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Gaming
(♥ 0)
||1. 개요[편집]
2022년 1월에 설립된 Microsoft의 비디오 게임 사업부. 매출 규모로는 전세계 TOP 3 안에 들고 고용 규모로는 전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사이며, 콜 오브 듀티 시리즈, 포르자 시리즈, 엘더스크롤 시리즈 등 다수의 10억 달러 클럽 게임을 보유한 대표적인 게임계의 메가코프[6] 다.
Xbox 콘솔, Battle.net, 엑스박스 클라우드 게임 등을 자체 플랫폼으로 두고 있으며 비디오 게임 개발의 중추석인 DirectX와 하복 엔진, 백엔드 플랫폼 PlayFab, Windows 운영체제에 기본으로 탑재된 Xbox 기능 등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Microsoft Windows의 기본 제공 게임인 지뢰 찾기도 해당 사업부에서 제작하고 배급한다.
2. 상세[편집]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소식을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자체 기업구조를 갖춘 게임 담당 신설 자회사가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게이밍사업부' 부서 총괄 부사장의 직함이였던 필 스펜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CEO로 승진되었음이 발표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CEO 승진한 필 스펜서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대해 애널리스트 숀 매킬로이가 분석하여 트윗을 공개하였는데 아래에 대해서 분석한 내용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 필 스펜서의 직함이 '게이밍사업부 총괄부사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이라는 신설 자회사의 CEO의 승진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한 부서에서 분리되어 게이밍사업를 진행 및 지휘감독할 자체적인 기업구조를 갖춘 회사의 사장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함.
*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은 앞으로도 게이밍사업 운영을 위해서 모회사인 마이크로소프트로부터 자금을 계속 지원은 받게 되지만, 실적 및 분기 보고에서는 'MS 전체 분기 사업 실적 중 한 부분'이 아닌 "'MS 게이밍' 자회사의 실적 및 분기 보고'로 분리 공개된다고 함.
*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에 들어가는 전반적인 비용에 대해서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재무감사가 더욱 증가한다는 의미지만, 앞으로는 H/W 기기 판매 수치 혹은 엑스박스 게임패스 얼티밋 구독자 수치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더 정확한 수치가 정기적으로 발표될지도 모름.
*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 자회사 내 리더십 담당 임원 중 게이밍 생태계 조직 담당 CVP인 세라 본드는 이 새로운 게이밍 시대에서 주목해야 할 임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함.
마이크로소프트가 e스포츠 플랫폼인 Smash.gg를 인수했을 때, Xbox Game Studios가 인수했을 것이라 생각한 사람이 많았으나 Smash.gg는 웹 공간에 E스포츠 허브를 만들려고 했던 MSN 팀이 인수했다. Smash.gg 인수에 관한 기자의 질문에, 엑스박스 팀은 우리들이 인수한게 아니라는 답변을 내놨다. #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가 성사되면, 메이저 리그 게이밍을 산하 조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팀 엑스박스도 e스포츠 전문 조직을 지니게 된다.
이후 업데이트된 리더십 임원진 명단으로인해, 액티비전 블리자드와 그전에 인수되었던 제니맥스 미디어, 그리고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들은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의 지배 아래에 놓인것으로 확인되었다.
