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C 밀란/2001-02 시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AC 밀란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정규 시즌
2000-01 시즌 2001-02 시즌 2002-03 시즌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01-02 시즌
회장실비오 베를루스코니
(Silvio Berlusconi)
구단주
부회장잔니 나르디
(Gianni Nardi)
파올로 베를루스코니[1]
(Paolo Berlusconi)
부구단주아드리아노 갈리아니
(Adriano Galliani)
CEO아리에도 브라이다
(Ariedo Braida)
스포츠 디렉터
테크니컬 디렉터움베르토 간디니
(Umberto Gandini)
구단 대변인다니엘레 마사로
(Daniele Massaro)
언론 담당자비토리오 멘타나
(Vittorio Mentana)
감독파티흐 테림
(Fatih Terim)
2001년 11월 5일까지 역임
카를로 안첼로티
(Carlo Ancelotti)
2001년 11월 7일부터 역임
주장파올로 말디니
(Paolo Maldini)
부주장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Alessandro Costacurta)
경과
파일:Serie_A_TIM_logo.png4위
(34경기 14승 13무 7패 47득점 33실점)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4강 탈락
(12경기 8승 1무 3패 18득점 8실점)
파일:코파 이탈리아.png8강 탈락
(6경기 3승 2무 1패 10득점 6실점)
팀내 최다 득점리그: 안드리 셰브첸코 (14골)
전체: 안드리 셰브첸코 (17골)

1. 시즌 요약
2. 선수단
3. 감독 및 코칭스태프
4. 이적 시장
4.1. 여름 이적 시장
4.1.1. 영입
4.1.2. 방출
4.2. 겨울 이적 시장
4.2.1. 영입
4.2.2. 방출
6.1. 예선전
6.1.1. 1라운드 VS 바테 보리소프
6.1.1.1. 1차전 (원정, 0:2 승)
6.1.1.2. 2차전 (홈, 4:0 승)
6.1.2. 2라운드 VS CSKA 소피아
6.1.2.1. 1차전 (홈, 2:0 승)
6.1.2.2. 2차전 (원정, 0:1 승)
6.1.3. 3라운드 VS 스포르팅 CP
6.1.3.1. 1차전 (홈, 2:0 승)
6.1.3.2. 2차전 (원정, 1:1 무)
6.2. 토너먼트
6.2.1. 16강 VS 로다 JC
6.2.1.1. 1차전 (원정, 0:1 승)
6.2.1.2. 2차전 (홈, 0:1 패, 승부차기 3:2 승)
6.2.2.1. 1차전 (원정, 1:0 패)
6.2.2.2. 2차전 (홈, 2:0 승)
6.2.3.1. 1차전 (원정, 4:0 패)
6.2.3.2. 2차전 (홈, 3:1 승)
7.1. 16강 VS 페루자
7.1.1. 1차전 (홈, 3:0 승)
7.1.2. 2차전 (원정, 0:0 무)
7.2. 8강 VS 라치오
7.2.1. 1차전 (홈, 2:1 승)
7.2.2. 2차전 (원정, 2:3 승)
7.3. 4강 VS 유벤투스
7.3.1. 1차전 (홈, 1:2 패)
7.3.2. 2차전 (원정, 1:1 무)
8. 출처



1. 시즌 요약[편집]


카를로 안첼로티의 부임과 밀란 제너레이션 2기가 시작된 시즌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이 1998-99시즌 깜짝 우승을 밀란에게 선물했지만, 2시즌 만에 추락하며 2000-01시즌 도중[2] 경질되었고, 2001-02시즌 나머지 기간 동안 체사레 말디니 감독대행 체제로 시즌을 마쳤다. 밀란은 암흑기를 끝내고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시즌 시작 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2001년 6월 18일, AC 밀란은 파티흐 테림 감독과 2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알베르토 자케로니 감독의 풀백[3]과 공격형 미드필더[4], 공격수[5]를 이용한 3-4-3, 3-4-1-2 체제와는 달리, 리누스 미헬스의 토탈 풋볼과 유사한 전술을 사용하도록 4-3-1-2 체제로 밀란의 전술을 변형시켰다. 파티흐 테림 감독은 직전 팀에서 중용했던 피오렌티나에서 후이 코스타를 영입, 공격형 미드필더로 기용하였다. 기존에 있던 안드리 셰브첸코유벤투스로부터 막 영입되었던 필리포 인자기까지 더해 한층 공격적인 축구를 구사한다.

파티흐 테림 감독의 부임 이후, UEFA 컵 예선전에서 바테 보리소프와의 2연전, CSKA 소피아와의 2연전을 모두 승리하며 기세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세리에 A 순위 경쟁에서는 위태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그 이유는 바로 파티흐 테림 감독의 전술이 지나치게 공격적이었기 때문이다. 파티흐 테림 감독은 AC 밀란을 매우 공격적인 팀으로 만들었지만, 이러면서 후방이 취약해졌고, 역습 전술을 들고 나오는 언더독 팀들[6]에게 승점을 헌납하게 된다. 어느 정도로 공격적이었냐면, 당시 세리에 A 6R 기준 최하위 팀인 베네치아를 상대로 역습을 허용해 무승부를 기록하기도 했다.

