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5·6·7리그

덤프버전 :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대한축구협회 산하 대회
[ 펼치기 · 접기 ]



K5·6·7리그
파일:K5·6·7리그 로고.svg
정식 명칭 K5·6·7리그
영문 명칭 K5·6·7 League
종목축구
창설 2017년 (7주년)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명칭 변천 디비전리그(2017~2018)
K5·6·7리그(2019?~ )
리그 주관 대한축구협회
(생활축구본부/지역축구협회)
리그 구성 5부 리그 K5리그
6부 리그 K6리그
7부 리그 K7리그
웹 사이트 대한축구협회 K5 K6 K7리그
JoinKFA

1. 개요
2. 상세
2.1. 리그 진행
3. 시즌별 일람
3.1. 2017시즌
3.2. 2018시즌
3.3. 2019시즌
3.4. 2020시즌
3.5. 2021시즌
4. 문서가 개설된 K5·6·7리그 참가팀
5. 승강제 시행 방법
6. 특징 및 여담
7. 참가 신청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축구협회 K5·6·7리그 홍보 영상
K5·6·7리그는 2017년 부터 시행되고 있는 대한축구협회 산하 아마추어 축구 리그들인 K5리그, K6리그, K7리그를 일컬어 부르는 총칭이다.


2. 상세[편집]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하는 아마추어 레벨의 축구 리그들의 총칭이며, 그 구성은 대한민국의 5부, 6부, 7부 리그들인 K5리그, K6리그, K7리그로 되어있다. 우승팀 및 상위팀 일부는 상위리그로 승격되며, 하위팀 일부는 하위리그로 강등된다.

경기 진행 등 K5·6·7리그의 상세 내용은 대한축구협회 joinKFA 통합경기정보 시스템으로 확인 가능하다.


2.1. 리그 진행[편집]


파일:hEqd6Ay.png
K5·6·7리그의 승격&강등 구조 (2020년 10월 기준)출처고화질 버전
  • 더 자세한 사항은 각 리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K5리그>
- 리그 당 6팀 풀리그
- 총 10라운드 진행
- 정규리그 종료후 K5리그 챔피언십 진행

<K6리그>
- 리그 당 6팀, 7팀, 8팀, 14팀 풀리그
- 총 5라운드, 6라운드, 7라운드, 13라운드 진행

<K7리그>
- 리그 당 6팀 또는 8팀 풀리그
- 총 5라운드 또는 7라운드 진행


3. 시즌별 일람[편집]



3.1. 2017시즌[편집]


파일:디비전7 2017-1.jpg
파일:디비전7 2017-2.jpg


3.2. 2018시즌[편집]


파일:디비전리그 2018.jpg
파일:디비전리그2018-1.jpg
파일:디비전리그2018-2.jpg
파일:디비전리그2018-3.jpg
파일:디비전7 개요 2018.jpg
파일:디비전6 개요 2018.jpg
파일:디비전5 출범 예정.jpg


3.3. 2019시즌[편집]




3.4. 2020시즌[편집]




3.5. 2021시즌[편집]



4. 문서가 개설된 K5·6·7리그 참가팀[편집]


파일:K5리그 로고.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height=10>
[ 강원 ]
||<width=25%>
[ 경기 ]
||<width=25%>
[ 경남 ]
||<width=25%>
[ 경북 ]
|| ||<height=10>
[ 서울 ]
||
[ 울산 ]
||
[ 인천 ]
||
[ 전남 ]
|| ||<height=10>
[ 전북 ]
||
[ 광주 ]
||
[ 충남 ]
||
[ 대전 ]
|| ||<height=10>
[ 충북 ]
|| ||<-4> {{{-2 대구: 경북 리그 참가 | 세종: 충남 리그 참가 | 부산: 경남 리그 참가 }}} || ||<-4><bgcolor=#eb8615> [[틀:K5리그|'''{{{#ffffff K5리그 권역별 참가 클럽 보기}}}''']][br]
[[틀:K5리그 강원|{{{#eb8615 강원}}}]]
·
[[틀:K5리그 경기|{{{#eb8615 경기}}}]]
·
[[틀:K5리그 경남|{{{#eb8615 경남}}}]]
·
[[틀:K5리그 경북|{{{#eb8615 경북}}}]]
·
[[틀:K5리그 서울|{{{#eb8615 서울}}}]]
·
[[틀:K5리그 울산|{{{#eb8615 울산}}}]]
·
[[틀:K5리그 인천|{{{#eb8615 인천}}}]]
·
[[틀:K5리그 전남|{{{#eb8615 전남}}}]]
·
[[틀:K5리그 전북|{{{#eb8615 전북}}}]]
·
[[틀:K5리그 광주|{{{#eb8615 광주}}}]]
·
[[틀:K5리그 충남|{{{#eb8615 충남}}}]]
·
[[틀:K5리그 대전|{{{#eb8615 대전}}}]]
·
[[틀:K5리그 충북|{{{#eb8615 충북}}}]]
|| ||<-2><bgcolor=#2e2b4c> [[틀:K4리그|{{{#fff ◀}}} [[파일:K4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4리그}}}]] ||<-2><bgcolor=#176fc1> [[틀:K6리그|[[파일:K6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6리그 ▶}}}]] || ||<-4><bgcolor=#104297> [[틀:FA컵(대한민국) 참가 구단|{{{-2 {{{#f7c626 FA컵 참가 구단}}}}}}]] ||



