2 Be Natural.jpg
파일:3 Ice Cream Cake.jpg
파일:4 The Red.jpg

싱글

2014. 08. 04.

싱글

2014. 10. 13.

미니 1집

2015. 03. 17.

정규 1집

2015. 09. 09.
파일:5 The Velvet.jpg
파일:6 Russian Roulette.jpg
파일:7 Rookie.jpg
파일:8 The Red Summer.jpg

미니 2집

2016. 03. 17.

미니 3집

2016. 09. 07.

미니 4집

2017. 02. 01.

여름 미니

2017. 07. 09.
파일:9 Perfect Velvet.jpg
파일:10 The Perfect Red Velvet.jpg
파일:11 Summer Magic.jpg
파일:12 RBB.jpg

정규 2집

2017. 11. 17.

정규 2집 리패키지

2018. 01. 29.

여름 미니

2018. 08. 06.

미니 5집

2018. 11. 30.
파일:13'The ReVe Festival' Day 1.jpg
파일:14 'The ReVe Festival' Day 2.jpg
파일:15 'The ReVe Festival' Finale.jpg
파일:REDVELVET_QUEENDOM_ALBUM.jpg
The ReVe Festival Series

미니 6집

2021. 08. 16.

The ReVe Festival 미니

2019. 06. 19.

The ReVe Festival 미니

2019. 08. 20.

The ReVe Festival 리패키지

2019. 12. 23.
파일:The ReVe Festival 2022 - Feel My Rhythm.jpg
파일:'The ReVe Festival 2022 - Birthday'.jpg
파일:Chill Kill Album Cover.jpg
파일:투명.png
The ReVe Festival 2022 Series

정규 3집

2023. 11. 13.

The ReVe Festival 미니

2022. 03. 21.

The ReVe Festival 미니

2022. 11. 28.

[ 일본 음반 ]

파일:RV_SAPPY.jpg
파일:RVsayonara.jpg
파일:POWER UP_JP COVER.png

미니 1집

2018. 07. 04.

디지털 싱글

2019. 01. 06.

디지털 싱글

2019. 02. 20.

미니 2집 선공개 싱글

2019. 04. 24.
파일:190529SAPPYMINIDVD.jpg
파일:레드벨벳_bloom(통상반).webp
파일:투명.png
파일:투명.png

미니 2집

2019. 05. 29.

정규 1집

2022. 04. 06.

[ 참여 음반 ]

파일:20013867.jpg
파일:20090096.jpg
파일:20114168.jpg
파일:호텔 델루나 OST Part 8.jpg

윈터 싱글 프로젝트

2015. 12. 18.

SM STATION 2

2017. 03. 31.

SM STATION 2

2017. 08. 18.

OST

2019. 08. 10.
파일:스타트업 OST Part.1.jpg
파일:Queendom_Remix.jpg
파일:bad boy remixes.jpg

Our Beloved BoA - SM STATION

2020. 08. 21.

OST

2020. 10. 17.

iScreaM

2021. 10. 15.

iScreaM

2021. 11. 01.
파일:2022 Winter SMTOWN : SMCU PALACE.jpg
파일:iScreaM Vol.25 빨간 맛 (Red Flavor) Remix.jpg

SMTOWN 겨울 앨범

2022. 12. 26.

iScreaM

2023. 08. 31.



파일:빌보드 로고.svg 선정 2019년 최고의 K-POP
[ 노래 부문 25선 ]

빌보드에서 2019년 최고의 K-POP 노래 25선을 발표했고 아래는 해당 리스트에 선정된 곡들이다.
1위
Obsession
EXO
2위
%%(응응)
Apink
3위
벌써 12시
청하
4위
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 (Run Away)
투모로우바이투게더
5위
We don't talk together
헤이즈
6위
니가 부르는 나의 이름
GOT7
7위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

AKMU
8위
멍청이(twit)
화사
9위
LION
(여자)아이들
10위
MIROH
Stray Kids
11위
No
CLC
12위
옥탑방
N.Flying
13위
Say My Name
ATEEZ
14위
FANCY
TWICE
15위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방탄소년단
16위
Highway to Heaven
NCT 127
17위
What You Waiting For
R.Tee x 안다
18위
Psycho
레드벨벳
19위
Blueming
아이유
20위
달라달라(DALLA DALLA)
ITZY
21위
Kill This Love
BLACKPINK
22위
BREATHE
AB6IX
23위
독 : Fear
세븐틴
24위

Jvcki Wai, 영비,
Osshun Gum, 한요한
25위
Jopping
SuperM
출처

[ 앨범 부문 25선 ]

