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E조

덤프버전 :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경기 (E조)
바레인전 (1차전) · 요르단전 (2차전) · 말레이시아전 (3차전)
결선 토너먼트
16강준결승결승
8강
||



1. 개요
2. 일정
3. 팀 전력
4. 역대 전적 및 최근 맞대결
5. 경기 진행
5.2. 2경기 말레이시아 vs 요르단
5.4. 4경기 바레인 vs 말레이시아
5.6. 5-2경기 요르단 vs 바레인
6. 총평


1. 개요[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00000000
2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00000000
3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00000000
4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00000000
16강 진출 | 탈락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에서 대한민국이 속한 조별리그 E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전체적으로는 1강(대한민국), 2중(요르단, 바레인), 1약(말레이시아) 체제다.

역대 가장 강한 스쿼드라는 평가도 받고 있는 대한민국이 큰 무리 없이 조 1위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 허나 나름 까다로운 상대가 걸리긴 했다.

우선 요르단의 경우 랭킹 상에서는 2포트 최하위였지만 언제 무슨 사고를 칠지 모르는 대표적인 아시아의 복병이다. 가끔 뜬금없이 아시아 강호들의 발목을 잡는 능력이 있고, 실제로 지난 대회에서는 조별리그 1차전에서 디펜딩 챔피언 호주를 잡기도 했다. 거기다 요르단은 연령을 불문하고 한국이 나름 까다로워 하는 상대 중 하나이다.[1] 한국은 요르단에 3승 2무를 기록중인데, 그 3승마저도 전부 1:0으로 이겼다. 즉 한국은 축구를 시작한 이후로 요르단에 2점차 이상으로 이겨본 적이 없다는 것. 무사 알 타마리라는 확실한 에이스가 있고 대한민국과 상성이 안 좋은 편인 요르단은 특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요르단의 무서운 성장을 증명하듯 요르단은 6월과 9월 모두 해외 팀들과 A매치를 성사시키는데 성공했다. 심지어 그 팀도 6월에는 세르비아, 자메이카, 9월에는 노르웨이, 아제르바이잔으로, 아시아 1포트급 국가들과 비교해도 꿇리지 않거나 혹은 그 이상인 상대들과 A매치를 성사시킨 것. 그리고 경기력 면에서도 엄청난 저력을 보여줬는데, 자메이카에는 2:1로 이겼고, 세르비아에는 2:3으로 석패했다. 특히 세르비아전의 경우 상대가 1.5군으로 나온 상태에서 전반 7분 선제 실점하고 0:1로 전반전을 마친뒤, 세르비아가 후반 시작과 동시에 두샨 타디치,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등 월드컵에 나왔던 선수들까지 총 출격 시키며 1군을 내보냈는데, 오히려 요르단이 후반 중반 2골을 넣으며 세르비아를 밀어붙이기 시작했다. 이렇듯 정말로 세르비아를 잡을 뻔했으나 역전 이후 선수 교체 과정에서 밸런스가 깨져버렸고 이 틈을 놓치지 않고 세르비아가 후반 막판 2골을 넣어 역전패를 당했다. 하지만 6월 2연전을 통해 요르단의 강함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엘링 홀란드가 결장한 노르웨이에게 6-0으로 개발살이 나며 객관적인 전력은 아직 멀었음을 증명하기도 했다.

바레인 역시 2007년 대회에서 바레인 쇼크를 안기고, 2011년 대회에서도 한국에 1:2로 석패했으며, 지난 2019년 대회에서는 16강에서 한국을 연장까지 끌고 가게 하는 등 아시안컵에서는 한국 상대로 상성이 나름 좋은 편이다. 바레인은 2023년 7월 기준 FIFA 랭킹 86위, 요르단은 82위로 단 네 계단밖에 차이나지 않는 만큼 사실상 2포트 둘이라고 보는 게 옳다.

말레이시아는 조 최약체지만 얼마 전까지 대한축구협회에 재직했던 김판곤 감독이 이끌고 있어 마냥 물로 볼 수는 없다. 말레이시아김판곤 감독이 조국을 상대로 팀의 역사상 첫 토너먼트 진출을 노리게 된다.