2001년 10월 14일 세리에 A 6R 베네치아와 1:1 무승부를 거둔 이후 부회장이었던 아드리아노 갈리아니로부터 신임투표를 받았고, 바로 다음 라운드인 7R 인테르와의 더비전에서 4:2 대승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2001년 11월 5일 세리에 A 9R 토리노 원정에서 1:0 패배하며 파티흐 테림 감독은 경질되었다 #. 이후 AC 밀란은 곧바로 후임자를 물색, 2001년 11월 7일 유벤투스 감독직을 그만두고 휴식중이던 카를로 안첼로티를 감독으로 선임했다.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은 부임 직후부터 빠르게 팀을 수습했다. 기존의 4-3-1-2 체제를 이어받는 대신 공격적인 색채를 한층 벗겨냄과 동시에 수비적 기조를 기본으로 하는 중립적인 축구를 구사했다. 또한 플랜 B로 플랫 4-4-2를 사용하기도 했고, 3-4-1-2, 3-5-2나 4-2-3-1 등 다양한 전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리에 A 순위 경쟁 행보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고, 결국 스쿠데토 경쟁을 가을부터 일찍이 포기하게 되었다. 대신 토너먼트 대회였던 코파 이탈리아UEFA 컵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 두 대회도 코파 이탈리아는 4강에서 유벤투스에게 1차전, 2차전 득점 합계 2:3으로 밀리며 탈락했다. UEFA 컵에서는 4강에서 1차전 독일 원정에서 4:0 참패를 당했고, 2차전 홈에서 분투하여 3:1로 승리했지만, 득점 합계에서 5:3으로 도르트문트에게 밀려 탈락하게 되었다. 30년 만에 UEFA 컵 4강에 진출했지만, 우승은 달성하지 못한 AC 밀란 입장에서는 아쉬운 대회가 되었다.

시즌 말미까지 밀란은 세리에A에서 5위와 6위를 오가며 다음 시즌 UEFA 컵을 나가게 되는 것인가 했지만, 30R에서 맞닥트린 키에보 베로나와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위한 4위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보게 된다. 31R 유벤투스에게 0:1 패, 32R AS 로마에게 1:1 무승부를 하며 순위가 6위까지 쳐지며 2002-03시즌 챔피언스리그 진출은 물 건너가나 싶었지만, 33R 엘라스 베로나에게 2:1 승, 마지막 34R 레체에게 3:0 승을 거두게 되며 4위로 다음 시즌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성공하게 되었다.

2. 선수단[편집]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01-02 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번호한글 이름로마자 이름포지션국적생년월일비고
1세바스티아노 로시Sebastiano Rossi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64년 7월 20일
2토마스 헬베그Thomas HelvegDF파일:덴마크 국기.svg1971년 6월 24일
3파올로 말디니Paolo Maldini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68년 6월 26일주장
4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Demetrio Albertini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1년 8월 23일
5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Alessandro Costacurta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66년 4월 24일부주장
7안드리 셰브첸코Andriy ShevchenkoFW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1976년 9월 29일
8젠나로 가투소Gennaro Gattuso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8년 1월 9일
9필리포 인자기Filippo Inzaghi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3년 8월 9일
10마누엘 후이 코스타Manuel Rui Costa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1972년 3월 29일
11모하메드 알리유 다티Mohamed Aliyu DattiM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1982년 3월 14일
12발레리오 피오리Valerio Fiori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69년 4월 27일
13카카베르 칼라제Kakhaber KaladzeDF파일:조지아 국기.svg1978년 2월 27일
14호세 마리José MariFW파일:스페인 국기.svg1978년 12월 10일
15마시모 도나티Massimo Donati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81년 3월 26일
16호세 안토니오 샤모트José Antonio ChamotDF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1969년 5월 17일
18크리스티안 아비아티Christian Abbiati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7년 7월 8일
19하비 모레노Javi MorenoFW파일:스페인 국기.svg1987년 5월 1일
20모하메드 사르Mohamed SarrDF파일:세네갈 국기.svg1983년 12월 23일
21안드레아 피를로Andrea Pirlo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9년 7월 19일
22코스민 콘트라Cosmin ContraDF파일:루마니아 국기.svg1975년 12월 15일
23마시모 암브로시니Massimo Ambrosini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7년 5월 29일
24마르틴 라우르센Martin LaursenDF파일:덴마크 국기.svg1977년 7월 26일
25호케 주니오르Roque JúniorDF파일:브라질 국기.svg1976년 8월 31일
26비탈리 쿠투조프Vitaliy KutuzovFW파일:벨라루스 국기.svg1980년 3월 20일
27세르지뉴SerginhoDF파일:브라질 국기.svg1971년 6월 27일
29이브라힘 바Ibrahim BaMF파일:프랑스 국기.svg1973년 1월 12일
30페르난도 레돈도Fernando RedondoMF파일: 아르헨티나 국기.svg1969년 6월 6일
32크리스티안 브로키Cristian Brocchi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6년 1월 30일
34위밋 다발라Ümit Davala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1973년 7월 30일
55마르코 도나델Marco Donadel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83년 4월 21일
69마르코 시모네Marco Simone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69년 1월 7일
77프란체스코 코코Francesco Coco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977년 1월 8일임대[1]
83카틸리나 오바메양Catilina AubameyangMF파일:가봉 국기.svg1983년 9월 1일
구단 정보
감독 : 파티흐 테림, 카를로 안첼로티 / 구장 : 산 시로