빌보드에서 2019년 최고의 K-POP 앨범 25선을 발표했고 아래는 해당 리스트에 선정된 앨범들이다.
1위
An Ode
세븐틴
2위
고블린(Goblin)
설리
3위
GENERASIAN
Lim Kim
4위
OBSESSION
EXO
5위
[X X]#
이달의 소녀
6위
Call My Name
GOT7
7위
100년제전문대학
기리보이
8위
Clé 1 : MIROH
Stray Kids
9위
Raid of Dream
드림캐쳐
10위
From Midnight To
Sunrise

크러쉬
11위
She's Fine
헤이즈
12위
City Lights
백현
13위
OO DA DA
SUMIN
14위
Feel Special
TWICE
15위
butterFLY
에일리
16위
MAP OF THE SOUL :
PERSONA

방탄소년단
17위
'FOLLOW' : FIND YOU
몬스타엑스
18위
Love poem
아이유
19위
Fall In Love
오마이걸
20위
RPM
SF9
21위
꿈의 장: MAGIC
투모로우바이투게더
22위
Starry Night
보아
23위
TREASURE EP.FIN :
All To Action

ATEEZ
24위
reality in BLACK
마마무
25위
The Book of Us :
Entropy

DAY6
출처

연도별 리스트: 2019년 / 2020년


파일:멜론 로고.svg 선정 KPOP - 명곡100
[ 1 - 50위 ]
[ 51위 - 100위 ]

51위
벌써 12시
청하
52위
비밀정원
오마이걸
53위
View
SHINee
54위
여름 안에서
듀스
55위
첫 사랑니 (Rum Pum Pum Pum)
f(x)
56위
TT
TWICE
57위
영원한 사랑
핑클
58위
전사의 후예 (폭력시대)
H.O.T.
59위
나를 돌아봐
듀스
60위
달라달라
ITZY
61위
성인식
박지윤
62위
태양을 피하는 방법
63위
까탈레나 (Catallena)
오렌지캬라멜
64위
Roly-Poly
티아라
65위
에너제틱 (Energetic)
Wanna One
66위
시간을 달려서 (Rough)
여자친구
67위
초대
엄정화
68위
Brand New
신화
69위
Butterfly
이달의 소녀
70위
DNA
방탄소년단
71위
나혼자 (Alone)
씨스타
72위
It's Raining
73위
아무노래
지코
74위
작은 것들을 위한 시 (Boy With Luv) (Feat. Halsey)
방탄소년단
75위

god
76위
Bang!
애프터스쿨
77위
사랑을 했다 (LOVE SCENARIO)
iKON
78위
REALLY REALLY
WINNER
79위
I (Feat.버벌진트)
태연
70위
아주 NICE
세븐틴
81위
T.O.P. (Twinkling of Paradise)
신화
82위
밤편지
아이유
83위
음오아예 (Um Oh Ah Yeh)
마마무
84위
Ah-Choo
러블리즈
85위
Psycho
Red Velvet
86위
Dreams Come True
S.E.S.
87위
Ring Ding Dong
SHINee
88위
내 남자친구에게
핑클
89위
Cherry Bomb
NCT 127
90위
벚꽃 엔딩
버스커 버스커
91위
Come Back Home
서태지와 아이들
92위
빛나리
펜타곤
93위
아틀란티스 소녀(Atlantis Princess)
BoA
94위
할 수 있어
NRG
95위
Fly (Feat. Amin.J of Soulciety)
에픽하이
96위
말해줘
지누션
97위
누난 너무 예뻐 (Replay)
SHINee
98위
Hug
동방신기
99위
교실 이데아
서태지와 아이들
100위
Trouble Maker
트러블메이커
출처: 멜론 K-POP 명곡100



Psycho

파일:'The ReVe Festival' Finale 로고.png
파일:15 'The ReVe Festival' Finale.jpg
발매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12월 23일
러닝타임3:30
작사KENZIE
작곡Andrew Scott , Cazzi Opeia , EJAE
편곡Druski , 유영진
가수파일:Red Velvet 로고.svg
장르댄스
수록 앨범'The ReVe Festival' Finale

1. 개요
2. 가사
3. 뮤직비디오
4. 라이브 영상
4.1. 유튜브 조회수/좋아요 기록
4.1.1. 유튜브 조회 수 추이
4.2. 티저
5. 평가
6. 성적
6.1. 음원
6.1.1. 스포티파이
7. 여담



1. 개요[편집]


Red Velvet의 'The ReVe Festival' 3부작 시리즈의 마지막 앨범 'The ReVe Festival' Finale의 타이틀곡

2. 가사[편집]


Psycho 01
3' 30"
TITLE


레드벨벳의 능수능란하면서도 익살스러운 보컬이 어우러진 업 템포 어반 팝 곡으로, 변화무쌍한 멜로디 위로 중독성 있게 펼쳐지는 훅이 돋보이며, 가사에는 남들이 보기에는 'Psycho'처럼 별나 보여도, 결국 서로뿐임을 인정하는 연인의 쿨한 메시지를 담았다.

