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1형 호위함

덤프버전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BN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고속정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대잠 호위함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구축함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뱅가드R
상륙함LPH오션급R
LPD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군수지원함RFA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파일:type_31.jpg
Type 31 Inspiration-class Frigate

1. 개요
2. 상세
3. 성능
4. 수출
5. 제원
6. 동형함 목록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영국 왕립 해군의 차세대 '경량' 다목적 호위함.[1]

현재 건조 진행 중인 26형 호위함과 함께 영국 수상함대의 마당발을 담당하게 될 전투함. 26형 호위함이 강력한 대잠수함 전투 능력과 화력을 갖춘 대형 전투함이라면, 31형 호위함은 좀 더 작지만 저렴하고, 보다 다양한 임무에 투입될 수 있는 함선으로 설계됐다.

2021년 5월 19일, 왕립 해군 당국은 31형 호위함에 Inspiration이라는 함급명을 부여하였다.#


2. 상세[편집]


26형 호위함 8척은 45형 구축함 6척과 함께 영국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타격단의 주요 대잠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1급 함선들이 항모전단에 편성되어 임무에 나서고 나면 선단호위, 해적퇴치 등 비교적 저강도 임무를 수행할 함선들이 부족해진다.

때문에 영국 해군은 26형 호위함의 염가판이라 할 수 있는 31형 다목적 호위함을 "최소 5척 이상" 건조하여 영국 해군의 수상함 함선 대수를 점진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립 함선 건조 계획(National shipbuilding plan)'이라 불린 이 계획은 영국 해군 최초로 BAE 시스템스의 독점 계약이 아닌, 여러 기업체의 디자인을 경쟁 입찰시켜 그 중 가장 조건에 부합하는 함선 디자인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제출된 여러 계획들 중 2018년 12월에 BAE 시스템스의 Leander, 밥콕의 Arrowhead 140,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MEKO A-200으로 이루어진 3개의 후보로 축소되었다.

파일:D1j2ycGXcAYLvb2.jpg

이후 2019년 9월 12일, 영국의 인프라스트럭처 및 방위산업체인 밥콕 인터내셔널 사와 탈레스 영국 지사가 합작한 컨소시엄이 제안한 '애로우헤드140' 설계안이 최종 선정됐다.

1번함은 2021년 여름부터 기공에 들어갈 예정이며, 2023년 진수돼 무려 2027년 취역하게 된다. 진수와 취역텀이 이렇게 크게 나는 것은 역시 예산문제로, 영국의 빠듯한 재정상황 하에서 방위산업체의 현재의 일감을 유지시키는 대신 취득년도를 가능한 지연시킴으로써 운영비를 줄인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3. 성능[편집]


31형 호위함은 덴마크 해군의 이베르 휘트펠트급 호위함을 일부[2] 수정한 설계안이다. 즉 사실상 이베르 휘트펠트급과 완전히 동일한 제원을 보유하고 있다.

덴마크 해군의 이베르 휘트펠트급은 광역 방공 호위함으로 쓰이고 있으나, 대잠수함 전투를 어느 정도 상정해 선체설계(Quiet hull)에 반영했고[3], 상당한 수준의 데미지 컨트롤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강력한 화력과 거친 북해 바다를 뚫고 이동할 수 있는 안정적인 항해 성능으로 유명하다.

파일:Arrowhead-140.jpg

파일:Arrowhead-140_2.jpg

31형 호위함의 가장 큰 장점은 높은 성장 잠재력이다. 위 컨셉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40~57mm 함포를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구획이 있으며, 함선의 중앙 데크에 미국제 Mk41 스트라이크 VLS 총 32셀을 장착하고도 8발의 캐니스터 대함미사일을 추가로 탑재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영국의 CAMM 대공 미사일 48발을 탑재하고도 20셀의 VLS 구획과 8발의 대함 미사일이 남는 셈.

또한 원본이 이베르 휘트펠트급이기 때문에 향후 강력한 성능을 지닌 레이더를 추가 연구 비용 없이 바로 탑재할 수 있으며, 대잠 호위함에게는 필수적인 예인 소나도 쉽게 통합할 수 있다.