베스트 XI
포메이션: (4-3-1-2)
LS
필리포 인자기
RS
안드리 셰브첸코
CAM
후이 코스타
LCM
세르지뉴
CDM
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
RCM
젠나로 가투소
LB
카카베르 칼라제
CB
호세 샤모트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7]
CB
마르틴 라우르센
RB
코스민 콘트라
GK
크리스티안 아비아티

3. 감독 및 코칭스태프[편집]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001-02 시즌 감독 및 코칭스태프
[ 펼치기 · 접기 ]
직책이름국적
감독파티흐 테림
(Fatih Terim)
2001년 11월 5일까지 역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카를로 안첼로티
(Carlo Ancelotti)
2001년 11월 7일부터 역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수석코치뮈핏 에르카사프
(Müfit Erkasap)
2001년 11월 5일까지 역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조르조 치아스치니
(Giorgio Ciaschini)
2001년 11월 7일부터 역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브루노 데미첼리스
(Bruno Demicheli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우로 타소티
(Mauro Tassott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골키퍼 코치베니아미노 아바테[1]
(Beniamino Abate)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빌리암 베키[2]
(Villiam Vecch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테크니컬 코치체사레 말디니
(Cesare Maldi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트니스 코치조반니 마우리
(Giovanni Mauri)
2001년 11월 7일부터 역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메디컬 총책임자로돌포 타바나
(Rodolfo Tavan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팀닥터요하네스 브레움
(Johannes Breum)
파일:덴마크 국기.svg
전력 분석관레조 초코넬리드제
(Rezo Chokhonelidze)
파일:조지아 국기.svg
[1] 이냐치오 아바테의 아버지이다.[2] 은퇴하는 2014-15시즌까지 카를로 안첼로티의 커리어를 따라서 안첼로티 감독의 골키퍼 코치를 맡았다.

4. 이적 시장[편집]


이 시즌 밀란의 이적시장이 활발했던 것은 밀란이 암흑기를 지나는 와중에 라이벌로 불리던 당시 유럽 탑클럽들이 괄목할만한 이적시장을 보냈던 것이 적지않은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98/99시즌 트레블을 달성한 이후 약간 부침을 격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후안 세바스티안 베론, 루드 반니스텔로이, 로랑 블랑, 디에고 포를란을 영입했고, 레알 마드리드유벤투스로부터 지네딘 지단을 영입하며 갈락티코 정책에 박차를 가했다.

세리에 구단들의 보강도 이뤄졌는데, 유벤투스는 지단과 인자기를 매각한 돈으로 파르마로부터 잔루이지 부폰릴리앙 튀랑, 라치오로부터 파벨 네드베드마르셀로 살라스를 영입하며 팀의 내실을 탄탄히 다졌다. 라이벌인 인테르 역시 프란체스코 톨도, 세르지우 콘세이상, 크리스티아노 자네티와 유망주로 촉망받던 아드리아누를 영입하였다. 이렇게 대규모 이동이 일어나는 이적시장에서 돈을 아끼다가는 클럽이 더 퇴보할 수 있겠다는 구단 수뇌부의 판단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1. 여름 이적 시장[편집]


AC 밀란파티흐 테림 감독을 선임함과 동시에 여름 이적시장이 개장하자 마자 활발한 행보를 보였다. 여름 이적 시장을 보내면서 밀란은 총 지출 1억 4000만 유로를 넘겼고, 순지출로 따져도 1억 1000만 유로를 넘겼다.

우선 노쇠화로 인한 기량 하락, 전술 변경 및 선수단 개혁의 일환으로 즈보니미르 보반, 레오나르두 아라우주, 올리버 비어호프를 자유계약으로 방출했다. 프란체스코 코코는 멘탈적인 문제로 파티흐 테림 감독에게 찍히면서 1경기 교체로 뛰고 곧바로 FC 바르셀로나로 임대를 떠났다. 타리보 웨스트의 경우 더비 카운티에서의 임대생활을 끝내고 AC 밀란으로 돌아왔으나, 자신의 포지션이었던 레프트백이 포화 상태[8]였기 때문에 2001년 11월 1일, 결국 카이저슬라우테른으로 FA 이적했다. 지다는 위조 여권 스캔들에 연루되어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에 의해 정지 처분을 받고 코린치안스로 다시 임대되었다#.