[ 가사 보기 ]
ALL 아이린 슬기 웬디 조이 예리

Woo~
Hey yeah
Umm~
Ya, Psycho

널 어쩌면 좋을까
이런 맘은 또 첨이라

Up & Down이 좀 심해 조절이 자꾸 잘 안돼
하나 확실한 건 I don’t play the game


우리 진짜 별나대
그냥 내가 너무 좋아해

넌 그걸 너무 잘 알고 날 쥐락펴락해
나도 마찬가지인걸


우린 참 별나고 이상한 사이야
서로를 부서지게
(부서지게)
그리곤 또 껴안아
(그리곤 또 껴안아)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붙어 다니니 말야
이해가 안 간대 웃기지도 않대

맞아 Psycho (Psycho) psycho (Psycho)
서로 좋아 죽는 바보 (바보) 바보 (바보)
너 없인 어지럽고 슬퍼져 기운도 막 없어요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Hey trouble 경고 따윈 없이 오는 너
I’m original visual 우린 원래 이랬어 Yeah

두렵지는 않아 (흥미로울 뿐) It’s hot! Let me just hop
어떻게 널 다룰까? Ooh

어쩔 줄을 몰라 너를 달래고
매섭게 발로 차도

가끔 내게 미소 짓는 널
어떻게 놓겠어 Ooh


우린 아름답고 참 슬픈 사이야 서로를 빛나게 해
(Tell me now)
마치 달과 강처럼
그리곤 또 껴안아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붙어 다니니 말야
이해가 안 간대 웃기지도 않대

맞아 Psycho psycho (맞아 Psycho psycho)
서로 좋아 죽는 바보 바보 (바보 바보)
너 없인 어지럽고 슬퍼져 기운도 막 없어요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Don’t look back 그렇게
우리답게 가보자

난 온몸으로 널 느끼고 있어
Everything will be ok


(You got me feeling like a psycho) Like a psycho psycho
우릴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보고 말해 자꾸 자꾸)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Hoo~) 붙어 다니니 말야
둘이 잘 만났대 Hey now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

It’s alright
(It’s alright)
(Oh~)
It’s alright (Ho~ oh~ oh~)

Hey now we’ll be ok (Okay)
Hey now we’ll be ok (Okay Yeah)
Hey now we’ll be ok (ay)
Hey now we’ll be ok (Okay)

It’s alright ooh~
It’s alright
우린 좀 이상해
Psycho

3. 뮤직비디오[편집]


Psycho
Music Video

Psycho
Performance Video


4. 라이브 영상[편집]


Psycho
라이브 영상

4.1. 유튜브 조회수/좋아요 기록[편집]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
파일:레드벨벳 사이코 3억뷰.jpg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
파일:대체이미지 2022-03-20 (1).jpg
1억뷰 달성
2020.03.26
2억뷰 달성
2020.11.17
3억뷰 달성
2021.09.09
4억뷰 달성
YYYY.MM.DD
5억뷰 달성
YYYY.MM.DD


4.1.1. 유튜브 조회 수 추이[편집]


<Psycho> YouTube 조회 수 추이
1억 돌파 추이
연도조회수날짜간격조회수날짜간격
2019년1000만12월 24일(발매 2일차)22시간2000만12월 26일(발매 4일차)2일
3000만12월 29일(발매 7일차)3일
2020년4000만1월 4일(발매 13일차)6일
5000만1월 12일(발매 21일차)8일6000만1월 22일(발매 31일차)10일
7000만2월 4일(발매 44일차)13일8000만2월 19일(발매 59일차)15일
9000만3월 7일(발매 76일차)17일1억3월 26일(발매 95일차)19일
2억 돌파 추이
연도조회수날짜간격조회수날짜간격
2020년1억 1000만4월 16일(발매 116일차)21일1억 2000만5월 11일(발매 141일차)25일
1억 3000만6월 4일(발매 165일차)24일1억 4000만6월 29일(발매 190일차)25일
1억 5000만7월 19일(발매 210일차)20일1억 6000만8월 12일(발매 234일차)24일
1억 7000만9월 4일(발매 257일차)23일1억 8000만9월 30일(발매 283일차)26일
1억 9000만10월 24일(발매 307일차)24일2억11월 17일(발매 331일차)24일
3억 돌파 추이
연도조회수날짜간격조회수날짜간격
2020년2억 1000만12월 11일(발매 355일차)24일
2021년2억 2000만1월 3일(발매 378일차)23일
2억 3000만1월 25일(발매 400일차)22일2억 4000만2월 17일(발매 423일차)23일
2억 5000만3월 15일(발매 448일차)25일2억 6000만4월 10일(발매 474일차)26일
2억 7000만5월 11일(발매 505일차)31일2억 8000만6월 15일(발매 541일차)35일
2억 9000만7월 27일(발매 583일차)42일3억9월 9일(발매 627일차)43일
연도조회수날짜간격조회수날짜간격
2021년3억 1000만11월 8일(발매 687일차)60일3억 2000만월 일(발매 일차)
3억 3000만월 일(발매 일차)3억 4000만월 일(발매 일차)
3억 5000만월 일(발매 일차)3억 6000만월 일(발매 일차)
3억 7000만월 일(발매 일차)3억 8000만월 일(발매 일차)
3억 9000만월 일(발매 일차)4억월 일(발매 일차)

