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라 압둘

덤프버전 : (♥ 0)

폴라 압둘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그래미 어워드
1회 수상

[1]


[ 1위 – 125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엘튼 존머라이어 캐리마돈나
6위7위8위9위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테일러 스위프트스티비 원더시카고
11위12위13위14위15위
휘트니 휴스턴폴 매카트니엘비스 프레슬리자넷 잭슨로드 스튜어트
16위17위18위19위20위
드레이크프린스리아나빌리 조엘가스 브룩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허브 앨퍼트에미넴어셔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슈프림즈이글스비 지스비치 보이스플리트우드 맥
31위32위33위34위35위
산타나템테이션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홀 앤 오츠
36위37위38위39위40위
아델비욘세에릭 클랩튼라이오넬 리치레드 제플린
41위42위43위44위45위
브루노 마스존 덴버마룬 5올리비아 뉴튼 존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필 콜린스다이애나 로스밥 딜런존 멜렌캠프JAY-Z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나 서머니켈백보이즈 투 멘카펜터즈저스틴 비버
56위57위58위59위60위
레이디 가가포리너브리트니 스피어스핑크앨리샤 키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케이티 페리마일리 사이러스잭슨 파이브어스 윈드 앤 파이어마빈 게이
66위67위68위69위70위
U2린다 론스태드밴 헤일런밥 시거에어로스미스
71위72위73위74위75위
블랙 아이드 피스넬리캐롤 킹저스틴 팀버레이크몽키즈
76위77위78위79위80위
케니 로저스하트팀 맥그로배리 매닐로R. 켈리
81위82위83위84위85위
저니사이먼 앤 가펑클마이클 볼튼에드 시런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핑크 플로이드메리 제이 블라이즈카니예 웨스트쓰리 도그 나이트
91위92위93위94위95위
코모도스폴라 압둘브라이언 아담스크리스 브라운건즈 앤 로지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데프 레파드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린킨 파크제임스 테일러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101위102위103위104위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폴 사이먼백스트리트 보이즈릴 웨인캐리 언더우드
106위107위108위109위110위
앤디 윌리엄스스틱스조지 마이클셰어TLC
111위112위113위114위115위
샤니아 트웨인두비 브라더스포 시즌스피터 폴 앤 메리케니 체스니
116위117위118위119위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50 센트레이 찰스제네시스더 폴리스
121위122위123위124위125위
래스컬 플래츠루다크리스글로리아 에스테판조지 해리슨앨런 잭슨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앨범,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여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테일러 스위프트케이티 페리다이애나 로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도나 서머코니 프랜시스비욘세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레이디 가가디온 워윅
21위22위23위24위25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트셀린 디옹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아델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
31위32위33위34위35위
모니카
헬렌 레디
신디 로퍼니키 미나즈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
36위37위38위39위40위
메리 제이 블라이즈티나 터너케샤데비 깁슨시나 이스턴
41위42위43위44위45위
칼리 사이먼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
46위47위48위49위50위
나탈리 콜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팻 베네타에이브릴 라빈조디 워틀리샤카 칸페이스 힐
56위57위58위59위60위
미시 엘리엇에이미 그랜트스티비 닉스캐롤 킹쥬스 뉴턴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 펼치기 · 접기 ]

이름폴라 압둘
Paula Abdul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1991년 12월 4일
위치7021 Hollywood Blvd.




[1] 1991년(33회) 최우수 뮤직 비디오상 - "Opposites Attract"

폴라 압둘
Paula abdul
파일:paula.png
본명Paula Julie Abdul
폴라 줄리 압둘
출생1962년 6월 19일 (62세)
미국 캘리포니아 주 산페르난도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안무가, 배우, 방송인
활동1978년 - 현재
데뷔1988년 싱글 'Knocked Out'
신체152cm[1]
장르댄스 팝, 뉴 잭 스윙, R&B
학력밴 나이즈 고등학교 (졸업)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노스리지 캠퍼스 (방송학 / 학사)
부모아버지 해리 압둘
어머니 로레인 M. 압둘
형제언니 웬디 압둘(1955년생)
배우자에밀리오 에스테베즈(1992-1994년: 이혼)
브래드 베커만(1996-1998년: 이혼)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1. 개요
2. 커리어
2.1. 가수 데뷔 이전
2.2. 1988~1994
2.3. 1995~2001
2.4. 2002~현재
3. 디스코그래피
3.1. 앨범
3.2. 싱글
4. 여담



1. 개요[편집]


파일:PAULA2020.jpg

LA 레이커스 치어리더 출신 안무가 겸 가수, 방송인.