이후 공격적인 영입으로 나간 선수들의 공백을 메웠다. 바로 직전 시즌 파티흐 테림 감독 밑에서 뛰었으며, 피오렌티나의 파산으로 인해 이적시장에 매물로 나왔던 후이 코스타를 4132만 유로에 영입했다. 동일 포지션에서 뛰던 즈보니미르 보반레오나르두 아라우주가 동시에 나가며, 한 시즌 내내 공격형 미드필더를 후이 코스타 한 명으로 버티기는 어렵다고 판단, 브레시아에서 솔솔히 활약하고 인테르로 돌아왔으나 여전히 두각을 드러내지 못했던 안드레아 피를로를 백업으로 영입했다[9].

또한 바로 직전 시즌에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소속으로 활약하며, 결승전[10]에서 두각을 드러냈던 하비 모레노코스민 콘트라를 각각 1600만 유로, 700만 유로에 영입하였다. 하비 모레노는 올리버 비어호프가 나간 이후 변변한 공격수가 안드리 셰브첸코 혼자였기 때문에 영입했다. 호세 마리가 지난 시즌 영입되었지만 활약이 미비했기 때문이다. 코스민 콘트라의 경우 밀란의 전문 우측풀백 자원이 토마스 헬베그 혼자였기 때문에 영입했다[11].

코스민 콘트라를 영입했으나 여전히 우측풀백 자원이 빈약하다 느꼈고, 게다가 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의 노쇠화로 인해 수비형 미드필더의 뎁스를 채워야 한다고 생각했던 AC 밀란은 아탈란타와 선수 + 돈을 얹어 트레이드를 감행했다. 아탈란타로부터 우측 풀백에 기용할 크리스티안 제노니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할 마시모 도나티를 받고, 밀란은 잔니 코만디니, 루카 사우다티, 루이지 살라에 370만 유로를 얹어서 트레이드를 진행했다. 마시모 도나티는 밀란에 잔류했으나, 크리스티안 제노니는 곧바로 유벤투스로 재이적하였다.

이유는 바로 유벤투스에 다시 부임하게 된 마르첼로 리피 감독의 개혁의 일환으로 내쳐진 필리포 인자기를 영입하기 위함이었다. 하비 모레노를 영입하기는 했으나, 리그 적응의 리스크가 있었기 때문에 여전히 밀란은 공격진이 부실하다 판단했고, 당시 세리에 A 정상급 공격수였던 필리포 인자기가 유벤투스로부터 내쳐지자 밀란은 곧바로 그를 영입했다. 두 구단의 거래 형식은 필리포 인자기 <=> 크리스티안 제노니 + 3615만 유로였다[12].

이로서 밀란은 필리포 인자기 - 안드리 셰브첸코의 세리에 A 정상급 투 톱에 후이 코스타가 밑을 받치는 강력한 공격진을 갖추게 된다. 물론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두 선수의 광팬이었던 것도 이들의 영입에 한 몫 있다. 베를루스코니는 이 두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사재를 무려 7000만 유로를 털었다.

마지막으로 인테르가 좌측 윙자리에 안드레스 구글리엘민피에트로를 영입하고 싶어했고, 이에 AC 밀란크리스티안 브로키와의 트레이드를 제안했고, 이 딜이 성사되면서 두 선수는 각 구단으로 맞트레이드 되었다.

4.1.1. 영입[편집]


AC 밀란 2001-02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영문FROM.포지션국적이적료
마누엘 후이 코스타Manuel Rui Costa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2003~2022).svgMF파일:포르투갈 국기.svg€41.32m
필리포 인자기Filippo Inzaghi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36.15m[C.1]
안드레아 피를로Andrea Pirlo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99~2007).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7.04m
하비 모레노Javi Moreno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FW파일:스페인 국기.svg€16.00m
마시모 도나티Massimo Donati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5.50m[C.2]
크리스티안 제노니Cristian Zenoni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5.50m[C.2]
코스민 콘트라Cosmin Contra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DF파일:루마니아 국기.svg€7.00m
위밋 다발라Ümit Davala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MF파일:튀르키예 국기.svg€5.00m
니콜라 코렌트Nicola Corrent파일:US 살레르니타나 1919 로고.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3.62m
비탈리 쿠투조프Vitali Kutuzov파일:FC 바테 보리소프 로고.svgFW파일:벨라루스 국기.svg€3.50m
마테오 보가니Matteo Bogani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99~2007).svg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3.50m[C.3]
마르틴 라우르센Martin Laursen파일:파르마 AC 로고.svgDF파일:덴마크 국기.svg€0.50m[A]
크리스티안 브로키Cristian Brocchi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99~2007).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C.4]
마르코 시모네Marco Simone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임대
파브리시오 콜로치니Fabricio Coloccini파일:CA 산 로렌소 로고.svgDF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임대 복귀

4.1.2. 방출[편집]