  • 첫 24시간 조회수는 10,737,676회로, 기존 1위였던 짐살라빔의 기록을 큰 차이로 넘어섰다.
  • 12월 29일 오후 7시, 발매 일주일만에 직전 앨범의 타이틀곡 음파음파의 조회수를 넘어섰다.
  • 이전까지 최고 기록이었던 Bad Boy의 27일차 5000만 뷰를 넘어서 최고 기록을 세웠다.

  • 2020년 3월 26일 오전 1시 10분경,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1억을 돌파했다. 발매 94일 7시간만에 1억 뷰를 달성하면서 기존 Bad Boy의 118일 1억 뷰 기록을 24일이나 앞당겼다. 이로써 Psycho는 레드벨벳의 7번째 1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가 되었고, 레드벨벳은 1억 뷰 뮤비 7개를 보유한 8번째 한국 가수가 되었다.
  • 2020년 10월, 지난 2년 간 레드벨벳의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 수 2,3위를 차지하던 피카부러시안 룰렛의 조회 수 기록을 넘기면서 새로운 2위에 등극했다.
  • 2020년 11월 17일 정오,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2억을 돌파했다. Bad Boy에 이은 레드벨벳의 두 번째 2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로, 발매 11개월만에 2억 뷰를 넘어서면서 기존 Bad Boy의 14개월 2억 뷰 기록을 3개월 앞당겼다.[1]
  • 2021년 9월 9일 정오, 유튜브 뮤직비디오 조회 수 3억을 달성했다. 레드벨벳의 두 번째 3억 뷰 돌파 뮤직비디오로, 발매 21개월만에 달성하면서 Bad Boy의 36개월차 3억 뷰 기록을 크게 앞당겼다.[2] 이로써 레드벨벳은 3억 뷰 뮤직비디오 2개 이상을 보유한 7번째 한국 가수가 되었다.
  • 2021년 10월 15일, 퍼포먼스 비디오가 유튜브 조회 수 1억을 달성했다. 짐살라빔, 음파음파 같은 타이틀곡조차도 조회 수가 정체된 가운데 퍼포먼스 비디오가 먼저 1억 뷰를 달성하면서, 기존 곡들에 비해 Psycho가 얼마나 많은 인기를 얻었는지를 반증하는 사례가 되었다.


4.2. 티저[편집]



Psycho
MV Teaser


5. 평가[편집]


'짐살라빔'과 '음파음파'의 화려한 축제는 달콤 쌉싸름한 'Psycho'로 결말을 맺는다. < The Red >와 < Rookie >의 신비로운 동화 콘셉트와 'Bad boy'의 그루브를 조합해 비상식적일 수밖에 없는 사랑의 오묘함을 어색하지 않게 풀어낸다. 언뜻 건조하게 들렸던 'Bad boy'의 확실한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크리스마스 시즌과 연말을 의식해 더욱 풍성한 베이스의 트랩 비트 위 멤버들의 코러스가 소리의 빈틈을 효과적으로 채운다. 파트 배분도 훨씬 자연스러운데 특히 곡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는 웬디와 후렴부 합창을 리드하는 슬기의 목소리가 만족스럽다.

좋은 곡이다. 훌륭한 선율, 흥미로운 테마, 그를 풀어내는 퍼포먼스 모두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했다. 잠시 주춤할 때도 있지만,몇 번의 시행착오를 거치더라도 결국 이와 같은 모범적인 노래를 만들어내며 끊임없이 가치를 증명해 보이는 것이 SM 시스템이다. 올 한 해 'The ReVe Festival'의 레드 벨벳도 그 경로를 그대로 밟았다. 돌이켜보면 '참 별나고 이상한 사이'였다. '짐살라빔'으로 '다시 안 볼 듯 싸우다가도', '음파음파'와 'Psycho'로 결국 '붙어 다니'게 되었으니.

