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채리어티어

덤프버전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1세대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FV4034 챌린저 2, {챌린저 3}
경전차키메라, GSR 3301 세터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FV214 컨커러R, FV214SA 슈퍼 컨커러
장갑차차륜형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MIV 복서}
궤도형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 FV4333 스토머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소형FV701 패랫 / 721 폭스R,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MAN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자주곡사포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9(A1/A2)R, M110(A2)R, {아처}, {MFP}
자주박격포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V434 팔콘,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MLRS
기타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harioteer-latrun-2.jpg
FV4101 Tank, Medium Gun, Charioteer
1. 개요
2. 제원
3. 개발
4. 운용
5. 파생형
6. 실전
7. 사용 국가
8. 미디어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차대전 후 남은 크롬웰 전차 약 400대를 개수하여 20파운더 전차포를 장착한 중형 대전차 차량[1]. 냉전 초기 소련 기갑 전력에 맞설 직사 화력의 양을 확보하기 위해 나왔다.


2. 제원[편집]


채리어티어 제원
개발국가영국
운용국가영국, 핀란드[2], 레바논, 요르단[3], 오스트리아[4], 팔레스타인[5]
제조공장Robinson and Kershaw Ltd, Dukinfield, Cheshire
생산량200~442대
생산기간1950~52년
전장8.8 m
전폭3.1 m
전고2.6 m
장갑14~64 mm
주무장QF 20파운더(83.4 mm) 주포, 105mm 로열 오드넌스 L7 주포[6]
부무장7.62 mm 동축기관총
승무원4명(조종수, 탄약수, 전차장, 포수)
엔진롤스로이스 미티어 V12 가솔린 엔진 (600hp)
중량29 t
항속거리240 km
속도52 km/h


3. 개발[편집]


1950년대 초, 냉전 초기 소련군 기갑 전력에 대응하고자 개발된 전차이다. 당시 센추리온 전차의 생산량이 영국군이 요구하는 수준에 못 미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영국군이 다수 보유하고 있던 크롬웰 계열 전차에 센추리온 수준의 화력을 확보해 센추리온 수량 부족분을 채워넣고자 개발된 전차가 채리어티어이다. 기존 크롬웰의 포탑을 대형화된 신형 포탑으로 대체하고 센추리온 Mk.3에 장착했던 20파운더 전차포를 장착하였다.

20파운더의 장착으로 공격력이 대폭 상승했으며, 차체에도 증가 장갑을 용접하였다. 하지만 포탑 장갑은 20~30mm로 오히려 기존 크롬웰 전차보다 열화되었다. 브라우닝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이 부무장으로 장착되었으며, 배연기는 좌우 모두에 장착되었다. 기존 크롬웰 계열 전차들이 장착하던 75mm나 17파운더 주포보다 더 큰 주포인 20파운더를 장착하기 위해 포탑링이 살짝 커지고 포탑도 대형화되었다. 하지만 차체 용적 한계로 인해 탄약 적재는 제한되어 있었고, 탄약 적재량을 늘리기 위해 기존 크롬웰 차체에 있던 포수 자리에 있던 장비들을 제거하여 탄약 적재 공간 확보하는 개수가 가해졌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탄 적재량은 25발 내외 정도 밖에 안 됐다. 주력 탄종은 APDS이며 고폭탄도 함께 적재했다.

원래 3명의 승무원이 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사격시 전차장이 시야가 제한되어 한 명의 외부 관측 승무원이 더 추가된 결과 4명으로 승무원이 구성됐다.


4. 운용[편집]


총 442대가 생산되었다. 영국군 입장에선 이 전차를 대량 양산해 배치할 이유가 없었으며, 이 때문에 채리어티어는 소량만 영국군에 의해 운용되었다. 영국군에 배치된 채리어티어는 왕립 기갑군단 산하 본토 방위부대에서 소량 운용하다 1958년에 퇴역시켰다.

생산된 수량 중 많은 수를 저가에 오스트리아, 핀란드, 요르단, 레바논에 수출하였다. 이 중 요르단에 수출된 채리어티어들은 중동전쟁에도 동원되었다. 대표적으로 제3차 중동전쟁에 참전하기도 했다.

현재는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1대가 전시되어있다. 이외에도 이스라엘의 텔아비브에 위치한 이스라엘 방위군 역사 박물관과 라트룬에 위치한 라트룬 전차 박물관에서 채리어티어를 각각 1대씩 소장하고 있다.

