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브(초계함)

덤프버전 : (♥ 0)

파일:폴란드 해군 함수기.png 현대의 폴란드 해군 함정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 해군 (1990~현재)
Marynarka Wojenna
잠수함
SS{오르카 사업} | 오제우(3대/1986) | 소쿠우급(4대/2002)R | 빌크급(2대/1987)R
미사일 고속정 (FACG)
오르칸급(2대/1992) | 헬급R
원양초계함 (OPV)
가브론급
초계함
PC카슈프(3대/1987)
PCG
구르니크급R
호위함
FFG
{미에츠니크급} |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급
구축함
DDG
바르샤바 3대/1988R
상륙함
LST
폴로시니급R, 루블린급
기뢰전함
소해함
코모란 2급 | 가르드노급 | 맘리급 | 고프워
지원함
급유함 (AOR)
바우티크급
구난함 (ARS)
피아스트급 | 즈비슈코급
소해 지휘함
콘트라드미라우 사웨리 체르니키급
정찰함 (AGOS)
{델핀급} | 나비가토르급
지원정예인정 (YT)
연구함헤벨리우시급
훈련함보드니크급 | 이스크라급(2대/198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파일:카슈브(초계함).jpg
파일:ORP_Kaszub_Gdynia.jpg
ORP Kaszub

1. 개요
2. 설명
3. 추가 건조
4. 제원
5. 기타


1. 개요[편집]


프로젝트 620형 및 카슈브는 폴란드 해군 9해안방어소함대 소속 초계함이다.[1]


2. 설명[편집]


승인은 1975년에 됐으나, 소련으로부터 무장 인도가 늦어져 일정보다 훨씬 늦게 건조가 착수됐다.[2] 구잠함에 가까웠던 기존의 구축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당시 모든 폴란드 기술이 집약됐으며, 모형 실험도 진행됐다.[3]

상부 구조물은 매끄러운 고강도 강철 + 알루미늄이라 레이더 반사율 최소화에 성공했다. 꽤 두꺼운 얼음도 깨부수며 항해할 수 있으며, 기타 성능도 해군 요구 사항을 만족시켰다.


3. 추가 건조[편집]


620-II형 6척이 계획됐으나 예산 등의 이유로 취소됐다.


4. 제원[편집]


기공1984년 6월 9일
진수1986년 5월 11일
취역1987년 3월 15일
퇴역
표준배수량1,068t
만재배수량1,202t
전장82.34m
전폭10m
흘수3.1m
4.9m (소나 돔 포함 시)
추진방식CODAD
디젤 엔진체지엘스키-슐처 AS16V 25/30 4기 (총 16,660SHP)
최고 속력27kn (약 50km/h)
항속 거리14kn (약 26km/h)에서 5,600km 정도
승조원67명
전자 장비대공 레이더MR-302
대함 레이더SRN-7453
항법 레이더SRN-441XT
중주파 능동식 소나MG-322T
고주파 디핑식 소나MG-392M
무장주포AK-176 76mm 함포 1문
부포트리톤 AM-35 35mm 대공포 1문
ZU-23-2M 2연장 23mm 대공포 2문
대공스트렐라-2M 발사대 2문
대잠2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문
SET-53M 어뢰 n발
RBU-6000 12연장 212mm 로켓 발사대 2문
폭뢰 발사대 2문
폭뢰16발


5. 기타[편집]


1994년 BALTOPS에 참가해 최초로 NATO 소속 군함과 활동한 폴란드 군함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22:23:26에 나무위키 카슈브(초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문 위키에선 프로젝트 620'급'으로 서술됐는데, 1척만 건조됐기 때문에 제목에 '형'을 넣어 서술했다.[2] 당시 폴란드는 독자적으로 무장을 개발할 기술이 없었다.[3]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인데, 소련을 제외한 동구권 쪽 국가의 함정도 NATO 코드명을 가진다. 프로젝트 620형의 경우 BAL-COM(BALtic COMbat)-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