AC 밀란 2001-02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이름영문행선지포지션국적이적료
크리스티안 제노니Cristian Zenoni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5.50m[C.1]
잔니 코만디니Gianni Comandini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15.50m[C.2]
루카 사우다티Luca Saudati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FW파일:이탈리아 국기.svg€9.30m[C.2]
파올로 기네스트라Paolo Ginestra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99~2007).svgGK파일:이탈리아 국기.svg€3.50m[C.3]
루이지 살라Luigi Sala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2.50m[C.2]
프란체스코 코코Francesco Coco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DF파일:이탈리아 국기.svg€1.00m[A]
페데리코 지운티Federico Giunti파일:브레시아 칼초 로고.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0.95m
파브리시오 콜로치니Fabricio Coloccini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DF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0.75m[A]
이브라힘 바Ibrahim Ba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MF파일:프랑스 국기.svg임대
지다Dida파일:SC 코린치안스 로고.svgGK파일:브라질 국기.svg임대
니콜라 코렌트Nicola Corrent파일:코모 1907 로고.svgMF파일:이탈리아 국기.svg임대
즈보니미르 보반Zvonimir Boban파일:RC 셀타 데 비고 로고.svgMF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FA
레오나르두 아라우주Leonardo Araújo파일:상파울루 FC 로고.svgMF파일:브라질 국기.svgFA
올리버 비어호프Oliver Bierhoff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FW파일:독일 국기.svgFA
타리보 웨스트Taribo West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1969~2010).svgDF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A
안드레스 구글리엘민피에트로Andrés Guglielminpietro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99~2007).svgMF파일: 아르헨티나 국기.svg[C.4]

4.2. 겨울 이적 시장[편집]



4.2.1. 영입[편집]


AC 밀란 2001-02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영문FROM.포지션국적이적료
이브라힘 바Ibrahim Ba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MF파일:프랑스 국기.svg임대 복귀
영입 이적료 총액 : €0m

4.2.2. 방출[편집]



5. 세리에 A[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AC 밀란/2001-02 시즌/리그 문서
AC 밀란/2001-02 시즌/리그번 문단을
AC 밀란/2001-02 시즌/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UEFA 컵[편집]



6.1. 예선전[편집]



6.1.1. 1라운드 VS 바테 보리소프[편집]



6.1.1.1. 1차전 (원정, 0:2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1라운드 1차전
FC 바테 보리소프 0 - 2 AC 밀란
경기 일시2001년 9월 20일 20:30 (한국시간 9월 21일 04:30)
경기 장소벨라루스 민스크 / 디나모 스타디움
주심스티브 던 (Steve Dunn) 파일:UEFA ENG.png
관중 수14,750 명
파일:FC 바테 보리소프 로고.svg
FC 바테 보리소프
0 : 2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파일:득점 아이콘.svg64'안드리 셰브첸코세르지뉴
88'하비 모레노세르지뉴


6.1.1.2. 2차전 (홈, 4:0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1라운드 2차전
AC 밀란 4 - 0 FC 바테 보리소프
경기 일시2001년 9월 27일 20:45 (한국시간 9월 28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프란츠자버 와크 (Franz-Xaver Wack) 파일:UEFA GER.png
관중 수20,000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4 : 0파일:FC 바테 보리소프 로고.svg
FC 바테 보리소프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21'후이 코스타하비 모레노파일:득점 아이콘.svg
45'하비 모레노
56'모하메드 사르토마스 헬베그
74'필리포 인자기


6.1.2. 2라운드 VS CSKA 소피아[편집]



6.1.2.1. 1차전 (홈, 2:0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2라운드 1차전
AC 밀란 2 - 0 PFC CSKA 소피아
경기 일시2001년 10월 18일 20:45 (한국시간 10월 19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클라우스 보 라르센 (Claus Bo Larsen) 파일:UEFA DEN.png
관중 수6,759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 : 0파일:PFC CSKA 소피아 로고.svg
PFC CSKA 소피아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20'후이 코스타크리스티안 브로키파일:득점 아이콘.svg
51'안드리 셰브첸코세르지뉴


6.1.2.2. 2차전 (원정, 0:1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2라운드 2차전
PFC CSKA 소피아 0 - 1 AC 밀란
경기 일시2001년 11월 1일 15:45 (한국시간 11월 1일 23:45)
경기 장소불가리아 소피아 / 스타디온 불가르스카 아르미야
주심더못 갤러거 (Dermot Gallagher) 파일:UEFA ENG.png
관중 수20,000 명
파일:PFC CSKA 소피아 로고.svg
PFC CSKA 소피아
0 : 1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파일:득점 아이콘.svg62'필리포 인자기세르지뉴


6.1.3. 3라운드 VS 스포르팅 CP[편집]