마돈나, 자넷 잭슨, 카일리 미노그[2]와 더불어 1980~90년대를 대표하는 댄스 가수이다. 데뷔 이전에는 잭슨 가[3]에 의해 발탁되어 The Jacksons, 자넷 잭슨을 비롯한 유명 아티스트들의 안무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떨쳤다. 90년대 중반 이후 건강 이상으로 활동을 중단해 하락세를 겪었지만[4], 2002년부터 아메리칸 아이돌 심사위원을 맡으며 엔터테이너로서 활약하고 있다.

4 년에 걸쳐[5]에 6개의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만들며, 짧지만 굉장히 임팩트 있는 전성기를 누린 가수이다.[6]


2. 커리어[편집]



2.1. 가수 데뷔 이전[편집]


폴라 압둘은 LA 레이커스 치어리더로 활동하던 중, 경기를 관람하러 온 The Jacksons의 멤버인 잭슨 형제들에 의해 안무가로 발탁되었다. 1984년 잭슨스의 <Torture> 뮤직비디오와 투어의 안무를 담당했으며, 이후 1986년 자넷 잭슨의 3집 Control 싱글인 <What Have You Done for Me Lately>, <Nasty>, <Control>의 안무를 담당했고, 뮤직비디오에 카메오로 출연하기도 했다. 자넷의 3집은 대성공을 거두며, 비디오 댄스계에서 폴라의 명성도 조금씩 높아져갔다.

잭슨가 이외에도 듀란 듀란, 조지 마이클, ZZ TOP 등 유수의 아티스트들과의 작업을 하기도 했다. 동시에 1987년 부터 폴라는 안무가로서의 수입으로 데모곡을 만드는 등, 가수의 꿈을 키워나갔다. 이후 자넷의 도움으로 Virgin Record와 계약에 성공했고, 보컬 코칭을 받으며 가수로서 데뷔를 준비한다.

2.2. 1988~1994[편집]


1988년 5월 싱글 Knocked Out을 발매했지만, 빌보드 싱글차트 41위를 기록하며 소소한 반응을 얻는다. 이후 동년 6월 1집 <Forever Your Girl>을 발매하고, 8월에 발매한 싱글 <(It's Just) The Way That You Love Me> 역시 빌보드 핫 100 88위를 기록하며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그렇게 저조한 반응을 얻던 중 발매한 세번째 싱글 <Straight Up>은 빌보드 핫 100 1위, UK 차트 3위를 비롯, 세계 각국 차트의 Top 5에 들며 초대박을 치고, 폴라의 커리어의 큰 전환점이 된다.[7]



이듬해 1989년 발매된 싱글 <Forever Your Girl>, <Cold Hearted>, <Opposites Attract>이 모두 빌보드 1위를 차지하는 대기록을 세웠고, 2번째 싱글이었던 <(It's Just) The Way That You Love Me> 역시 재발매되어 3위를 기록한다.





1집 앨범 역시 싱글의 인기에 힘입어 날개 돋친듯 팔리기 시작했는데, 빌보드 200에서 10주 1위, 64주 동안 차트인하며 미국에서 700만장, 세계적으로 1천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렸다. 1989년 빌보드 연말 차트에 무려 3곡[8]이 차트인 되며 최전성기임을 입증했다. 이후 제 32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Opposites Attract가 최우수 뮤직비디오 부문을 수상하며, 첫 그래미상을 수상한다. 1집의 대성공으로 폴라는 각종 매체에서 마돈나, 자넷 잭슨, 카일리 미노그와 함께 80년대 댄스여왕으로 거론되기 시작한다.

1991년 3월, 2집 발매전 선싱글 <Rush Rush>을 공개하였다.