2.1. 담당 분야[편집]
마이크로소프트의 사내 문화는 산하 사업부들이 엄청 폐쇄적이고 서로간에 굉장히 적대적인 자세를 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때문에 사업부의 관할 영역을 벗어나는 일들은 개입하기가 엄청 힘들다.[7] 사람들이 생각하는 MS의 조직문화
지뢰 찾기, Microsoft Solitaire & Casual Games 등 유명 Windows 게임을 개발 및 관리하는 Microsoft Casual Games를 산하 독립 스튜디오로 두고 있다. 게임의 퍼블리싱은 Xbox Game Studios가 전담한다. 지뢰찾기 등 과거 Windows 내장 게임 관련 실물 상품은 Xbox 샵에서 판매한다.상품 구매
하복 엔진이 유명한 게임 물리엔진이라 이곳에서 관리할 것이라 오해하기 쉬운데, 하복 엔진 개발은 DirectX 팀이 주도하고 있다. 다만 하복엔진 개발팀이 슬립스페이스 엔진 개발에 동원된 것을 보면, 사업부간 기술 지원 및 개발 협력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Windows 10 / Windows 11 PC 환경에서의 게이밍 ESD 앱인 '윈도용 Xbox 앱'은 팀 엑스박스가 전담하지 않고 MS의 온갖 부서들이 다 발을 담구고 있다고 한다. 기능이랑 디자인 개발이 여러 부서에 쪼개져 있는 상태라 그런지, 앱의 기능 부족과 불안정성으로 악명이 높다.#
3. 역사[편집]
2021년, 베데스다를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수함으로서 엑스박스는 FPS와 RPG 장르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갖게 되었다. 고전 FPS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둠, 울펜슈타인, 퀘이크를 모두 보유하게 됐고 헤일로 역시 아직 건재하고 id 소프트웨어의 레이지까지 포함해 굵직한 FPS IP만 5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RPG같은 경우 해당 장르에서 가장 큰 파급력을 갖는 엘더스크롤과 폴아웃은 물론, 옵시디언이 개발하고 있는 아우터 월드 2와 어바우드, 인엑자일의 차기작, 플레이그라운드의 페이블과 같은 시리즈를 보유하게 되면서 서구권 RPG 애호가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2022년 초반부터 그야말로 광폭적인 행보로 게임 시장을 장악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한화 82조에 인수를 발표하였다.
2022년 1월 18일,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의 모회사인 제니맥스 미디어 그룹사를 인수한 금액인 75억 달러의 10배에 가까운 시한폭탄성 뉴스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어느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게임업계 사상 역대급 최고갱신 인수금액인 687억 달러로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한다는 광폭성 충격 속보를 발표하였다. 이는 기존 LinkedIn의 인수 금액인 31조원을 제치고 MS 역사상 최대 M&A 사업이고, 이로써 엑스박스 게임패스로 콜 오브 듀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디아블로라는 거대 게임 시리즈를 플레이 해볼 수 있게 되어, 그 어느 회사보다 막강한 최고의 퍼스트 파티 라인업을 갖춤과 동시에 게임 패스의 가치도 덩달아 미친 듯이 올라갈 전망이다. 특히 FPS 장르에서는 헤일로, 둠, 울펜슈타인, 퀘이크, 콜 오브 듀티, 오버워치 등 굉장히 유명하고 막강한 라인업의 게임 IP를 갖추게 되었다. 또한 RPG 장르에서도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 옵시디언 엔터테인먼트, 인엑자일 엔터테인먼트의 정통 RPG만이 아니라 액션 RPG의 시작과 끝으로 평가받는 디아블로와 왕좌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까지 손에 쥐었다.[8]
2023년,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인수가 확정된 이후 게임 패스로 콜 오브 듀티,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오버워치, 디아블로라는 거대 게임 시리즈들을 보유하게 되었고, 특히 FPS 장르에서는 대체재가 없다고 해도 될 정도로 막강한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헤일로, 둠, 울펜슈타인, 퀘이크, 콜 오브 듀티, 오버워치와 같은 FPS 게임 팬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파급력 있고 유명한 IP를 대거 보유하게 된 셈이다.