6.1.3.1. 1차전 (홈, 2:0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3라운드 1차전
AC 밀란 2 - 0 스포르팅 CP
경기 일시2001년 11월 22일 20:45 (한국시간 11월 23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후안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마린 (Juan Antonio Fernández Marín) 파일:UEFA ESP.png
관중 수10,132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 : 0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
스포르팅 CP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36'안드리 셰브첸코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파일:득점 아이콘.svg
51'필리포 인자기세르지뉴


원정팀 라인업
스포르팅 CP (3-4-1-2)
LS
자르데우
RS
마리우스 니쿨라에
CAM
주앙 핀투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1' 루이스 필리페)
LWB
후이 조르제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1' 로드리고 텔로)
LDM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울루 벤투
RDM
우구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1' 페드로 바르보자)
RWB
세자르 프라테스
CB
안드레 크루스
CB
베투 파일:주장 아이콘(1).png
CB
필 밥
GK
타아구 페레이라
감독: 라즐로 볼로니

6.1.3.2. 2차전 (원정, 1:1 무)[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3라운드 2차전
스포르팅 CP 1 - 1 AC 밀란
경기 일시2001년 12월 6일 22:00 (한국시간 12월 7일 06:00)
경기 장소포르투갈 리스본 / 이스타디우 주제 알발라드
주심리차드 보이치크 (Ryszard Wójcik) 파일:UEFA POL.png
관중 수38,000 명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
스포르팅 CP
1 : 1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49'마리우스 니쿨라에자르데우파일:득점 아이콘.svg62'하비 모레노안드리 셰브첸코

홈팀 라인업
스포르팅 CP (3-4-1-2)
LS
자르데우
RS
마리우스 니쿨라에
CAM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주앙 핀투
LWB
후이 조르제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1' 로드리고 텔로)
LDM
파울루 벤투
RDM
우구 비아나
RWB
세자르 프라테스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67' 페드로 바르보자)
CB
안드레 크루스
CB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베투 파일:주장 아이콘(1).png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1' 히카르두 콰레스마)
CB
필 밥
GK
타아구 페레이라
감독: 라즐로 볼로니


6.2. 토너먼트[편집]



6.2.1. 16강 VS 로다 JC[편집]



6.2.1.1. 1차전 (원정, 0:1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16강 1차전
로다 JC 케르크라더 0 - 1 AC 밀란
경기 일시2002년 2월 19일 18:00 (한국시간 2월 20일 2:00)
경기 장소네덜란드 케르크라더 / 파르크스타트 림뷔르흐 스타디움
주심그레이엄 바버 (Graham Barber) 파일:UEFA ENG.png
관중 수19,000 명
파일:로다 JC 케르크라더 로고.svg
로다 JC 케르크라더
0 : 1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파일:득점 아이콘.svg62'호세 마리안드리 셰브첸코


6.2.1.2. 2차전 (홈, 0:1 패, 승부차기 3:2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16강 2차전
AC 밀란 0 - 1 로다 JC 케르크라더
경기 일시2002년 2월 28일 20:45 (한국시간 3월 1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볼프강 슈타르크 (Wolfgang Stark) 파일:UEFA GER.png
관중 수7,291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0 : 1파일:로다 JC 케르크라더 로고.svg
로다 JC 케르크라더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파일:득점 아이콘.svg69'마크 루이스퍼스가르바 라왈


승부차기 결과
AC 밀란 3 - 2 로다 JC 케르크라더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3 : 2파일:로다 JC 케르크라더 로고.svg
로다 JC 케르크라더
키커성공 여부성공 여부키커
크리스티안 브로키O파일:득점 아이콘.svgO야니스 아나스타시우
호세 마리XO가르바 라왈
카카베르 칼라제XX톰 소테어스
안드레아 피를로OX마크 루이스퍼스
코스민 콘트라OX에리크 판데르루어
AC 밀란 8강 진출

6.2.2. 8강 VS 하포엘 텔아비브[편집]



6.2.2.1. 1차전 (원정, 1:0 패)[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8강 1차전
하포엘 텔아비브 FC 1 - 0 AC 밀란
경기 일시2002년 3월 14일 18:00 (한국시간 3월 15일 2:00)
경기 장소키프로스 니코시아 / GSP 스타디움
주심안토니오 헤수스 로페스 니에토 (Antonio Jesús López Nieto) 파일:UEFA ESP.png
관중 수4,000 명
파일:하포엘 텔아비브 FC 로고.svg
하포엘 텔아비브 FC
0 : 1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32'세르게이 클레센코요시 아부카시스파일:득점 아이콘.svg


6.2.2.2. 2차전 (홈, 2:0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8강 2차전
AC 밀란 2 - 0 하포엘 텔아비브 FC
경기 일시2002년 3월 21일 20:45 (한국시간 3월 22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허버트 판델 (Herbert Fandel) 파일:UEFA GER.png
관중 수23,184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 : 0파일:하포엘 텔아비브 FC 로고.svg
하포엘 텔아비브 FC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36'후이 코스타파일:득점 아이콘.svg
51'시몬 헤르손 (O.G)후이 코스타


6.2.3. 4강 VS 보루시아 도르트문트[편집]