5. 파생형[편집]


이 전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된 크롬웰 차량들도 모두 같은 사양이 아니라 VI, VII, VIIw, VIII으로 사양이 나뉘었기 때문에 채리어티어도 사용된 원본 크롬웰이 어떤 사양이냐에 따라서 명칭이 구분되었다. 표준형은 VII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부 차량은 구식 차량을 기반으로 하기도 했다. 선체 유형으로 봤을때 D형, E형, F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20파운더 주포가 개발 이후에도 개량이 됨에 따라 채리어티어 차량들에 사용된 20파운더도 사양에 차이가 있다. 배연기가 없던 초기형 20파운더(A형)와 달리, 후기형 20파운더(B형) 주포의 경우 배연기가 주포 중앙에 대칭적으로 위치하였다. 초기형 A형 20파운더를 쓴 채리어티어를 모델 A라고 부르며, 후기형 B형 20파운더를 쓴 채리어티어를 모델 B라고 부른다[7]

요르단군에서는 채리어티어를 개수하면서 .50 구경 중기관총을 장착한 더 커진 전차장 큐폴라를 장착하였으며, 포탑 회전 모터를 전동식으로 업그레이드하였다. 또한 무전 장비도 요르단군에 맞게 교체하였다.

이후 20파운더를 기반으로 105mm L7 주포가 개발되자 채리어티어에도 추가적인 화력을 확보하기 위해 1969년에 해당 주포를 장착한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다.[8] 이미 105mm L7 주포를 장착한 센추리온이나 더 강력한 120mm L11 주포를 장착한 치프틴 주력전차를 굴리던 영국군이 쓰기 위한 모델은 아니었고 수출용 모델로 계획되었는데, 결국 판매 실패로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계획이 폐기되었다. 현재 105mm L7을 장착한 딱 1대의 실험 전차를 동부 잉글랜드 전차 박물관(East of England Tank Museum)이 소장하고 있다.


6. 실전[편집]



6.1. 중동전쟁[편집]



6.1.1. 레바논 내전[편집]




7. 사용 국가[편집]




8. 미디어[편집]



8.1. 월드 오브 탱크[편집]


파일:external/wiki.gcdn.co/Charioteer_scr_2.jpg
월드 오브 탱크의 채리어티어
월드 오브 탱크에 영국 8티어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8.2. 워 썬더[편집]


파일:GarageImage_Charioteer_Mk_VII.jpg
워 썬더의 채리어티어
워 썬더의 4랭크 대전차자주포로 등장.


8.3. 워게임: 레드 드래곤[편집]


핀란드군과 영국군이 사용한다.


8.4. 강철의 왈츠[편집]


데니스 아크니릭의 무장업 형태인 특전부대중 구축전차로 등장하는 어자좌가 이전차로 추정인줄 알았는데 일러레인 쿠로가 강왈갤에 채리어티어가 맞다는 글을 올렸다.# 이후 2021년 4월 6일 전차명이 Charioteer로 변경됐다.