3.1. 닌텐도와의 관계[편집]
SIE와 마찬가지로 닌텐도도 MS로서는 업계의 라이벌로 여겨졌으나 사실 창립 이래로 그렇게까지 큰 라이벌 관계는 아니었다. 닌텐도 미국 지사가 Microsoft 본사가 있는 레드먼드에 회사 건물 바로 앞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Microsoft가 Xbox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닌텐도 미국 지사에서 끌어온 프로듀서들이 더럿 있고, 이런 사람들이 가교를 놓아준 덕인지 Microsoft의 게임이 휴대용 콘솔인 게임보이 어드밴스나 닌텐도 DS로 여럿 이식, 출시되기도 했으며,[9] 개중에는 비록 개발 중단되긴 했으나 Xbox에서의 마리오 포지션인 헤일로 시리즈의 신작까지 있었다. 대표적으로 레어 인수 이후인 2003~2005년에 이루어진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GBA 리메이크나 2007년에 디디콩 레이싱의 DS 리메이크 작이 있는데, 리메이크 제작을 전부 레어에서 담당했다. 만약 두 회사 간에 사이가 나빴으면 리메이크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협력은 이후로도 계속해서 이어져, 2010년대 초중반에는 닌텐도가 주도하던 인디 육성 정책이 Xbox Game Studio로 그대로 옮겨오기도 했고,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Microsoft가 Nintendo Switch로 Xbox Live와 Xbox Game Pass 서비스를 옮겨 오려 하는 등 상호 벤치마킹과 각종 대화가 굉장히 긴밀하게 이어져 오고 있었다. 그러다가 Nintendo Switch판 마인크래프트에서 Xbox Live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게다가 SIE의 PlayStation 4 오토메 게임 검열 강화는 닌텐도와 Microsoft의 우정(?)이 돈독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로 걸건 시리즈의 경우 걸☆건 2는 Xbox 플랫폼에 발매되지 않았지만 걸☆건 리턴즈는
Xbox와 닌텐도의 콘솔의 지향점도 정 반대인데다 Microsoft는 공개적으로 닌텐도는 더 이상 경쟁 업체가 아니라고 선언했고, 닌텐도도 자사 IP를 활용한 미디어 믹스 사업으로 확장을 하고 있는만큼 앞으로 협력 관계를 이어갈 확률이 높다.
3.2. 게임 독점 방향성[편집]
마이크로소프트 게이밍이 조만간 엑스박스 콘솔 독점작을 플레이스테이션이나 닌텐도에도 출시할 것이란 루머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A급 인사이더들 모두가 똑같이 말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적인 발표가 없다 보니 진위 여부는 불투명하다. 클라우드 게이밍 서버 블레이드 교체도 있기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차기 콘솔 설계를 계속할 가능성은 높고, 제니맥스 인수 후 스타필드를 비롯한 베데스다 계열 게임들의 엑스박스 독점을 못박았던 전적이 있다보니, 설령 일부 엑스박스 퍼스트파티 계열 IP 중에서 마인크래프트,콜 오브 듀티 시리즈[12] , 엘더스크롤 온라인처럼 인수되기 전 타사 플랫폼으로 출시되었고 향후에도 멀티플랫폼을 공언했던 게임들을 제외한 엑스박스 독점 게임이 멀티플랫폼으로 전환되더라도 씨 오브 시브즈와 같은 발매된지 오래된 라이브 서비스 게임에 한해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13]
현지 시각으로 2024년 2월 15일, 산하 스튜디오의 재정 건전성을 보고 '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게임', '원래 독점 계획이 없었던 소규모 게임'을 추려서 다른 콘솔로도 출시하고 나머지 게임들의 콘솔 독점은 유지하겠다고 공언했다. 차기 게임의 독점 기준을 알렸다는 점에서 참고할 만하다. Sea of Thieves(커뮤니티가 주도하는 게임), Hi-Fi Rush(원래 독점 계획이 없었던 소규모 게임), 펜티먼트(원래 독점 계획이 없었던 소규모 게임)의 독점 해제가 유력하며, 스타필드, 인디아나 존스: 그레이트 서클의 독점 해제 및 타 콘솔 출시는 없다고 못박았다.
4. 주요 산하 회사[편집]
![파일:Xbox Game Studios developer.jpg](http://obj-temp.the1.wiki/data/58626f782047616d652053747564696f7320646576656c6f7065722e6a7067.jpg)
![파일:Xbox 퍼스트파티 조직 구성도.jpg](http://obj-temp.the1.wiki/data/58626f7820ed8dbcec8aa4ed8ab8ed8c8ced8bb020eca1b0eca78120eab5acec84b1eb8f842e6a706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