6.2.3.1. 1차전 (원정, 4:0 패)[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4강 1차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4 - 0 AC 밀란
경기 일시2002년 4월 4일 20:30 (한국시간 4월 5일 04:30)
경기 장소독일 도르트문트 / 지그날 이두나 파크
주심그레이엄 폴 (Graham Poll) 파일:UEFA ENG.png
관중 수52,000 명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4 : 0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7'마르시우 아모로주파일:득점 아이콘.svg
33'마르시우 아모로주토마시 로시츠키
39'마르시우 아모로주에워톤
63'외르크 하인리히에워톤



6.2.3.2. 2차전 (홈, 3:1 승)[편집]

파일:UEFA_cup_logo-removebg-preview.png
2001-02 시즌 UEFA 컵 4강 2차전
AC 밀란 3 - 1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경기 일시2002년 4월 11일 20:45 (한국시간 4월 12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질 베시에르 (Gilles Veissière) 파일:UEFA FRA.png
관중 수15,301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3 : 1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10'필리포 인자기세르지뉴파일:득점 아이콘.svg90+4'라르스 리켄에바니우손
18'코스민 콘트라안드레아 피를로
90+2'세르지뉴필리포 인자기



7. 코파 이탈리아[편집]



7.1. 16강 VS 페루자[편집]



7.1.1. 1차전 (홈, 3:0 승)[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16강 1차전
AC 밀란 3 - 0 AC 페루자 칼초
경기 일시2001년 11월 13일 20:45 (한국시간 11월 14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디에고 프레쉔 (Diego Preschern) 파일:UEFA ITA.png
관중 수5,569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3 : 0파일:AC 페루자 칼초 로고.svg
AC 페루자 칼초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50'필리포 인자기후이 코스타파일:득점 아이콘.svg
63'필리포 인자기후이 코스타
82'신 솔리아노 파일:자책골 아이콘.svg토마스 헬베그


원정 라인업
AC 페루자 칼초 (3-5-2)
LS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비오 바차니
RS
엠마누엘레 베레토니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46' 니콜라스 코르도바)
LM
마우로 밀라네세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67' 파비오 그로소)
LCM
지오반니 테데스코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4' 마시밀리아노 푸사니)
CM
파비오 가티
RCM
다비데 바이오코
RM
제 마리아
CB
마르코 디 로레토
CB
트라이아노스 델라스
CB
신 솔리아노
GK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안드레아 마잔티니
감독: 세르세 코스미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의 부임 후 첫 경기였다.

7.1.2. 2차전 (원정, 0:0 무)[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16강 2차전
AC 페루자 칼초 0 - 0 AC 밀란
경기 일시2001년 11월 28일 18:00 (한국시간 11월 29일 02:00)
경기 장소이탈리아 페루자 / 스타디오 레나토 쿠리
주심티지아노 피에리 (Tiziano Pieri) 파일:UEFA ITA.png
관중 수1,858 명
파일:AC 페루자 칼초 로고.svg
AC 페루자 칼초
0 : 0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파일:득점 아이콘.svg

홈팀 라인업
AC 페루자 칼초 (3-4-1-2)
LS
알리 사메레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46' 드미트리오스 나리지스)
RS
지시스 브리자스
CAM
안정환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73' 에마누엘레 베레토니)
LWB
파비오 그로소
LDM
파비오 가티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63' 니콜라스 코르도바)
RDM
마누엘레 블라시
RWB
제 마리아
CB
마우로 밀라네세
CB
라만 레자에이
CB
도노반 마우리
GK
미첼레 타르디올리
감독: 세르세 코스미


7.2. 8강 VS 라치오[편집]



7.2.1. 1차전 (홈, 2:1 승)[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8강 1차전
AC 밀란 2 - 1 SS 라치오
경기 일시2002년 1월 10일 20:45 (한국시간 1월 11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도메니코 메시나 (Domenico Messina) 파일:UEFA ITA.png
관중 수5,391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2 : 1파일:SS 라치오 로고.svg
SS 라치오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22'마르코 시모네세르지뉴파일:득점 아이콘.svg45+1'세자르스테파노 피오레
90+2'하비 모레노데메트리오 알베르티니


원정팀 라인업
SS 라치오 (4-4-1-1)
ST
에르난 크레스포
CAM
스테파노 피오레
LM
데얀 스탄코비치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2' 줄리아노 지아니케다)
LDM
디노 바조
RDM
가이스카 멘디에타
RM
게리노 고타르디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58' 카렐 포보르스키)
LB
세자르
CB
페르난두 쿠투
CB
파올로 네그로 파일:주장 아이콘(1).png파일:부상.pn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16'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주세페 파발리)
RB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주세페 판카로
GK
루카 마르케지니
감독: 알베르토 자케로니

