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H179 155mm 견인곡사포

덤프버전 :

파일:attachment/155mm 견인곡사포/info.jpg
대전 엑스포에 전시된 무기들. 맨앞에 KH179, 뒤에는 K55 자주포, K-9 자주포K-10 탄약보급장갑차.


1. 개요
2. 상세
3. 운용국
3.1. 이란
3.2. 인도네시아
4. 제원
5. 관련 영상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orean Howitzer179는 대한민국 국군이 운용하는 155mm 견인포이다. 1970년대 초반 미국과 공동으로 M114 155mm 곡사포의 성능 개량을 검토하다가 성능개량 계획이 무산된 이후 1979년 국방과학연구소 주도로 개발된 최초의 국산 155mm 견인곡사포이다.[1]

당시에 M2 / M101 계열 105mm 곡사포를 라이센스 생산하던 경험을 바탕으로 국방과학연구소의 개발을 통해 155mm 39구경장으로 재설계해서 사거리를 연장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기존에 운용하고 있던 M114의 포신보다 두 배 정도로 길게 설계하는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M114는 3.56m, KH179는 7.08m) 여러 가지 기술개선으로 인해 운용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대표적으로 포구제퇴기의 도입, 주퇴복좌기와 평형기를 유기압식으로 업그레이드하고 포 쟈키를 수평쟈키로 교체, 가신 손잡이를 넓혀서 기존 4명 대비 6명이 잡고 들 수 있도록 개선, 거기에다가 가신과 포륜 포신간의 균형을 잘 맞춰놓으면서 M114 대비 가신을 들기가 크게 용이해졌다.[2]


2. 상세[편집]


파일:PS17032600276.jpg
  • 제퇴기가 신규 도입되면서 포의 주퇴력을 35%~40% 정도 감소시킴[3]
  • 기압식 평형기[4]
  • 유기압 독립가변식 주퇴복좌기
  • M35 격철식 격발뭉치
  • 수치수포 자체발광 - 방사성 물질을 이용해 모든 수치와 수포가 트리튬 처리되어 야간에 잘 보인다.
  • 발사판에 의한 3점 중심 - 가급적 평지에 포를 위치한 뒤 차(車)에서 포를 분리시킨 후 가신을 벌리고 양 가신 끝에 각각 80kg 가량 되는 발톱을 끼우고 땅에 내려놓는다. 그 뒤 포의 앞발이 되어줄 발사판을 장착, 소위 '자키질'이라 부르는 작업을 통해 포를 들어올린다.[5] 이후 오함마로 발톱 뒤에 10kg은 될 법한 철주를 박아넣어 사격시 포가 덜 밀리도록 고정시킨다. 발사판 플레이트 자체도 약 40kg 정도 된다. 이 모든 과정은 수작업이다.
  • 계각가신 및 분리형 발톱 - 계각[6]가신이란 포의 다리라고 할 수 있는 두 지지대 부분이 중앙부분으로 접힌다는 의미로 방열시엔 좌우로 끝까지 벌린 후 발톱부분을 가신 끝에 결합하고 이동시엔 발톱부분을 분리 후 가신을 다시 중앙으로 접어서 이동 시 용이하게 만들었다는 의미이며 이때 발톱은 양쪽가신의 바깥에 있는 수납부에 끼워 수납한다. 즉 방열 및 이동준비를 할 때마다 80kg 정도의 발톱 두개를 결합하고 분리하기를 반복해야 하는데...[7]
  • 분리장전탄 - 포탄과 장약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때문에 포탄과 장약을 고정시켜주는 탄피가 없다.
  • 공압식 및 수동 제동기 - 포차로 견인하는 도중 포차가 브레이크를 잡을 때 잭나이핑 현상을 막기 위해 포륜의 브레이크를 포차에서 공압으로 제동할 수 있다. 포륜의 브레이크는 포방열시 수동으로도 작동 가능하여 포방열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계단막음나사식 폐쇄기 - M114에서 거의 변화 없이 이어진 설계로 계단막음나사 자체는 이미 19세기부터 등장한 방식이라 크게 특이할 것 없다. 그런데 KH179에서의 문제는 이게 폐쇄기를 닫을 때 폐쇄기뭉치를 포 후미부와 폐쇄기 사이에 왼손을 넣고 닫아야 하는데 오른손의 폐쇄레버를 올릴 때 정신줄 놓은 상태에서 넣었던 왼손을 그냥 두고 폐쇄레버를 올렸다가 왼손가락 세트를 몽땅 날려먹기 딱 좋다는 것. 때문에 폐쇄기 잠금 시에는 반드시 반드시 반드시 폐쇄레버를 꼭 두 손으로 닫도록 교육한다.[8]

