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2대 국회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지역구 및 비례대표 의원들의 목록과 의석 변화 현황에 대한 내용은 제22대 국회의원 문서
제22대 국회의원번 문단을
제22대 국회의원#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
第22代國會
2024년 5월 30일 ~ 2028년 5월 29일
이전이후
제21대 국회제23대 국회
개원일2024년 6월 5일[1]
의원정수300석[2]
의장전반기: 우원식 ,(2024.6.5.~현재),
후반기: 미정
부의장전반기: 이학영, 공석
후반기: 미정
제1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4.5.30.~)
정부윤석열 정부 (2024.5.30.~2027.5.9.)
차기 정부 (2027.5.10.~2028.5.29.)[예정]
원내정당[3]
[ 의석수 보기 ]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조국혁신당, 개혁신당, 진보당, 새로운미래,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
1. 개요
2.1. 정당 분포
3. 원구성
3.1. 의장단
3.2. 상임위원회·상설특별위원회
3.3. 비상설특별위원회
3.4. 원내 구성
3.5. 퇴직·사직 의원
4. 의사 활동
4.1. 주요 사건
4.1.1. 2024년
4.1.2. 2025년
4.1.3. 2026년
4.1.4. 2027년
4.1.5. 2028년
4.2. 주요 입법
4.2.1. 2024년
4.2.2. 2025년
4.2.3. 2026년
4.2.4. 2027년
4.2.5. 2028년
4.3. 정당별 활동
5. 기록
6. 기타



1. 개요[편집]


사무총장 백재현: 자리를 정돈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회사무총장 백재현입니다. 제22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신 의원님들의 등원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제415회 국회(임시회) 제1차 국회본회의 회의록 첫 구절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선출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대한민국22번째 국회. 2024년 5월 30일에 임기를 시작하였다.

제6공화국 8번째 정부 윤석열 정부의 임기 중후반기, 그리고 2027년 5월 10일 출범하는 대한민국 제6공화국 9번째 정부의 임기 1년차를 함께 할 국회이기도 하다.

6월 5일, 여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이 원구성 문제로 개원에 불참하면서 헌정 사상 처음으로 야당들만으로 국회가 개원하였다.

2. 국회의원[편집]


파일:국회CI.svg

||
[ 펼치기 · 접기 ]
2024.5.30. ~ 2028.5.29.

여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08석
||
야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170석
||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파일:개혁신당 신 로고타입(반전).svg
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석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1석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석

재적
300석



[ 임기 개시 ]
2024.5.30. ~ 2028.5.29.

여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08석
야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171석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석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1석
파일:새진보연합 화이트 로고.svg
1석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svg
1석
||
재적
300석
임시의정원 ·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제헌 · 2 · 3 · 4 · 5민 · 5참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2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재적 300석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국민의미래더불어민주연합
161석90석18석14석
53.67%30.00%6.00%4.67%
조국혁신당개혁신당새로운미래진보당
12석3석1석1석
4.00%1.00%0.33%0.33%

2024년 6월 5일 기준
재적 300석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조국혁신당개혁신당
170석108석12석3석
56.67%36.00%4.00%1.00%
진보당새로운미래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
3석1석1석1석
1.00%0.33%0.33%0.33%
무소속
1석
0.33%

파일:제22대 국회의원(2024.6.6.).svg[4]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개혁신당진보당[5]새로운미래
||

2.1. 정당 분포[편집]


2024년 6월 5일 기준 국회 의석수
재적 300석
범여권범야권
국민의힘108석더불어민주당170석
조국혁신당12석
개혁신당3석
진보당3석
새로운미래1석
기본소득당1석
사회민주당1석
무소속1석[A]
108석192석

현재 국회 의석수 그래프화파일: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아치형 의석_개원전1.svg파일:2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아치형 의석(다크).svg

2024년 6월 5일 기준 국회 의석수
재적 300석
진보정당민주당계 정당제3지대 정당보수정당
진보당3석더불어민주당170석개혁신당3석국민의힘108석
기본소득당1석조국혁신당12석새로운미래[6]1석
사회민주당1석무소속1석[A]
5석183석4석108석

3. 원구성[편집]


제22대 국회 원구성 결과
의장부의장운영위법사위정무위기재위교육위과방위외통위국방위행안위문체위농림위산업위복지위환노위국토위정보위여가위예결위
21대후반민주국힘국힘국힘국힘민주국힘민주국힘국힘국힘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국힘민주민주
22대전반민주민주국힘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민주
후반

