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그룹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LS그룹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계열사
LS (LS전선(LS머트리얼즈(LS알스코) · 가온전선) · LS ELECTRIC(LS메탈) · LS엠트론) | LS니꼬동제련 | E1 (LS네트웍스(프로스펙스 · 이베스트투자증권) ) | 광영토건 | 남광건설산업 | 남양개발 | BY월드 | 예스코 | Superior Essex



LS
엘에스
파일:LS그룹 로고.svg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다국적 기업)
창립일1962년 5월 15일 (62주년)
분리일2003년 11월 11일
창업주구인회
회장구자은[1]
본사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92(한강로동)
분야전선, 전력설비, 금속, 에너지
규모대기업
유형복합기업, 기업집단
매출액17조 4,913억 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5,616억 원(2022년 기준)
총 자산16조 8,140억 원(2022년 기준)
링크파일:LS그룹 로고.svg[[파일:LS그룹 로고 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특징
3. 역사
4. 지배구조
6. 계열사
6.1. 지주회사
6.2. LS
6.3. E1
6.4. 예스코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LS용산타워.jpg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21217095646_248177_400_514.jpg
LS용산타워[2]안양시 LS타워[3]

㈜LS를 중심으로 한 범LG계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전선, 전력설비, 금속, 에너지 등 기간산업에 기반을 둔 대표적인 B2B 그룹이다. B2B 사업 특성상 상대적으로 대중들에게 덜 알려져있지만 LG계열에서 분리된 그룹 중에서 GS그룹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재계서열 14위 (2022년 기준)다.

2003년 LG 구인회 창업주의 동생들인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가 LG그룹에 소속되어 있던 LG전선, LG산전, LG니꼬동제련, LG칼텍스가스, 극동도시가스 등을 계열 분리하여 LG전선그룹을 형성하였고, LG전선이 중심축을 이루었다. 2년 후인 2005년 3월 14일 LG전선그룹에서 LS그룹으로 그룹명을 변경하고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였다.[4]

그룹 회장직은 창업 2세까지는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 3인의 장남이 차례로 승계했다. 구자홍 회장이 10년간 재임 후 2013년 사촌 동생 구자열 회장에게 승계하고, 구자열 회장은 2022년 사촌동생 구자은 회장에게 승계한 후 자신은 ㈜LS의 이사회 의장으로 남았다. 그러나 구자홍 회장이 2022년 2월 11일 별세하고 구자홍 회장의 자녀들이 그룹 내 지분을 정리하면서 창업 3세부터는 이러한 원칙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2. 특징[편집]


LS는 전기, 전자, 소재 등의 연관사업 위주로 스몰딜[5] 형태 M&A를 주로 해 왔다. 구자열 회장이 지난 10년간 M&A한 계열사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곳은 30개 사로 이는 LS그룹 전체 계열사 수의 58.8%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특히 인수합병으로 편입된 기업 중 절반인 15개 사는 전선 제조, 자동차부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제조업체이다. 2004년 이후 10년 동안 LS그룹에 편입돼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계열사는 총 51개사이다. 이는 30대 그룹의 10년간 평균 신규편입 계열사 수 28.6개보다 22개 가량이 많은 것으로, M&A 및 지분 취득을 통해 편입된 곳은 30개사로 전체의 58.8%를 차지했으며, 그 중 제조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계열사는 15개로 50%에 육박하는데, 이는 LS그룹이 적극적으로 몸집을 키워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 15개 사는 전선관련 제조업체(GCI, 파운텍, JS전선, 가온전선, 모보, 위더스)와 자동차 관련 제조업체(리앤에스, LS오토모티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30개 사의 2014년 매출은 총 3조 2,071억 원으로, LS그룹 전체 매출 26조 9,669억 원의 11.9%를 차지한다.