7.2.2. 2차전 (원정, 2:3 승)[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8강 2차전
SS 라치오 2 - 3 AC 밀란
경기 일시2002년 1월 16일 20:45 (한국시간 1월 17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로마 / 스타디오 올림피코
주심스테파노 파리나 (Stefano Farina) 파일:UEFA ITA.png
관중 수15,000 명
파일:SS 라치오 로고.svg
SS 라치오
2 : 3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23'시모네 인자기카렐 포보르스키파일:득점 아이콘.svg5'호세 마리세르지뉴
75'에르난 크레스포시모네 인자기45+1'하비 모레노크리스티안 브로키
90+2'하비 모레노호세 마리



7.3. 4강 VS 유벤투스[편집]



7.3.1. 1차전 (홈, 1:2 패)[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4강 1차전
AC 밀란 1 - 2 유벤투스 FC
경기 일시2002년 1월 23일 20:45 (한국시간 1월 24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밀라노 /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주심스테파노 브라스키 (Stefano Braschi) 파일:UEFA ITA.png
관중 수27,687 명
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1 : 2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유벤투스 FC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39'하비 모레노호세 마리파일:득점 아이콘.svg49'알레산드로 비린델리
87'알레산드로 델피에로크리스티안 제노니


원정팀 라인업
유벤투스 FC (4-3-1-2)
LS
마르셀로 살라예타
RS
니콜라 아모루소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75' 알레산드로 델피에로)
CAM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엔초 마레스카
LCM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에드가 다비즈
CDM
알레시오 타키나르디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66' 파벨 네드베드)
RCM
크리스티안 제노니
LB
미켈레 파라마티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85' 잔루카 페소토)
CB
파올로 몬테로
CB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치로 페라라 파일:주장 아이콘(1).png
RB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알레산드로 비린델리
GK
파비안 카리니
감독: 마르첼로 리피

7.3.2. 2차전 (원정, 1:1 무)[편집]


파일:코파 이탈리아.png
2001-02 시즌 코파 이탈리아 4강 2차전
유벤투스 FC 1 - 1 AC 밀란
경기 일시2002년 2월 6일 20:45 (한국시간 2월 7일 04:45)
경기 장소이탈리아 토리노 / 스타디오 델레 알피
주심파올로 베르티니 (Paolo Bertini) 파일:UEFA ITA.png
관중 수15,000 명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유벤투스 FC
1 : 1파일:AC 밀란 로고.svg
AC 밀란
득점어시스트득점어시스트
63'잔루카 잠브로타마르셀로 살라예타파일:득점 아이콘.svg27'호세 마리안드레아 피를로



8. 출처[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18:50:42에 나무위키 AC 밀란/2001-02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동생이다.[2] 세리에 A 기준 2000-01시즌 세리에 A 22라운드까지 역임했다.[3] 토마스 헬베그, 세르지뉴, 크리스티안 치게, 안드레스 구글리엘민피에트로, 프란체스코 코코[4] 즈보니미르 보반, 레오나르두 아라우주[5] 올리버 비어호프, 안드리 셰브첸코, 조지 웨아[6] 브레시아, 아탈란타, 베네치아, 볼로냐에게는 무승부를, 페루자토리노에게는 패배하였다.[7] 두 선수의 출장 경기수는 호세 샤모트가 32경기,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가 31경기이며, 선발 출장 횟수는 호세 샤모트가 30경기,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가 29경기로 역시 한 경기 차이이다.[8] 이 시즌 파올로 말디니의 무릎 부상, 프란체스코 코코의 임대로 인한 공백이 있었으므로 뛸 수도 있었지만, 해당 포지션에는 이미 카카베르 칼라제라는 걸출한 자원이 있었고, 여기에 여차하면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뛰었지만 세르지뉴도 이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었으며, 수비수 전 포지션을 볼 수 있었던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호세 샤모트의 존재가 있었기에 기회를 부여받지 못했다.[9] 피를로의 본 포지션은 원래 공격형 미드필더였고,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 역시 시즌 중반까지는 그렇게 기용했다.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레지스타 피를로는 이 시즌 후반기부터 시작되었고, 본격적으로는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이 밀란에 부임한 2번째 시즌인 2002-03시즌부터였다.[10] 당시 결승전 상대는 리버풀이었으며, 데포르티포 알라베스는 준우승을 했다.[11] 헬베그 말고 그 자리에 알레산드로 코스타쿠르타, 호세 샤모트, 호케 주니오르까지 뛸 수는 있으나 세 선수 모두 주 포지션은 센터백이다.[12] 당시 언론사 별로 이적 금액에 대해 상이한 보도를 내놓았으나 유벤투스는 회계 장부상 인자기의 이적으로 3112만 유로의 순이익을 냈다고 밝혔다.#해당 PDF 61p에 기재되어 있다.[C.1] A B 필리포 인자기 <=> 크리스티안 제노니 + €36.15m #, #[C.2] A B C D E 마시모 도나티 + 크리스티안 제노니 <=> 잔니 코만디니 + 루카 사우다티 + 루이지 살라 + €3.7m #1,#2[C.3] A B 맞트레이드 #[A] A B C 임대료[C.4] A B 맞트레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