[9]

이전의 업템포 댄스 장르가 아닌 차분한 R&B 곡으로, 새로운 시도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하였다. 5월 발매된 2집 <Spellbound>는 1집에 비해 R&B, 힙합 소울 등 보다 다양한 장르가 수록되었다. 앨범은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하며 성공의 포문을 열었다. 이후 2집 2번째 싱글인 <The Promise of a New Day>는 빌보드 1위를 기록했고[10], <Blowing Kisses in the Wind>는 6위, <Vibeology>는 16위, <Will You Marry Me?>는 19위를 기록하는 등 연이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앨범은 미국에서 300만장, 세계적으로 70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1991년 2집 활동과 동시에 첫 월드투어인 Under My Spell Tour를 개시하였다. 북미, 호주를 비롯해 아시아를 방문하였으며, 투어의 일환으로 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에서 내한 공연도 가졌다.당시 입국을 보도한 뉴스영상 [11][12]

2.3. 1995~2001[편집]


2집 이후 건강 문제 등으로 공백이 길어졌고, 3집은 1995년이 되어서야 발매된다. 1995년 3월 발매한 선싱글 <My Love Is for Real>은 빌보드 핫 100 28위를 기록하며 다소 아쉬운 성적을 얻는다. 이후 발매된 싱글 <Crazy Cool>은 58위, <Ain't Never Gonna Give You Up>은 차트인에 실패한다. 앨범 역시 빌보드 200 최고 순위 18위, 미국에서 50만장이 팔리며 저조한 성적을 거둔다.[13]

1997년에 발표하려 한 4집은 모종의 이유로 무산되었는데, 이 때 만들었던 곡이 카일리 미노그의 'Spinning Around'이다. 이 노래는 2000년 카일리 미노그에 의해 발매되면서 카일리의 재기곡이 된다. 카일리의 재기에 어느정도 기여를 한 셈이다.

이후 90년대 후반에는 아메리칸 뷰티를 비롯한 영화에 안무제작 역할을 맡는다.

2000년에는 베스트앨범인 Greatest Hits를 발매하지만, 미국에서 10만장이 팔리는 등, 저조한 반응을 얻는다.

2.4. 2002~현재[편집]


이렇게 90년대 중반 이후 하락세를 겪던 폴라 압둘은 2002년부터 아메리칸 아이돌의 심사위원을 맡게 되며 커리어의 부활을 알린다. 폴라는 시즌 1- 8까지 심사 위원을 맡으며 엔터테이너로서 유명세를 떨치게 된다. 참고로 폴라 압둘은 아메리칸 아이돌 여성 심사위원 중에 가장 오랜 기간 심사위원을 맡은 출연자로 기록되었다.[14][15]

2008년 랜디 잭슨과 함께 한 'Dance Like There's No Tomorrow'로 12년만에 싱글을 발매했는데, 빌보드 핫 100 차트인에도 성공하면서 건재함을 드러냈다.

2019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의 마지막 무대를 장식했다.

3. 디스코그래피[편집]



3.1. 앨범[편집]


Paula Abdul 앨범 차트인 기록
연도앨범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파일:오리콘 로고.svg비고
1988Forever Your Girl#1#3#951집
1991Spellbound#1#4#122집[16]
1995Head over Heels#18#61#323집

3.2. 싱글[편집]


Paula Abdul 싱글 차트인 기록
연도곡명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비고
1988Knocked Out#41#21
(It's Just) The Way That You Love Me#3[17]#74
Straight Up#13주#3
1989Forever Your Girl#12주#24
Cold Hearted#11주#46
Opposites Attract#13주#2[18]
1991Rush Rush#15주#6
The Promise of a New Day#11주#52
Blowing kisses in the wind#6-
Vibeology#16#19
1992Will You Marry Me?#19#73
1995My Love Is for Real#28#28
Crazy Cool#58-
1996Ain't Never Gonna Give You Up-[19]
2008Dance Like There's No Tomorrow#62[20]
2009I'm Just Here for the Music#87


4. 여담[편집]


  • 어렸을 적 자신을 돌봐준 베이비시터가 바로 오빠 친구인 마이클 볼튼이었다. 훗날 마이클 볼튼이 그래미상을 받을 때 패트릭 스웨이지와 함께 시상한 사람이 바로 폴라 압둘이었다.