3. 역사[편집]


LG의 전기 관련 사업은 1962년 '한국케이블공업'을 세운 게 기원이다. 1966년 그 회사가 '금성사'로 합병됐다가 1969년에 금성전선으로 분사된 뒤, 1971년 대한전선과 함께 공기업 한국제련공업을 인수해 금속 사업에도 손을 벌렸다. 1974년에는 일본 후지전기와 합작해 금성계전을 세운 후 1979년 서통그룹으로부터 신영전기도 인수해 승강기 사업에 손을 뻗었다. 1982년에는 한국광업제련의 대한전선 측 지분을 인수하고 이듬해 한국중공업의 군포공장을 인수해 농기계 사업에도 진출했으며, 1987년 금성계전 및 금성기전의 범용기 사업 등을 통합해 '금성산전'으로 출범시켰다. 1994년에는 금성전선의 산하 사업부 2개(전선, 중공업)를 '사업문화단위(CU)'로 개편했다. 1995년 그룹명 변경에 따라 금성전선은 'LG전선', 금성산전은 'LG산전', 럭키금속은 'LG금속'이 됐고, 금성계전 및 금성기전을 LG산전으로 통합시켰다.

1998년에는 LG산전이 LG금속을 합병하고 이듬해에는 승강기 사업을 미국 오티스 엘리베이터에 팔았으며, LG산전 측은 일본 닛코금속과 합작해서 'LG-Nikko동제련'으로 분사시켰다. 2003년에는 구인회 LG 창업주의 조카 구자홍이 LG전선, LG산전, LG-Nikko동제련, LG칼텍스가스, 극동도시가스 5개사를 갖고 분가해 'LG전선그룹'으로 거듭났고, 2005년에는 'LS그룹'을 출범시키고 2008년 기존 LS전선 법인을 지주회사 '㈜LS'로 개편시켜 지주사 총괄구조를 만들었다.


4. 지배구조[편집]


2023년 4월 기준
주주명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은[6]
3.6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동휘
2.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용
2.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철
1.9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열
1.8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균
1.8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혜원
1.6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자엽
1.4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본혁
1.3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본규
1.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연금공단
13.8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자사주
14.72%

5. 오너 일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범LG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계열사[편집]



6.1. 지주회사[편집]



6.2. LS[편집]


  • LS전선: 초고압, 해저, 광케이블 제조, 글로벌마켓 3위 수준이며 2008년 기존 법인에서 물적분할됐다.
    • LS전선아시아
    • LS머트리얼즈: 2021년 LS엠트론에서 물적분할하여 설립된,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 판매업.
      • LS알스코
    • 가온전선 : 1947년 대한민국 최초의 전선회사로 출범한 국제전선. 희성전선에서 LS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가온전선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모보
      • 이지전선
      • 디케이씨
    • JS전선: 舊 연합전선 → 진로인더스트리 → 진로산업. 2014년 원전 케이블 납품 비리에 연루되어 상장폐지된 후, 2018년부터 청산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 지앤피
      • 세종전선
    • LS이브이코리아
    • LS빌드윈: 2017년 LS전선의 전력시공 사업부를 분리하여 설립한 회사.
      • 빌드윈인동태양광발전
      • 빌드윈문경태양광발전
      • 빌드윈충주지앤피태양광발전
      • 빌드윈그린에너지태양광발전
      • 빌드윈전주가온태양광발전
    • LS EVC
    • GL마린: 해저 케이블 시공[7][8]
    • LS마린솔루션: 구 KT서브마린. 해저케이블 기업으로, 2023년 8월 KT에서 매각하여 LS전선이 인수했다.
  • LS일렉트릭: LG산전 → LS산전 → LS일렉트릭. 전력기기 제조 및 자동화 솔루션(스마트팩토리)
    • LS메카피온
    • LS메탈: LG금속 → LG산전 → LS산전 → LS메탈. 동(銅)관, 스태인리스강(Stainless鋼)관 제조. 가정·산업용 전자제품, LNG플랜트·선박, 건설 분야 판매.
    • LS사우타: LS산전과 스위스 사우타가 2010년 합작으로 설립한 회사. 빌딩솔루션과 에너지솔루션 사업을 수행한다.
    • LS에너지솔루션: 파커 하니핀의 에너지 그리드 타이(Energy Grid Tie, EGT) 사업부를 인수, 북미 ESS 제조 회사.
    • LS ITC: IT시스템 구축/운영관리, 스마트에너지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2021년 1월 LS글로벌에서 분리되어 LS ELECTRIC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 LS이모빌리티솔루션: LS일렉트릭에서 물적분할하여 2022년에 설립된 전기 공급 및 제어 장치 제조업 회사.
  • LS MnM: 조선제련주식회사 → 한국광업제련공사 → LG금속 → LG산전 → LG니꼬동제련 → LS니꼬동제련 → LSMnM. 세계 2위 비철금속 제련회사[9]
    • 토리컴
    • GRM
    • 선우: 제련 및 리싸이클링 플랜트 설비시공 및 유지보수 사업 담당.
    • 씨에스마린
  • LS엠트론: 한국중공업 → LG전선 → LS전선 → LS엠트론. LS전선의 기계사업부이며 2008년 기존 LS전선 법인이 지주회사가 되면서 물적분할된 법인이다. 트랙터, 사출기, 전자부품 제조 업체. 엠트론(Mtron)은 Machinery의 M과 Electronic Components의 tron을 합쳐 만든 사명이다.
    • 신대성전기: 자동차 부품 제조 및 판매 회사.
    • 팜모아: 농기계수리 및 농기계부품 회사.
    • 농가온: 농업용 기계 판매 회사.
    • LS에이홀딩스
      • LS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舊 대성전기공업.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사모펀드에 지분 매각.
  • LS글로벌: 2005년에 설립된 1차 금속제품 및 금속광물 도매업 회사.
  • LS I&D: 2013년 LS전선의 인적분할로 설립된 해외투자 및 부동산 개발 사업 회사.
    • Superior Essex : 미국의 전선회사. 통신케이블이 주력이며, LS전선에서 LS아이앤디 자회사로 편입.
  • LS이링크: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구축 및 운영기업. LS와 E1이 50%씩 합작으로 설립했다.