대중음악 평론가 김도헌


‘레드’와 ‘벨벳’의 유산을 고루 배합해낸 결정체. 통통 튀는 피치카토 위를 부드럽게 가로지르는 마이너 스케일의 멜로디, 풍성하게 울리는 드럼패드 위에서 널뛰는 싸이킥한 전자음, 장난스러운 가사와 대비되는 다소 처연한 가창까지. “둘이 잘 만났대”라는 구절이 다름 아닌 ‘레드’와 ‘벨벳’을 지칭하는 것처럼 들린다면 과한 감상일까.

IDOLOGY 에디터 스큅


공개된 이후 호평이 주를 이루고 있다. 난해하다는 평을 받았던 짐살라빔이나 무난하기만 했던 음파음파를 뒤로 하고 벨벳 컨셉 특유의 실험적인 면은 살리면서도 대중성을 잡은 곡이라는 것. 그것을 증명하듯 지난 웬디의 부상으로 모든 음악방송에 불참했지만 1위를 9회 차지했다.[3] 또한 1월 21일 기준 음원 순위가 발매 한 달이 다 되가는 시점에서도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벨벳 컨셉의 곡들인 피카부, Bad Boy와 대중적인 중독성을 강조했던 Rookie가 섞인 느낌이라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빨간 맛과 더불어 레드벨벳 최고의 히트송으로 평가받으며 타팬들도 고개를 끄덕이는 케이팝 절대명곡으로 인정받고있다.

6. 성적[편집]



6.1. 음원[편집]


<Psycho> 주간 음원 성적 [기간]
주차멜론 주간
TOP 100
가온 주간 차트
디지털 종합 [4]다운로드스트리밍
순위변동순위변동가온지수누적
가온지수
순위변동순위변동
1주차2위NEW2위NEW44,549,16644,549,1661위NEW3위NEW
2주차2위2위40,815,54885,364,7141위2위▲1
3주차2위2위37,182,868122,547,5823위▼22위
4주차3위▼13위▼135,682,688158,230,2705위▼23위▼1
5주차3위3위33,241,199191,471,4696위▼13위
6주차3위3위31,273,764222,745,2333위▲33위
7주차3위3위29,752,982252,498,2155위▼23위
8주차4위▼14위▼128,013,599280,511,8148위▼34위▼1
9주차7위▼37위▼323,841,539304,353,35335위▼275위▼1
10주차7위7위18,498,851322,852,20425위▲106위▼1
11주차9위▼27위17,405,318340,257,52217위▲86위
12주차12위▼313위▼615,714,650355,972,17228위▼1110위▼4
13주차13위▼113위14,770,252370,742,42429위▼113위▼3
14주차15위▼215위▼214,261,091385,003,51527위▲214위▼1
15주차17위▼215위14,031,378399,034,89334위▼714위
16주차17위18위▼313,526,192412,561,08526위▲815위▼1
17주차19위▼216위▲213,134,428425,695,51328위▼216위▼1

<Psycho> 월간 음원 성적
기간멜론 월간
TOP 100
가온 월간 차트
디지털 종합 [5]다운로드스트리밍
순위변동순위변동가온지수누적
가온지수
순위변동순위변동
2019년 12월42위NEW31위NEW62,691,57962,691,5798위NEW38위NEW
2020년 01월3위▲393위▲28155,924,111218,615,6903위▲53위▲35
2020년 02월3위3위104,236,514322,852,20413위▼103위
2020년 03월12위▼912위▼968,170,737391,022,94123위▼1012위▼9
2020년 04월18위▼616위▼456,978,911448,001,85233위▼1016위▼4
2020년 05월29위▼1130위▼1453,309,068501,310,92034위▼129위▼13
2020년 06월36위▼734위▼446,772,501548,083,42135위▼132위▼3
2020년 07월41위▼535위▼147,550,090595,633,51136위▼134위▼2
2020년 08월48위▼743위▼843,505,304639,138,81547위▼1143위▼9
2020년 09월54위▼649위▼636,672,115675,810,93047위51위▼8
2020년 10월61위▼756위▼734,652,834710,463,76459위▼1258위▼7
2020년 11월84위▼2377위▼2128,166,027738,629,79186위▼2779위▼21
2020년 12월OUT107위▼3017,972,145756,601,93667위▲19118위▼39
2021년 01월125위▼1811,559,206768,161,142OUT119위▼1
2021년 02월136위▼119,725,424777,886,566123위▼4

  • 2020년 가온 연간차트 9위, 멜론 연간차트 10위
  •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9년 12월) 부문 수상
  • 2019년 발매 걸그룹 곡 중 유일한 모든 음원 차트 올킬(AK), 멜론 일간 1위 곡
  • TWICEFANCY 이후 8개월 만의 걸그룹 실시간 1위 곡
  • Power Up 이후 16개월 만의 걸그룹 지붕킥 달성 곡

멜론 차트에서 19시 5위로 진입, 20시와 21시에 각각 3위와 2위로 상승한 후 2위에서 머무르며 창모의 <METEOR>와 접전을 벌이다 자정에 드디어 실시간 차트 1위를 달성했다. Power Up 이후로 내놓은 앨범들이 멜론에서 크게 부진을 겪었지만 이번엔 극적으로 아주 오랜만에 걸그룹 멜론 지붕킥을 달성했다. 이로써 Power Up 이후 첫 번째 걸그룹 지붕킥이 되었다. 즉, 이는 2019년 걸그룹 발매 곡 중에서 최초이니 굉장히 의미있는 셈. 전작들의 흥행 실패에도 불구하고 좋은 퀄리티의 타이틀 곡으로 차트 PK에 성공하며 레드벨벳의 입지를 다시금 확인하게 해주었다.