  • 90년대 중반 이후 가수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고, 2000년대 들어 아메리칸 아이돌 심사위원으로 다시 유명해졌기 때문에, 미국 신세대 사이에서는 폴라가 가수였다는 사실을 몰랐던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 이름 때문에 아랍인으로 오해를 받는데 아버지가 시리아에서 태어나고 브라질에서 자란 유대인이고 엄마는 캐나다에서 자란 유대인이다. 그런데 아버지는 자신을 유대인이자 아랍인이라고 자칭했으며, 따라서 폴라 압둘은 자신은 반은 유대인이자, 반은 아랍인이라고 자칭한다. 그리고 그게 꼭 틀린 말은 아니다. 외부인들의 시선에서, 혹은 이슬람교를 믿는 아랍인들 입장에서는 이슬람교를 믿어야만 아랍인이라고 생각하기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아랍인 기독교도, 아랍인 유대교도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아라비아에서 꾸준히 박해받으면서 터잡고 살아온 유대인이나 기독교인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인종적으로는 수백년간의 혼혈로 인해 구분이 거의 불가능하다. 물론 전자의 아랍인은 인종단위의 구분이고 후자의 유대인은 종교상의 구분이라 이를 섞어서 반반이라고 표현하는게 적절치 않다고 보는 사람도 있다. 사실 현지에서는 그녀에 대한 별 관심이 없기는 하지만 아는 사람들은 아랍인 코스프레하는 순수 유대인이라고 적대적으로 보는 시선이 많지만 유대인의 규정 자체가 가지는 이중적 성격 때문에 그렇게 자칭하는게 잘못된 것만은 아니다.

  • 영화 <못말리는 비행사>에서 극중 주인공 찰리 쉰이 폴라 압둘 어떠냐?는 무선을 이라크군 조종사에게 하는데 이라크군 공군조종사 둘이 "폴라?" "압둘?" 이라고 서로 한 마디씩 하며 그게 누구냐는 듯이 말한다. 즉 이름 가지고 아랍인으로 알고 통신으로 폴라 압둘 아냐? 라고 한 농담인데 정작 이라크군 둘은 그게 누구냐는 듯이 반응한 셈.

  • 다이어트를 위해 식욕 때문에 아예 냉장고에 열쇠를 채우고 24시간 입주 영양사에게 열쇠를 준 후, 영양사와 트레이너가 허락해서 꺼내준 음식만 먹기도 했다.


  • 17살 때 치어리더로 활동하다 사고를 당해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에 시달린 적이 있다. 다행히 각고의 노력과 치료 덕분에 96% 정도 회복되었다고 한다.

  • 치어리더 경력을 살린 화려한 아크로바틱 퍼포먼스로 유명하며, 탭댄스에도 능숙하다. 이러한 퍼포먼스는 그녀의 뮤직비디오를 더욱 유명하게 만들었으며, 부족한 가창력을 커버할 수 있었다.[21]

  • 공백에 대해 투어 도중 비행기 사고때문에 부상을 당했다고 주장하지만, 저 영상에 따르면 거짓말을 하는 것이 명백히 드러난다. 폴라 압둘은 1993년 투어 도중에 비행기 사고가 일어났고, 허리 수술을 10~15번 받았다고 한다.[22] 일단 1993년에는 투어를 다니지 않았다. 그리고 여러 인터뷰에서 1993년부터 10년동안 허리 수술을 받았다고 했지만, 1994년에 댄스 강좌 영상을 내놓았고, 1995년에 앨범을 내놨다. 결정적으로, 항공기 사고 사건들을 등록해놓는 웹사이트에는 그녀가 주장하는 날짜에는 비행기 사고가 없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몇몇 사람들은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때문에 복용한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이 그녀가 지속적으로 거짓말을 하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영상의 11분 30초 경을 보면 실실 웃거나 동문서답을 하는 모습을 볼수 있다.



