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BO 리그/야구인 2세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목록
2.1. 3대
2.2. 부자 관계
2.3. 삼촌-조카 관계
2.4. 조손 관계


1. 개요[편집]


2010년대 접어들면서 KBO 리그에서 2대째 선수로 활동하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본 문서는 그 사례를 정리한 문서다.


2. 목록[편집]


1세대 중 프로야구선수 출신이 아닌 실업야구나 고교&대학야구 선수 출신인 경우
2세대 중 고교&대학야구를 거쳤으나 프로에 입단하지 못한 경우
2세대 중 아직 고교&대학야구 선수인 경우


2.1. 3대[편집]


1대2대3대
남궁택경[1]남궁성우남궁훈[2]
진한규[3]진갑용진승현


2.2. 부자 관계[편집]


아버지아들
강광회강진성
강규성강효종
강인권강동형, 강태경
강종필강도훈
곽현희곽민승
국중련국해성
권용관권준혁
김경태김성민
김경환김기탁
김광윤김경택
김기태김건형
김대중김선호
김동구김도현
김문수김용의
김민범김도훈
김민재김동욱
김민호(롯데)김상현
김민호(OB)김성훈
김바위김진곤
김상국김동엽
김상진김웅
김선섭김재현
김성근김정준
김성철김리안
김시진김재현
김영범[4]김상수
김영복김한수
김용국김동영, 김동빈
김용일김헌곤
김인식김준
김종석김대유
김준표김익수
김진영김경기
김창희김재민
김철기김세민
김호인김용우[5]
노장진노학준
문성록문선재, 문진제
문승훈문정빈
문희수문지훈
박광율박성민, 박성재
박석민박준현
박석진박민준
박영태박기민
박재용박지웅
박정태박시찬, 박시현
박종철박동혁
박종훈박윤
박철우박세혁
백기성백승훈
송유석송원호[6]
송인호[7]송현우[8]
송진우송우석, 송우현
신경현신지후
신경호신범수
신동수신희섭
신윤호신효수
심재학심현석
심정수심종원, 심종현
안경현안준
양승관양원혁
엄정대엄장윤
엄종수엄형찬
오영일오동환
원민구원태진, 원태인
유두열유재신
유승안유원상, 유민상
윤동균윤준호
윤동배[9]윤웅재
이도형이성현
이민호이영빈
이병규이승민
이병훈이청하, 이용하
이순철이성곤
이용주이원석
이정훈이윤규
이종범이정후
이종운이정윤
이태일이승엽
이해창이준
이호준이동훈
임경완임정형
임수민임완현
임주택임지열
장광호장승현
장정석장재영
장호연장영빈
전상렬전형근
전일수전진우
전승우
전종화전호영
정경배정상훈
정근우정재훈
정민태정선호
정수근정호준
정인교정의윤
정회열정해영
조계현조재웅
조성옥조찬희
조성환조영준
차동철차상현
차명석차유민
최광천[10]최지민
최상덕최륜기
최성수최정우[11], 최지만
최영필최종현
최태원최준서
최해식최우재
추신수앨런 추
한문연한주석
한철수[12]한지석
홍우태홍주영
황대연황인준
황인건
황석중[13]황인태[14]


2.3. 삼촌-조카 관계[편집]


삼촌조카
김진영김풍기
문승훈문선재, 문진제
박노준박건우
박정태추신수
박찬호김윤하, 김명규
성영재성지훈[15]
송구홍송찬의
송진우이우찬
양승호윤현민
양후승양원혁
유승안유재상, 유근상
이종범윤형준
정수성정호준
조진호조영건
최익성윤석현
최해식방건우


2.4. 조손 관계[편집]


조부손자
이재환[16]이지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21:53:27에 나무위키 KBO 리그/야구인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 최초의 언더핸드 투수[2] 前 두산 투수[3] 경남상고 야구부 출신[4] 농협 야구단 유격수[5] 전 LG, SK 내야수[6] 전 KIA 투수, 현 KBO 리그 심판[7] 전 쌍방울, LG, 해태 내야수[8] 2014년 신인 드래프트 때 넥센의 지명을 받았지만, 대학에 진학해 지명권이 소멸됐고 이후 프로 지명을 받지 못했다.[9] 전 롯데 투수. 윤형배의 형.[10] 전 태평양 포수[11] 개명 전 이름은 최지혁. 전 SK 불펜 포수.[12] 전 한일은행 포수[13] 전 KBO 심판위원장[14] 현 KBO 리그 심판[15] 성준민에서 개명했다.[16] 원자탄 투수라는 별명으로 백인천과 더불어 경동고등학교 야구부의 전성기를 이끌고, 프로 이후에는 삼미 슈퍼스타즈, 롯데 자이언츠의 2군 감독 및 여러 팀의 코치 등을 역임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