  • 개별 문서가 개설된 팀이 많으므로 K5리그 문서의 목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K6리그 로고.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10><width=25%>
[ 강원 ]
||<width=25%>
[ 경기 ]
||<width=25%>
[ 경남 ]
||<width=25%>
[ 경북 ]
|| ||<height=10>
[ 광주 ]
||
[ 대구 ]
||
[ 대전 ]
||
[ 부산 ]
|| ||<height=10>
[ 서울 ]
||
[ 세종 ]
||
[ 울산 ]
||
[ 인천 ]
|| ||<height=10>
[ 전남 ]
||
[ 전북 ]
||
[ 제주 ]
||
[ 충남 ]
|| ||<height=10>
[ 충북 ]
|| ||<-2><bgcolor=#eb8615> [[틀:K5리그|{{{#fff ◀}}} [[파일:K5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5리그}}}]] ||<-2><bgcolor=#179248> [[틀:K7리그|[[파일:K7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7리그 ▶}}}]] ||



  • 개별 문서가 개설된 팀이 많으므로 K6리그 문서의 목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파일:K7리그 로고.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height=10><width=25%>
[ 고성 ]
||<width=25%>
[ 구미 ]
||<width=25%>
[ 군산 ]
||<width=25%>
[ 담양 ]
|| ||
[ 대구 ]
||
[ 대전 ]
||
[ 목포 ]
||
[ 부산 ]
|| ||<height=10>
[ 부안 ]
||
[ 상주 ]
||
[ 서귀포 ]
||
[ 서울 ]
|| ||<height=10>
[ 사천 ]
||
[ 안동 ]
||
[ 안양 ]
||
[ 양산 ]
|| ||<height=10>
[ 여수 ]
||
[ 영주 ]
||
[ 예산 ]
||
[ 울산 ]
|| ||<height=10>
[ 울진 ]
||
[ 원주 ]
||
[ 인천 ]
||
[ 전주 ]
|| ||<height=10>
[ 제천 ]
||
[ 제주 ]
||
[ 진천 ]
||
[ 해남 ]
|| ||<height=10>
[ 홍성 ]
|| || || || ||<-2><bgcolor=#176fc1> [[틀:K6리그|{{{#fff ◀}}} [[파일:K6리그 로고.svg|height=30]] {{{#fff K6리그}}}]] ||<-2><bgcolor=#808080,#7f7f7f> {{{#ffffff (지역별 대회) ▶}}} ||



  • 개별 문서가 개설된 팀이 많으므로 K7리그 문서의 목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승강제 시행 방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6리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특징 및 여담[편집]


  • 프로선수 출신/엘리트 체육 경험자들 또한 본업을 별도로 두고 상당히 많이 참가하고 있다. K5리그의 상위권 팀들은 선수단의 거의 대부분이 축구를 전문적으로 한 경험이 있는 이들로 구성되어있을 정도. 다만 하부로 내려갈수록 비선출을 포함한 완전한 아마추어의 비율이 많아지는 편이다.
  • 아무래도 전체적으로는 아마추어 레벨이기에 다득점/다실점 경기가 프로에 비해 상당히 많이 나온다.
  • 리그 경기는 권역의 지정된 경기장에서만 치러진다.[1] 다시 말해, 실질적인 홈/원정 구분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 K3리그K4리그의 웬만한 세미프로 팀들 수준으로, 혹은 그것보다도 더 SNS 관리를 잘하는 팀들이 꽤 많다. 특히 벽산 플레이어스 FC는 활발한 홍보활동으로 K5·6·7리그 참가팀들 중에선 상당히 유명한 축에 속한다.
  • 김현회 기자가 2013년 1월 31일 "K리그를 7부까지 구성하는 아주 쉬운 방법"이라는 칼럼을 써서 조기축구회K리그에 편입시켜서 한국축구의 뿌리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링크 당시 이 컬럼은 많은 축구팬들의 공감을 받기는 했으나, 실현가능성에는 대하여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대한축구협회가 김현회의 제안을 적극 검토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결과적으로 4년만에 현실이 된 것이다.
  • K5·6·7리그 팀간 랭킹 제도가 2020시즌부터 시범운영에 들어갔고, 차기시즌인 2021시즌부터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것은 JoinKFA 참조.
  • 2021 시즌을 본격적으로 앞두고 기존 직사각형 형태에서 원형으로 디비전리그 로고를 변경하였다.링크
  • 2021년 4월 18 K5리그 개막전 양천구 TNT FC광진구 중마 FC 경기가 skySports를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6월 6일부터 K5·6·7리그 일부경기와 K5리그 챔피언십의 모든경기가 skySports를 통해 중계하기 시작했다.#
  • K5,6,7를 다룬 프로그램은 skySports에서 2022년 11월 3일부터 방영한 아마추어 축구 매거진 빌드-업이 있다.

7. 참가 신청[편집]


파일:20200611_233108.jpg

  • JoinKFA 사이트에서 로그인 한 후, 우측의 "팀창단" 페이지를 누르면 신청이 가능하다.\


8. 관련 문서[편집]





[1] Ex)서울권역의 리그경기 진행은 효창운동장 등에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