또한 자정에 멜론 차트에서도 실시간 1위를 달성함으로써 모든 음원 차트 1위 올킬을 달성하였다. 2019년 걸그룹으로서는 최초, 남녀 그룹 통틀어서 두 번째 기록이다. 더불어 아이튠즈 앨범 차트 1위도 달성했는데, 이는 레드벨벳의 세 번째 1위 기록이며 한국 걸그룹 최초 및 최다 기록이다.

멜론 기준 24시간 이용자 수는 733,196명이며 최고 이용자 수는 발매 27시간째에 달성한 768,399명이다.

지니에서는 2019년 발매 아이돌 음악 중 방탄소년단의 작은 것들을 위한 시를 제치고 최장기간 TOP 5를 기록했다.

발매 다음 날인 24일 저녁부터 캐롤들과 크리스마스 송들이 차트에 올라오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캐롤 및 크리스마스 송들의 스트리밍 지수가 작년에 비해 적어졌고, 여전히 스트리밍 화력이 죽지 않아서 굳건히 1위를 지켰다. 심지어 12시 실시간 예측에서는 창모의 <METEOR>와 머라이어 캐리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2•3위를 놓고 피 튀기는 전쟁을 벌이는 와중 레드벨벳의 그래프는 흔들림 없이 높이 솟아있었다.

12월 25일, 멜론 차트에서 일간 1위를 달성했다! 이는 2019년 걸그룹 최초 일간 1위 기록이다.[6] 하지만 FLO에서 Psycho가 아리아나 그란데의 <Santa tell me>에게 1위를 내주었지만 25일 오후 3시 FLO에서 다시 1위로 올라서며 PK를 달성했다!! 이후 계속 PK를 유지 중이다.

12월 26일과 27일에도 멜론 일간 1위를 달성하였다.

12월 27일, 멜론은 20시에 창모에게 1위를 내주었다. 나머지 음원사이트는 모두 1위를 유지하고 있다.

1월 7일 기준 멜론에서는 실시간과 일간 모두 2위로 상대가 역대급 추이를 보이는 창모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선방하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포티파이에서 발매 2주 만에 스트리밍 2,000만 건을 달성하면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발매 20일 차에 접어든 1월 11일 기준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2,500만 건을 돌파했다. 또한 지니뮤직에서 스트리밍 1,000만 건을 가장 단기간에 돌파한 걸그룹 노래가 되었다.

음원 성적이 꽤나 탄탄한 덕분에 현재 거의 모든 음방에 불참 중인 상황에서도 쉽게 음방 1위를 휩쓰는 중이다. 이대로 10위권 내에서 롱런한다면 10관왕 이상도 노려볼 수 있을 듯.

발매 4주 차에 접어들면서 백예린, 지코, 태연 등 음원 강자들의 신곡이 쏟아지면서 잠시 주춤했으나, 이후 다시 실시간과 일간 차트 모두 3위로 복귀하면서 롱런의 조짐을 보이다.

발매 24일 차인 1월 15일에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3,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짐살라빔이 발매 7개월 가까이 되는 시점에서 3,000만 스트리밍에 머물고 있다는 점을 볼 때 전작들보다 상당히 흥행하고 있다. 또한 이번 앨범의 발매로 K-pop 아이돌 중 방탄소년단, BLACKPINK에 이어 세 번째로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가 500만 명 이상을 돌파한 그룹이 되었다.

17일 방탄소년단의 디지털 싱글 발매로 수록곡들이 올라와 실시간 차트 순위가 10위까지 하락하였다. 일간 순위도 4위로 내려갔으나, 이후 다시 3위로 복귀하였다. 다만 실시간 차트는 아직 5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후 새벽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최상위권~상위권에 머무르는 중.

발매 29일 차인 1월 20일 기준 지니뮤직에서는 스트리밍 1,600만 건을 상회하고 있다.

발매된 지 한 달을 넘긴 1월 21일, 폴킴청하의 듀엣곡이 발매되면서 차트 순위에서 밀려났으나 다음 날에 다시 실시간 차트 복귀에 성공하였다.