6.3. E1[편집]


  • E1: 舊 여수에너지 → LG칼텍스가스 → E1. LPG 충전소 국내 2위 회사.
    • LS네트웍스: 舊 국제상사. 프로스펙스 브랜드 보유
      • KJ모터라드
        • 스포츠모터사이클코리아
      • 베스트토요타: 한국토요타자동차의 공식 딜러사로, 2013년 LS네트웍스로부터 독립된 법인.
      • 바이클로
      • 흥업
      • MBK코퍼레이션
      • 이베스트투자증권 : 舊 이트레이드증권. 2008년 9월 글로벌 앤 어소시에이츠 사모펀드(G&A PEF)에서 인수하였는데, 인수 자금 3,350억원 중 1/3인 1,000억원을 LS네트웍스에서 출자하였다. 법적으로는 사모펀드 투자자는 주주가 아닌 단순 투자자로 취급되지만, 실제로는 옛 LG증권 출신들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시중에서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LS그룹이 직접 금융 계열사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사모펀드를 통해 우회 지배하고 있는 계열 증권사로 간주한다.
    • E1컨테이너터미널
    • E1물류
    • 넥스포쏠라
    • 넥스포에너지
    • E1쏠라

6.4. 예스코[편집]


  • 예스코홀딩스: 도시가스 사업 지주회사.
    • 예스코: 舊 극동도시가스. 서울·경기지역 도시가스 공급 회사이며 2018년 기존 법인에서 분리된 신설법인.
      • 예스코서비스
    • 한성PC건설


7.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19:27:44에 나무위키 LS그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구두회 LG창업고문의 장남. 2022년 1월 3일 LS그룹 3대 회장 취임.[2] 신용산역 앞에 있다. 舊 국제센터빌딩. ㈜LS, LS메탈, LS네트웍스, LS이링크, E1, 예스코홀딩스 본사 및 LS엠앤엠 서울사무소 소재지로 아셈타워에 있던 계열사들이 모두 집합했다, 바로 옆 건물이 아모레퍼시픽의 본사, 샌드박스 네트워크 본사이다.[3] 금정역 앞에 있지만 역에서 약 10분정도 걸어가야 한다. LS전선, LS산전, LS엠트론이 있다. LS글로벌 본사는 LS엠트론 하이테크 센터에 있다.[4] 같은 시기에 GS그룹은 2005년 3월 31일 출범했다.[5] 기업이 사업 부문별로 나누어서 매각하거나 통합하는 등의 구조개편을 말한다.[6] 구자은 외 45인이 32.24%를 가지고 있다.[7] 해저 케이블 포설.[8] 해저 케이블 포설선인 GL2030을 KT서브마린에 390억원에 양도했다.[9] LG금속 제련사업부 = LS니꼬동제련, 가공사업부 = LS메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