9. 둘러보기[편집]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핀란드군|{{{#000080 핀란드 방위군 (1918~현재)
Puolustusvoimat
Försvarsmakten }}}]]'''
기타전차4호전차 J형 "Nelonen/Ravistin"R, T-34-76 "Sotka"R, T-34-85 "Pitkäputkinen Sotka"R, T-26 "Viku"R, T-28 "Postivaunu / Postijuna"R, T-26ER, 코멧 Mk. I 모델 BR, T-50 "Pikku Sotka" R
MBT1세대T-54S, T-55M
3세대T-72M1(K1)R, 레오파르트 2A4
3.5세대레오파르트 2A6
경전차PT-76BR
장갑차차륜장갑차XA-180, XA-185, XA-202, XA-203 OWA "Pasi", XA-300,
XA-360 AMV, RG-32M, BTR-60PBR
궤도장갑차CV9030 FIN, BTR-50YVI, BMP-1TJ*, BMP-2MD FIN,
MT-LBV, Bv 206(S/D6N), Bv 202R, NA-120GT
차량소형랜드로버 디펜더 110, 겔란데바겐 300/270 CDI,
토요타 하이럭스, UAZ-469R · UAZ-452R, GAZ-69R
트럭Sisu E13TP · SM312 · SA-150 · SA-240,
스카니아 4시리즈 · P · R · G 시리즈,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제트로스
GAZ-66R, ZiL-131R, ZiL-157R, KrAZ-255, ATS-59
자주포자주곡사포BT-42R, 122 PsH 74, K-9FIN "Moukari"
자주평사포152 TelaK 91R
자주박격포XA-203 AMOS, XA-361 AMOS-FIN
대전차 자주포3호 돌격포 G형 "Sturmi"R, 채리어티어 Mk. VII 모델 B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ItPsv SU-57-2R, ItPsv 90 막스맨R, ItPsv 레오파르트2 막스맨
단거리 대공미사일XA-181 ItO 90M, ItO 2005 유니목 기반, NASAMS 2
다연장로켓BM-13R, 122 RakH 76R, 122 RakH 89 M1, 298 RsRakH 06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2
전투공병차량PiPz 2 닥스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포병 관측용 장갑차로만 사용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현대 오스트리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오스트리아 연방군 (1955~현재)
Österreichisches Bundesheer
기타전차경전차AMX-13R | SK 105 퀴라시어(A1/A2)R | M24 채피R | M41 워커 불독R
중형전차T-34-85R
미사일 전차RakJPz 3 야구어 1R
MBT1세대M47 패튼R
2세대M60(A1→A3) 패튼R
3세대KPz 레오파르트2A4
장갑차차륜장갑차{MTPz 판두르 EVO} | MTPz 판두르 I | 딩고 2 (PatSi/MatE) | TM-170 | PzSpW M8R
궤도장갑차SPz 울란 | Bv 206 | BvS 10 Mk.IIB AUT | SPz 4K 4FA-(G1/G2)R | M3 하프트랙R
차량오토바이KTM 250 LS-E 밀리터리 | BMW K 75 RT | 가와사키 VERSYS KLE 650
소형GMF 후사르 | 다임러-푸흐 G 4×4 | VW 투아렉 · 트랜스포터 T6 · 크래프터 | 핀츠가우어 | 미쓰비시 트라이톤 | 윌리스 M38R
트럭벤츠 유니목 U4000-ÖBH | 슈타이어 9S18 · 12M18 · 12S22 · 19S27 · 91 M | ÖAF SLKW · 19/281 · 26/604 | MAN TGM · Multi B | M35R | M39R | CCKWR
자주포자주곡사포PzHb M109(A2/A5)Ö | M7 프리스트R
대전차 자주포채리어티어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핀츠가우어 미스트랄 | 4K 4FA LWT 미스트랄R
공병차량구난차량BgePz 그라이프 A1 | BgePz M88A1 | 슈타이어 19S275 구난트럭 | MAN HX2 바이슨 구난차량 | BgePz M578R
AEVPiPz 그라이프 | MV-4 CEV | 하이드레마 910 MCV-2AMCS
기타
[ 펼치기 · 접기 ]
삼성 SE 210-2 굴착기 | JCB 4CX 백호로더 | 볼보 EC180BLC · ECR88 굴착기 | 멘지 무크 스파이더 굴착기 | 카이저 SX 스파이더 굴착기 | 파운-프리슈 F 155 A 그레이더 | 피아트-앨리스 645B-BH 휠 로더 | 뵈스트-알피네 TROSS 130 휠 로더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스라엘 방위군 (1948~현재)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기타전차셔먼 VC/R, 셔먼 V 디젤C/M/R, M4A4(FL-10)C/R, M-1 셔먼R, M-1 슈퍼 셔먼R, M4A1 (FL-10)C/R, 셔먼 IIIC/R, 셔먼 III "메이어"UK/R, M-3, M4(75) "타마르"M/R, M4A3R, M-4 셔먼R, 크루프 셔먼M/R, M-50 (알레프, 유드, 베트)M/R, M-51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M/R, 티란 T-34C/R, 4호 전차(G, H, J)C/R, M.13/40C/R, IS-3MC/R, A27M 크롬웰R
MBT1세대숏(Meteor)R, 숏 칼(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R, 센추리온 전차C/R, TariqC/R, M47 패튼C/R, 마가크-1/2/3/5M/R, 티란-1C/R, 티란-4(S, Sh)C/M/R, 티란-2C/R, 티란-5(Sh)C/M/R
2세대마가크-6(A, B, C)/7/갈 바타쉬M/R, 티란-6(6S, 6Sh)C/M/R, 메르카바 Mk.1R/2
3세대메르카바 Mk.3
3.5세대메르카바 Mk.4
경전차르노 R35C/R, M22 로커스트C/R, 호치키스 H39R, 경전차 Mk.VIBC/R, AMX-13-75R, PT-76BC/R/88대대 개량형M/R
장갑차차륜장갑차BTR-152AC/R, BTR-40C/R, RAM Mk.2000R, 에이탄 AFV
궤도장갑차OT-62 TOPASR, 바델라스 · 젤다, M548 알파M, 나메르, 나그마혼M, 아흐자리트C/M, 자흘람 M3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 He, Waw)R, 브렌건 캐리어C/UK/R, 셔먼 응급 수송 차량M/R
차량소형M151R, M325R, 험비, 지브, AIL 스톰, MDT 다비드, 샌드캣, 오토카르 아크렙
트럭M35, M977 HEMTT, 벤츠 우니모크 437, AIL 아비르, FMTV
자주포자주곡사포2호 자주포C/R, M7 프리스트R, 쏠탐 M-68M/R/*, M109A5+ Doher, M110A2R 숄레프, ATMOS 2000E
자주평사포M107R
자주박격포마크맛, 스피어E
대전차 자주포M-50 (M10)M/R, M10 아킬레스R, SD-100C/R, 3호 돌격포 G형C/R, ISU-152C/R, Mk.I 아처C/R, ST-I
대공 차량자주대공포호벳, 마흐벳M, ZSU-23-4 쉴카C, ZSU-57-2C/R, T10E2R
단거리 대공미사일드라콘R
레이저아이언 빔
다연장로켓MAR-240M/R, MAR-290M/R, LAR-160, M270 메나테츠, 링스E, 라하브
구난전차M32 ARVR, M74 ARVR
기타캐터필러 D9 두비 장갑 불도저, 캐터필러 966 로더,
캐터필러 굴착기, 나메르 C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수습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개조된 셔먼 차체에 Soltam社 의 155mm 곡사포를 올린 자주포.