2020년 3주 차까지의 성적으로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 올해의 가수상 음원(2019년 12월) 부문의 수상을 확정 지었다. 레드벨벳에는 Power Up에 이어 두 번째 수상이다.

발매한 지 한 달이 넘은 1월 25일 현재 멜론, 지니뮤직, 플로에서 실시간 차트 3위를 기록하는 중이다.

발매 35일 차인 1월 26일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4,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2020년 1월 멜론과 지니뮤직 월간 차트에서 3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지니뮤직에서 스트리밍 2,200만 건을 넘어섰다. 3대 음원사이트인 멜론과 지니뮤직, 플로의 점유율 차를 고려했을 때 누적 스트리밍은 5,000만 건을 훌쩍 넘어섰을 것으로 보인다.

발매 44일 차인 2월 4일 기준 지니뮤직의 실시간 차트 5위권 이내에 랭크된 시간이 누적 1,000시간을 돌파했다. 이는 레드벨벳 그룹 자체의 커리어하이이기도 하고, 2019년에 발매된 걸그룹 곡 중 가장 높은 기록이기도 하다. 앞서 방탄소년단의 컴백으로 수록곡들이 올라왔던 것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선방한 성과.

발매 46일 차인 2월 6일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5,000만 건을 돌파하였다.

발매 150일 차인 5월22일 스포티파이에서 Bad Boy에 이어 두번째로 스트리밍 1억건을 달성하였다. Bad Boy가 스트리밍 1억건 달성에 671일이 걸린데 비해 Psycho는 무려 521일을 앞당겨 발매 150일만에 달성하였다.
발매된 지 8개월이 다 되가는 시점에서도 멜론 일간 차트와 주간차트에서 40위대 중후반에 계속 머물고 있다. 그동안 레드벨벳이 발매한 노래 중에서도 정말 역대급 롱런을 기록하고 있다. 이 추세대로라면 2020년 멜론 연간 차트 9~10위가 예상되고 있어, 레드벨벳의 연간 차트 자체 커리어 하이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기존]

다양한 가수들의 곡이 쏟아지며 50위 대 중반까지 순위가 하락했지만, 다시 가을이 찾아오며 순위와 이용자 수를 점차 회복하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 노래 분위기가 가을, 겨울에 어울리고 그러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20년 가온 연간차트 9위, 멜론 연간차트 10위를 차지했다.

그간의 레드벨벳 음원들은 애매한 컴백시기 및 부족한 뒷심으로 성공과는 별개로 연간차트에서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다. 멜론 기준 무려 445일동안 차트인한 빨간맛 역시 멜론 2010년대 차트 29위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연간차트에서의 순위는 24위(2017년), 57위(2018년)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Psycho는 적절한 컴백시기 및 꾸준한 화력으로 3세대 1군 걸그룹들 중에서 유일하게 연간 최상위권에 들지 못했던 레드벨벳한테 첫 연간 탑텐을 안겨주었다.


6.1.1. 스포티파이[편집]


'Psycho' 스포티파이 국가별 순위
대륙국가1주차2주차3주차4주차5주차6주차7주차8주차9주차10주차
아시아일본(JP)미진입131위195위OUT
홍콩(HK)16위1위5위11위14위15위17위18위23위42위
대만(TW)47위3위10위18위25위36위36위41위52위73위
태국(TH)1위1위1위1위1위2위3위5위9위14위
인도네시아(ID)11위2위3위5위6위6위8위10위13위15위
필리핀(PH)48위12위14위15위24위34위44위49위48위72위
베트남(VN)1위1위1위3위4위5위5위7위8위26위
말레이시아(MY)12위3위5위5위7위9위13위15위17위30위
싱가포르(SG)11위2위3위5위6위7위7위13위16위21위
북미캐나다(CA)미진입156위OUT
유럽불가리아(BG)미진입188위OUT

  • 2023년 6월 28일 4억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이로써 단일곡으로 4억 스트리밍에 돌파한 SM 최초의 아티스트가 되었다.

〈'The ReVe Festival' Finale〉 現 써클차트[7] 음반 판매량
기간판매량누적 판매량
2019년12월104,729104,729
연간104,729
2020년1월29,991134,720
2월7,941142,661
3월2,194144,855
연간40,126
2021년1월4,700149,555
2월24,968174,523
3-6월6,318180,841
7월13,449194,290
연간49,435
2022년1-5월74,696[8]268,986
6-8월290269,276
9월129,698398,974
10-12월281399,255
연간204,965
총 판매량399,255장