중요한 개량사항은 이렇다. 제퇴기(머즐 브레이크)가 추가된 길이가 증대된 포신으로 교체했다. 160kg의 주조제 제퇴기는 용접이 아니라 나사고정식이라 정비시 분리도 가능하다. 수평기 및 고각 전륜기가 부사수 위치로 분리되었다. M114는 사수 자리에 고각/사각 전륜기가 같이 있었다. M114에서는 스프링이었던 평형기는 공압식으로 개선, 포방패(장갑판)는 제거했다. 이는 공중 수송을 위한 중량 감소가 목적이다. 6.9톤급이라 CH-47이나 C-130으로 수송된다. 더욱 커진 외관과 다르게 포륜을 지렛대의 지지점으로 한 무게중심을 잘 맞춰서 M114보다 움직이기도 편하다. 무게중심만 잘 잡으면 포다리 들고 가신발톱 끼울 때까지 끝쪽에 단 한 명이서만 잡고 버티는 곡예도 가능하다.[9] 단 이는 평지 한정. 기울어진 지형에서는 위험하다.[10]

RAP탄+최대 호수의 장약을 사용한 최대 사거리는 30km로 기존 견인포는 물론 K55 자주곡사포(24km)보다 우수했다.[11] 그러나 105mm 견인곡사포에 비해 여전히 편제상 필요로 하는 인원은 많다. 사격에 필요한 최소인원 5명[12]이지만, 최소한 7~8명은 있어야 운용하는 데 숨통이 트인다.[13] 견인포 특유의 야전에서의 활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 다루기가 어렵다는 점이 꾸준히 지적되었다. 1982년 개발완료되고 1983년부터 생산배치되었기에 노후화 문제도 있다. 이런 운용상 어려움은 M777 곡사포나 FH-70 계열 견인포, ATHOS 등 자동화가 많이 되어있는 곡사포와 비교했을 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앞서 언급한 견인포들 모두 KH179보다 인원이 훨씬 적게 필요하거나 자동화가 잘 되어있어 견인포치고도 운용이 편한 장비들이다.

많은 단점에도 육군은 K-9 개발 이후에도 오래도록 이 포를 버리지 못했다. 이는 K-9을 제외하면 포병 화력 중 유일하게 사거리가 30km 이상이었기 때문이다.[14] 또 대당 1억 2,000만 원이라는 저렴한 가격도 아직 KH179가 운용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15] 하지만 K-9 자주포가 수출로 인해 규모의 경제가 성공하면서 가격 억제가 되고 있고, K55도 PIP 사업을 통해 사거리와 성능이 일신되면서 1선에서는 퇴역 중이고 장기적으로는 퇴역 예정이다.[16]

3. 운용국[편집]



3.1. 이란[편집]


파일:attachment/155mm 견인곡사포/ac.jpg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한국군이 이란군에게 판매한 무기 중 하나로, 이걸로 꽤 재미를 봤는지 이후 이 KH179를 참고해서[17] HM-41이라는 견인곡사포를 개발하여 운용했었다.[18] 이게 제법 쓸 만했는지 이걸 응용해서 2011년 차륜형 자주포까지 개발하였다. (링크)


3.2. 인도네시아[편집]


인도네시아 육군은 2011년 K-711과 함께 18문을 도입했다. 2015년 3월 17일까지 치장만 해두다가 처음 실사격 훈련을 실시하였다. (링크)


3.3. 미얀마[편집]


미얀마 육군100문 이상을 운용중이다. 미얀마 군부의 특성상 외국군 보다는 자국 시민(...)을 대상으로 열심히 활약중.

4. 제원[편집]


  • 제작사: 현대위아 (舊 기아기공)
  • 길이: 10.389m
  • 포신길이: 7.013m
  • 구경: 155mm
  • 구경장: 39
  • 총 중량: 6.89t
  • 발사속도: 지속사격 시 분당 2발/최대 분당 4발
  • 사정거리: 24km(HE), 30km(RAP)


5. 관련 영상[편집]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K14
기관단총K1A
산탄총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 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KM7, M9P





경기관총K3, K15
다목적 기관총M60, K16, M134, PKT
중기관총M2, K6, NSVT
유탄발사기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M101A1, M101A2, KH179
맨패즈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K75, K400, K413, MK3A2
지뢰M14, M15, M16, M18A1, M19