파일:레바논 국기.svg 현대 레바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레바논군 (1945 ~ 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لبنانية
Forces Armées Libanaises
기타 전차셔먼 VCR, T-34-85R
MBT1세대M48(A1R/A5), T-55
2세대M60(A3 TTS/A3 IFCS)
경전차AMX-13-75R, AMX-13-105R, M41 워커 불독R
장갑차차륜장갑차M3 스카웃 카R, T17E1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FV701 페렛R, 파나르 M3 VTTR, V-100R, 브라비아 차이마이트R, AML-90, VTT, 메피스토 ATGM, VBTP-MR 과라니, TM-170, 바라쿠다
궤도장갑차유니버설 캐리어R, M59R, AMX-VCIR, AMX-13 VTTR, M113(A2/A3), M577, AIFV-B-C25, M2A2 ODS, M5 트랙터
차량소형윌리스 M38R, LBTP, M998, M1025, M1046, M1035, M151 MUTT, M1008, M1009, M1010 앰뷸런스, M1028, M880, M882, M883, M885, M886 앰뷸런스, 폴라리스 레인저 500 4x4, 랜드로버 디펜더 90, 메르세데스-벤츠 250GD "볼프",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T5, 토요타 랜드 크루저, 이베코 데일리
트럭M34 트럭R, 슈타이어-푸흐 핀츠가우어R, M35, DAF YA-4440, DAF YA-4442, FMTV, KamAZ-4310, 이베코 트래커, 오시코시 M1070, MAZ-537GR, FMTV
자주포자주곡사포M109(A3/A5)
대전차 자주포채리어티어R
자주박격포M125A2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42 더스터R, ZSU-23-4 쉴카R, M35 (ZU-23-2)M/R, M113 (ZU-23-2)
지원 차량구난 차량M578 경구난전차, M88(A1/A2 허큘리스)
다연장로켓BM-21
기타캐터필러 D9 두비 장갑 불도저, M992 FAASV
※ 윗첨자C: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2:30:22에 나무위키 채리어티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문 자료에서 Tank destroyer라고 분류하기도 하나 대전기 구축전차와 동일한 개념인지는 불명이고 대전차 자주포에 가까운 화력 지원 차량이라는 말도 있다.[2] 1960년에 38대를 구매하였고 1979년까지 1선에서 운용하다가 2007년에 완전히 퇴역시켰다.[3] 1954년에 24대를 배치함.[4] 1965년까지 운용함[5] 1978년에 남부 레바논에서 이스라엘군과 교전함.[6] 시험적으로 장착했으나, 정식적으로 채택되진 않음[7] 더불어 사용된 크롬웰 차체의 Mk 번호에다가 주포 모델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예컨데 크롬웰 VII형을 기반으로 초기형 20파운더 주포를 쓴 채리어티어는 채리어티어 VIIA라 불린다.[8] 105mm L7은 20파운더의 설계를 기반으로 주포 구경을 확대하면서 개발되었기 때문에 20파운더를 장착할 수 있는 포탑에는 모두 장착 가능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