〈'The ReVe Festival' Finale>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차트 판매량
기간순위판매량누적 판매량
1주차 (2019.12.23~12.29)24위3,7183,718
2주차 (19.12.30~20.01.05)51위1,2044,922
3주차 (2020.01.06~01.12)3325,254
4주차 (2020.01.13~01.19)3675,621
5주차 (2020.01.20~01.26)4826,103
6주차 (2020.01.27~02.02)2966,399
7주차 (2020.02.03~02.09)3786,777
8주차 (2020.02.10~02.16)2457,022
9주차 (2020.02.17~02.23)1817,203
10주차 (2020.02.24~03.01)2397,442
12주차 (2020.03.09~03.15)1577,599


7. 여담[편집]


  • 빨간 맛과 Power Up이 여름에 역주행을 하듯 이 노래는 겨울만 되면 순위가 상승한다.
  • 가사를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Psycho'같은 두 사람의 사랑을 담았으나 '눈물이 난다', '울컥한다'라는 감상평을 남기는 리스너들도 꽤 많다. 팬들은 아마 마지막에 몰아치는 곡의 구성과 'Hey now we’ll be ok (we'll be ok)'라는 가사때문이 아닐까 추측하는 편이다.
  • 가사의 내용때문에 창작물이나 대중매체 속 애증관계의 커플들을 보면 'Psycho 가사 같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실제 커플이긴 하지만 환승연애2 출연진 커플인 남희두, 이나연 커플이 프로그램 속 보여준 관계성이 이 곡의 가사와 닮았다고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음원 발매 수일 전, 유튜브에 영어 가사로 불린 Psycho 데모버전 영상이 유출됐었다. 지금의 음원에서 악기 몇개가 빠져있고, 키도 약간 낮은 버전이다. 유출 음원의 길이는 곡의 시작부터 두 번째 후렴 뒤의 브릿지 이전까지 잘린 부분이다.
  • 뮤직비디오에 깔리는 음원과 음원 사이트 등에 유통되는 Psycho 음원은 사운드에 차이가 있다. 전자가 후자보다 사운드 질감이 좀 더 강하며 스트링 사운드도 추가되어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의도를 아직까지는 알 수 없으나, 이수만 회장이 직접 의도적으로 달리 들리도록 편곡을 지시한 것이라고 한다. 부우웅 뮤직비디오에서 좀 더 극적인 청각 효과를 줌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독특하고 센 사운드의 선호도가 높은 해외 팬들, 이지 리스닝의 선호도가 높은 국내 팬들 모두를 위한 조치로 보인다.
  • 제목을 비롯한 가사의 일부분과 랩의 일부 구절은 데모버전의 가사를 따왔다. (I don’t play the game, I'm original visual 등) 이는 외국곡에 우리말을 입혀 작사를 하는 작업 특성상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 이 곡은 발매 2일만에 SBS 가요대전 웬디 추락 사건으로 사실상 방송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놀라운 토요일의 93회 받아쓰기 문제로 출제되었다. 출제 파트는 슬기조이의 '우린 아름답고 참 슬픈 사이야 서로를 빛나게 해 (Tell me now) 마치 달과 강처럼'이다. 출연진들 모두 여느때와 같이 잘 들리지 않는다며 탄식했지만 mc인 붐은 '(슬기가) 거의 아나운서처럼 불렀다'며 칭찬했고, 최종적으로 정답을 맞힌 출연진들이 가사와 함께 다시 들어보는 과정에서 정말 잘 들린다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덕분에 슬기의 딕션이 소소하게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The ReVe Festival' Finale 문서의 r6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The ReVe Festival' Finale 문서의 r6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2 11:44:33에 나무위키 Psycho(Red Velve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중 소녀시대, EXO에 이어 세 번째로 2억 뷰 뮤직비디오 2개를 보유한 가수가 되었으며, 10개월차 2억 뷰를 달성한 엑소의 LOVE SHOT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른 2억 뷰 돌파 기록이다.[2] 다만, EXOLOVE SHOT이 세운 616일차 3억 뷰 기록은 11일 차이로 넘어서지 못하면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 최단 기록 경신에는 실패했다.[3] 심지어 자그마치 무활동 지상파 3사 트리플크라운이다.[기간] 멜론 : ~2020년 12월 6일(일)
가온 : ~ 2021년 3월 13일(토)
[4] 스트리밍, 다운로드, BGM 판매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집계 후 가온지수를 발표한다.[5] 스트리밍, 다운로드, BGM 판매량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집계 후 가온지수를 발표한다.[6] 발라드 강세의 차트+음원 사재기가 많아서 걸그룹이 빛을 보기 힘들었던 2019년 끝자락의 기록이여서 더욱 더 의미가 깊다.[기존] 커리어 하이는 빨간 맛 , 21위이다.[7] 2022년 7월 7일부터 가온차트에서 써클차트로 개편.[8] 2022년 5월 판매량은 74,697장이지만 2022년 1-5월 누적 판매량은 1장 적은 74,696장이므로 누적 판매량으로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