다만 향후 추가장비 탑재 및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여유가 넉넉하다는 이야기는 역으로 말하면, 당장은 깡통이라는 말이 된다. 실제로 영국 해군이 운용할 31형 호위함은 CAAM VLS를 12셀 장착하며[4], 대함 미사일은 없고, 대지 공격수단도 57mm 뿐이고, 자체 대잠 능력도 대잠 헬기 이외에는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예산 제한에 묶여 향후 업그레이드를 기대하고 건조하는 제한된 성능의 전투함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의 전반적인 군비 증강에 따라 2023년 5월 17일, Mk.41 VLS 32셀의 탑재가 결정되었고, 23형 호위함 퇴역시 남는 NSM 대함미사일 탑재가 고려되는등 경무장 호위함에서 다목적 호위함으로 거듭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4. 수출[편집]


인도네시아 해군이 첫 고객이 되었다. 2021년 9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국제 방위산업 컨퍼런스 DSEI 2021에서 밥콕 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국방장관 프라보워 수비안토가 참석한 가운데 Arrowhead 140 2척을 인도네시아 공영 조선소에서 라이센스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3월, 폴란드 해군의 차기 프리깃 사업에서 독일의 MEKO A300을 누르고 선정되었다. 이는 2월 경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에 소극적이었던 독일보다 적극적으로 나선 영국과의 관계 강화를 중시한 결과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 또한 폴란드는 31형에서 사용될 CAMM 시 셉터의 지대공형 시스템인 스카이 세이버 또한 러시아제 SA-8 게코/9K3 오사를 후계하는 단거리 방공 시스템으로 선정했으며, 영국은 전례없는 규모의 기술이전과 함께 CAMM 미사일 제조에 폴란드 기업 참가를 허용했다.#


5. 제원[편집]


31형 인스퍼레이션급 호위함
Type 31 Inspiration-class Frigate
건조 업체밥콕 인터내셔널 + 탈레스 UK 컨소시엄
초도함 취역2027년 예정
건조 예정5척
건조 대수-
기준배수량5,700톤
만재배수량6,600톤
전장138.7m
전폭19.8m
동력방식CODAD
기관Rolls-Royce/MTU 20V 8000 M71 디젤엔진 x 4기(8.2MW)
16V 2000 M41B 발전기 x 2기(900kW)
추진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최대속력28노트 (약 51.8km/h) 이상
항속거리17,000 km
승조원80~110명 (최대 160명)
레이더대공탈레스 NS110 AESA 레이더
수상Terma Scanter
항해레이시온 NSX 내비게이션 레이더
소나고정-
예인-
기만체계디코이-
ESMVigile-D
광학센서탈레스 Mirador Mk2 EOS x 2
대공전투시스템탈레스 TACTICOS 전투 시스템
통신/데이터링크Viasat Ultrahigh-frequency satellite communications
무장주포보포스 57mm Mk.110 함포
부포보포스 40mm Mk.4 대공포 x 2문
대공Mk.41 VLS x 32셀
Sea Ceptor
근접방어체계7.62mm 기관총 x 4문
M134 미니건 x 4문
탑재 선박중형/소형 UUV/USV
RHIB 보트 x 3척
탑재 항공기AW-159 와일드캣 x 1
EH-101 HM.2 멀린 x 1
건조비£250 million (약 4,000억 원)


6. 동형함 목록[편집]


영국 왕립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퇴역일상태
1액티브 (Active)2021년 9월 23일2023년2027년-건조 중
2불독 (Bulldog)2023년 1월 24일-
3포미더블 (Formidable)-건조 예정
4벤튜어러 (Ventuerer)-
5캠벨타운 (Campbeltown)-
인도네시아 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퇴역일상태
6-2023년 8월 25일---건조 중
7-----건조 예정
폴란드 해군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퇴역일상태
8-----건조 예정
9-----
10-----


7. 둘러보기[편집]





파일:폴란드 해군 함수기.png 현대의 폴란드 해군 함정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해군 (1990~현재)
Marynarka Wojenna
잠수함
SS{오르카 사업} | 오제우(3대/1986) | 소쿠우급(4대/2002)R | 빌크급(2대/1987)R
미사일 고속정 (FACG)
오르칸급(2대/1992) | 헬급R
원양초계함 (OPV)
가브론급
초계함
PC카슈프(3대/1987)
PCG
구르니크급R
호위함
FFG
{미에츠니크급} |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급
구축함
DDG
바르샤바 3대/1988R
상륙함
LST
폴로시니급R, 루블린급
기뢰전함
소해함
코모란 2급 | 가르드노급 | 맘리급 | 고프워
지원함
급유함 (AOR)
바우티크급
구난함 (ARS)
피아스트급 | 즈비슈코급
소해 지휘함
콘트라드미라우 사웨리 체르니키급
정찰함 (AGOS)
{델핀급} | 나비가토르급
지원정예인정 (YT)
연구함헤벨리우시급
훈련함보드니크급 | 이스크라급(2대/198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6:44:16에 나무위키 31형 호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어디까지나 26형 호위함과 비교했을 때 경량으로, 만재 6600톤의 배수량을 보유해 사실상 유럽의 아키텐급과 비슷한 규모다![2] 함선 규격을 영국 로이드 선사에 맞게 수정했다고 한다[3] 다만 추진체계가 CODAD고, 31형 호위함의 경우 진동흡수마운트도 없기에 본격적인 대잠 전투함인 26형 호위함보다는 정숙성이 많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4] 원래 24셀 장착 예정이었으나 예산 압박으로 인해 반토막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