3.1. 의장단[편집]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3.2. 상임위원회·상설특별위원회[편집]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상임위원회상설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운영위원장[A]법제사법위원장정무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윤재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도읍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백혜련
기획재정위원장교육위원장
과학기술정보
방송통신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상훈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민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제원
외교통일위원장국방위원장행정안전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태호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한기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교흥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농림축산식품
해양수산위원장
산업통상자원
중소벤처기업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상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소병훈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정
보건복지위원장환경노동위원장국토교통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동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정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민기
정보위원장여성가족위원장
예산결산특별위원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덕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인숙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
비상설특별위원회 위원장
윤리특별위원장
정치개혁특별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변재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남인순
[A] 여당 원내대표가 겸직





3.3. 비상설특별위원회[편집]




3.4. 원내 구성[편집]


구분지역구비례대표총합대표의원[9]
교섭단체
더불어민주당160석10석170석박찬대
국민의힘90석18석108석추경호
비교섭단체
조국혁신당[10]0석12석12석황운하
개혁신당1석2석3석천하람
진보당1석2석3석윤종오
새로운미래1석0석1석김종민
기본소득당0석1석1석용혜인
사회민주당0석1석1석한창민
무소속1석[A]0석1석
254석46석300석

3.5. 퇴직·사직 의원[편집]


날짜이름정당지역구사유후임

4. 의사 활동[편집]


번호횟수구분기간일수본회의의안 가결비고
1제415회임시회2024년 6월 5일 ~ 2024년 월 일일간

4.1. 주요 사건[편집]



4.1.1. 2024년[편집]



4.1.2. 2025년[편집]



4.1.3. 2026년[편집]



4.1.4. 2027년[편집]



4.1.5. 2028년[편집]



4.2. 주요 입법[편집]



4.2.1. 2024년[편집]



4.2.2. 2025년[편집]



4.2.3. 2026년[편집]



4.2.4. 2027년[편집]



4.2.5. 2028년[편집]



4.3. 정당별 활동[편집]




5. 기록[편집]



6.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19:46:02에 나무위키 제22대 국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4년 5월 30일부터 임기를 시작했지만 개원식은 6월 5일에 했다.[2] 지역구 254석, 비례대표 46석.[예정] [3] 의석수 순 기재, 동일 의석수면 총선 비례대표 득표율 순 기재.[4] 2024년 6월 5일 기준.[5] 지도에서 빗금으로 색이 유사한 국민의힘과 구분.[A] A B C 우원식 의장.[6] 민주당계 정당으로도 분류[a] A B C 대한민국 국회의장은 정치적 중립 유지를 위해 제정된 국회법 제20조의 당적 보유 금지 규정에 따라 기존 소속 정당에서 탈당하여야 한다. 원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7] 원 구성 법정시한인 2024년 6월 7일, 더불어민주당은 원 구성을 위해 국회 18개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할 민주당 몫의 상임위원, 그리고 상임위원장 명단을 모두 확정해 국회에 제출했다. 국민의힘이 원 구성 협상을 지속적으로 거부하자 민주당은 11명의 상임위원장 내정자를 발표하며 국민의힘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또한 정무위, 기재위, 외통위, 국방위, 산자위, 정보위, 여가위의 위원장 자리를 놓고 국민의힘과 추가 협상을 할 뜻이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 국민의힘은 법제사법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국민의힘에 넘겨야만 협상에 임하겠다고 하였고, 투표시한이 다가오자 법제사법위원회라도 넘기라고 요구했다. 민주당이 이를 거부하자, 국민의힘은 이재명 방탄 의도라고 비판하였고, #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특검 법안 처리를 막으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 6월 10일 여야 협상이 최종 결렬됨에 따라 여당인 국민의힘만 표결에 불참하였고, 다른 모든 야당이 참여한 가운데 본회의 표결을 거쳐 민주당이 단독으로 상임위원장에 선출되었다. #[8] 아래에 이름이 적힌 의원들은 6월 7일에 민주당에서 발표한 11명의 상임위원장 내정자들로, 6월 10일 여야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본회의 표결을 거쳐 민주당이 단독으로 상임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두고 국민의힘과 추가 협상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예정대로 6월 13일에 표결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9] 일명 원내대표[10] 조국혁신당은 비교섭단체 중 5석 이상으로 비교섭단체 대표연설이 가능하며, 이 경우 조국 당대표가 본회의에서 발언할 기회를 얻게 된다. 의석수가 10석 이상이므로 독자적인 법안 발의 역시 가능하다. 즉, 비교섭단체이지만 전반적인 국회 운영에서 교섭단체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11]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6선 의원이자, 여성 최다선 의원.[12] 초선 132명, 재선 79명, 3선 47명, 4선 24명, 5선 14명, 6선 4명.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