  • 50 중반이 넘은 현재까지도 춤 실력이 건재하다. 립싱크배틀에서 배우 제나 드완[23]과 함께 히트곡 Cold Hearted를 공연했는데, 날렵하며 건재한 댄스실력으로 호평이 자자하다.


  • 자넷 잭슨과는 현재까지도 매우 좋은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라이벌로 부각되었던 최전성기에도 서로의 행보를 응원했다.

  • 미국 애니메이션 패밀리 가이에 특별출연 한적이 있다. 본인의 히트곡 Opposite Attract를 패러디했다.


  • 2021년 아메리칸 아이돌에 코로나에 걸린 루크 브라이언을 대신하여 일회성 게스트 심사위원으로 참여, 아메리칸 아이돌에 12년만에 출연했다. 케이티 페리, 라이오넬 리치와 함께했다.

  • 키가 152cm로 작은 편인데, 작은 키가 핸디캡이 되어 치어리더 오디션에서 번번이 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끈기 있는 노력 덕에이후 LA 레이커스의 치어리더가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4:12:49에 나무위키 폴라 압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카일리 미노그와 키가 같다.[2] 카일리는 미국보다는, 영국이나 호주, 유럽 등에서 인기가 많았다.[3] 마이클 잭슨의 '잭슨'가가 맞다.[4] 반면, 마돈나와 자넷은 2000년대까지 1위곡을 만들며 롱런한다.[5] 1988년~1991년[6] 짧은 전성기를 누렸음에도 빌보드 선정 올타임 순위 아티스트에 꼽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7] 재밌는 사실은, 두번째 싱글까지는 소속사의 입김에 의해 발매되었지만, 세번째 싱글인 <Straight Up>은 소속사의 반대에도 폴라가 끝까지 밀어붙여 발매했고, 대성공을 거두었다는 점이다. 폴라의 음악적 안목을 알수 있는 부분.[8] <Straight Up>, <Forever Your Girl>, <Cold Hearted>[9] 뮤직비디오에 낯익은 얼굴이 보인다[10] 폴라의 6번째 빌보드 핫 100 1위곡이자, 마지막 1위곡.[11] 당시 서방가수의 내한공연이 그렇게 흔하지도 않았고, 공연이 당시 한국기준으로서는 상당히 선정적이었기에 기사에 보도되는 등 나름 화제가 되었다. 물론 동 시기 마돈나의 공연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또한, 동년 뉴키즈온더블록 내한 사고로 인한 영향으로, 학생의 경우 부모님과 동반 관람을 해야했다. 아쉽게도 서울 투어 영상은 찾아볼 수 없고, 유튜브를 통해 요코하마 공연은 찾아볼 수 있다.[12] 특이한 점으로는, 당시 서방권 가수로는 드물게 아시아 투어 중 일본을 제외한 국가들을 골고루 방문한 점. 90년대 초반만 해도 아시아 공연=일본 공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13] 눈 여겨볼 점은, 95년은 당시 톱 여가수로 꼽히던 폴라를 비롯한 머라이어 캐리, 휘트니 휴스턴, 마돈나, 자넷 잭슨 5명 모두가 앨범을 낸 해라는 점이다. 아쉽게도 폴라의 앨범은 여기서 유일하게 실패한 앨범이 된다.[14] 2002-2009년[15] 이렇다보니 젊은 세대들에게 인지도는 꽤 있는 편이지만 폴라 압둘이 가수 활동을 했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16] 데이브 펜사도가 엔지니어로 참여했다.[17] 88년에 발매한 오리지널 판은 88위에 그쳤지만, 89년 재발매 판으로 3위를 기록했다.[18] With The Wild Pair[19] 버블링 언더 #12[20] With Randy Jackson[21] 치어리더 출신이라 댄스 실력에 비해 가창력이 좋은 편은 아니었으며, 무대에선 립싱크를 자주 했다. 그러나 퍼포먼스 없이 부르는 곡들은 라이브로 무난하게 소화 가능했다.[22] 인터뷰한 매체마다 말이 다르다.[23] 영상을 보면 춤선과 댄스실력이 상당히 뛰어난데, 폴라도 그랬듯 데뷔전 자넷 잭슨의 백댄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