소총돌격소총HK416, HK416A5, SCAR-L, SIG516, SIG556P, CAR816, M4A1P, M4A3P, G36CP, DD Mk.18P, SR-16P, K2C, M6P, ARADP,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ARS-HP, M107A1, PSLC
기관단총K7, K13, MP5A5, MP5SD6, MP5K, MP7A1P, MP9, APC9K PRO, UMP45P, 커스텀 9mm ARP, DSMG9P, DSAR-15PC, X95 9mm SMG, Vz.61C
산탄총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G17, G19, G26, 베레타 92SB, 베레타 92F, P7M13P, USP9T, P2000P, P226, P229P,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TT 권총C
특수화기APS, KSPW, M32 MGL
총검KCB-77
의장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 B.A.T 팀에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9 05:54:02에 나무위키 KH179 155mm 견인곡사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개발연도에서 알 수 있듯 KH179에서 1은 국내 최초 개발을 의미하고 79는 개발연도를 나타낸다.[2] 하지만 가신 들기가 쉬워진 데다가 포신도 길어진 만큼 포신이 땅바닥에 처박히기도 쉬워졌기에 항상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3] M114에는 제퇴기가 없다.[4] M114는 스프링식이다.[5] 바퀴가 붕 뜬다. 자동차 타이어를 교체할 때 사용되는 자키와 같은 원리다.[6] 닭발의 한자어[7] 그래서 보통 사람 2명이 발톱 양쪽을 붙잡고 가신 끝맞춘 후 고정핀을 끼우거나 이동준비시 다시 가신 옆 수납로 옮기는데 간혹 괴력을 자랑하는 인간들은 혼자서 이걸 들고 버티는 경우도 있다. 사실 80kg 정도에 불과해서 혼자서 들고 버티는 건 아주 어렵지는 않지만 사람 손은 두 개뿐이라서 발톱을 가신 끝에 결합할 때에는 어차피 발톱고정핀을 끼워줄 인원이 한 명 더 필요하므로 혼자 들고 있어봐야 의미가 없다. 다만 수납부에서 끼우는 건 혼자서도 할 수 있다.[8] 짬이 좀 차면 왼손을 아예 안 쓴 상태에서 오른손의 폐쇄레버만 가지고 폐쇄기 닫음과 잠금을 둘 다 할 수 있는 요령이 생긴다. 다만 짬찌들이 개념없이 흉내내다가는 폐쇄기가 포 후미부와 격돌하거나 폐쇄레버에 무리가 가면서 폐쇄기구를 손상시킬 우려가 크니 조심해서 따라하자.[9] 이때 너무 높게 들면 가신 쪽은 확 올라가 버리고 포신 쪽은 그대로 땅에 쳐박혀버리는 사고가 발생한다. 속칭 태권V라고 불리는데 제퇴기를 잡고 다시 들어올리면 손쉽게 복구할 수 있다. 다만 일단 터지면 전사관 내지는 전포대장한테 욕쳐먹을 각오는 하는 게 좋다.[10] 위의 내용들은 155mm 견인 곡사포 KH-179를 사용하는 부대 출신들이 현역 당시 매번 외웠던 항목이다.[11] K-55의 주퇴복좌거리 등의 한계로 인해 같은 구경장의 포임에도 불구하고 최대호수의 장약을 쓸 수 없어서 그렇다. PIP로 주퇴복좌기가 개선되며 32km로 상승[12] 포반장, 사수, 부사수 포함해서 둘을 넣는 것이 사필요원. 이때 포반장은 사격지휘소의 포대장/전포대장/사격지휘통제관의 사격통제를 받고, 사수는 편각 장입, 부사수는 사각 장입(인원 부족 시 포반장이 병행), 사필요원 한 명은 장약 건네주기(부대에 따라 다르다), 다른 한 명은 장약 확인 다음 투입 후 폐쇄기 닫은 이후 사격 지시에 따라 격발하는 형태[13] 그래서인지 실제 전투편성표에서도 포반 임무수행원은 단순히 기존 포수 인원들(주특기가 포병)만이 아닌 수송 분과나, 행정병 격인 포대 본부 분과, 그것도 아니면 해당 포반의 통신을 점검하기 위해서 나와있는 야전통신병(가설병)들도 편성되어 있다.[14] 포병의 최대사거리는 기상상황을 고려하면 1~3km가량 줄어들 수 있지만 20km 후반을 찍을 수 있는 게 어디인가? 동원부대나 후방에서 볼 수 있는 구형 155mm 견인포(M114)의 최대사거리가 18km가 나오고 K-55가 24km를 뽑으니 버릴 수가 없었다.[15] 30km 이상 사거리를 가지는 장비 중 K-9 자주포는 50억 원대, K55A1 자주포가 30억 원대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가성비를 자랑한다. #[16] 2023년 대한민국 육군 기준 군단 직할 독립포병여단과 상비사단&기계사단 예하 포병여단, 기갑여단 직할 포병대대들 중에서 견인포를 운영하는 포병대대는 단 셋 뿐이며, 이들은 2025년 해체하거나 통폐합 대상인 부대이다. 단 예비군이 주로 소집되는 동원 포병단의 경우 여전히 KH-179도 아닌 M114같은 유물을 굴리는 경우도 있다.[17] 영어 위키백과의 HM-41 문서에선 이게 아예 한국의 KH179와 똑같이 생겼다고 적혀 있다.[18] 한국군에도 비슷한 케이스가 존재하는데,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참고해서 개발한 K6 중기관총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