또한 이 조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의 남자 축구의 E조의 재림이기도 하다. E조인 것까지 일치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F조로 빠진 키르기스스탄 대신 요르단이 들어온 것 뿐이다.

만약 한국이 조 1위를 차지하면 이번에 월드컵에 출전했던 호주,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이란이 모두 조 1위를 차지한다는 가정 하에 8강에서 이란을 만나면 결승까지는 호주, 사우디, 일본을 모두 만나지 않을 확률이 매우 높으나, 혹여나 조 2위를 차지하면 어디까지 올라갈지는 모르지만 결승 전까지 호주, 사우디, 일본을 다 만나야 할 확률이 매우 높다. 즉, 무조건 조 1위를 해내야 하는 상황. 물론 호주, 사우디, 일본이 무조건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한다는 보장 또한 없다. 하지만, 이 세 팀의 전력상 조 1위를 차지하는 것이 정배이기에 한국으로서는 어떤 상황이 되어도 1위를 차지하는 것이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

2. 일정[편집]



3. 팀 전력[편집]



3.1. 대한민국[편집]


  • 예선 성적: 2차 예선 H조 5승 1무 0패 조 1위
  • 최근 아시안컵 3개 대회 기록: 2011 3위, 2015 준우승, 2019 8강
  • 최근 아시안컵 성적: 2019년 4승 0무 1패 8강
포지션별 키 플레이어
감독
파일:독일 국기.svg

위르겐 클린스만
선수 시절 스타 공격수로 이름을 날린 레전드지만, 감독으로서는 극단적으로 평가가 갈린다. 클럽 팀에서는 부진하거나 무책임한 행동으로 빈축을 샀으나, 국가대표팀 감독으로는 독일 대표팀을 이끌고 월드컵 3위, 미국 대표팀을 이끌고 월드컵 16강과 2013 CONCACAF 골드컵 우승,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 4강을 만들어내는 등 묘하게 성과가 그럭저럭인 편이다. 다만 전술 변화에 무감각하다는 의혹이 남아있으므로 아시안컵에서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해졌고, 대한축구협회도 클린스만의 아시안컵 성적을 재신임 기준으로 삼았다.
공격수손흥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아시아 선수 최초의 4대 리그 득점왕이자 프리미어 리그에서 100골을 돌파한 세계적인 공격수. 2022-23 시즌 초반에는 부진하는 모습도 보였으나 감독 교체 이후 조금씩 폼을 되찾고 있다. 클린스만호의 첫 A매치였던 콜롬비아전에서 원맨쇼를 펼치며 클린스만호에서도 주축으로 뛸 것으로 보인다. 이번 아시안컵은 사실상 전성기 시점에서 맞는 마지막 아시안컵으로, 유망주로 나섰던 2011년, 결승전에서 극적인 동점골을 넣었지만 우승에는 실패했던 2015년, 기대를 모았지만 8강에서 멈춘 2019년 대회에서 좌절했던 손흥민이 2023년에는 웃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드필더이강인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이재성, 황인범, 홍현석 등이 한꺼번에 나오는 등 한국의 미드필더진은 유례 없는 황금기를 맞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이강인도 있다. 현재 오현규 등과 함께 대표팀의 차기 세대교체 주축으로 여겨지고 있는 이강인은 2019 U-20 월드컵 골든볼을 수상한 이후 성인 무대에서 한동안 고전하다 2022-23 시즌 전 소속팀인 RCD 마요르카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터트리는 최고의 시즌을 보냈으며, 라리가 최고의 미드필더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라리가에서의 활약으로 극적으로 승선한 월드컵에서도 어시스트를 하나 기록했다. 벤투호에서는 서브 자원으로 주로 활용이 되었으나 클린스만호에서는 주전으로 기용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동안 손흥민 의존도가 컸던 한국 공격진의 창의성이 배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비수김민재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아시아 선수 최초의 세리에 A 우승 수비수이자 박지성,[2] 정우영[3] 이후 3번째 유럽 리그 4대 리그 우승 선수. 2022-23시즌, 전 소속팀 SSC 나폴리가 33년만의 스쿠데토를 탈환한 데에는 김민재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냈고, 유럽 진출 2년 만에 세계에서 손꼽히는 중앙 수비수로 성장했다. 이번 아시안컵에서도 수비의 핵으로 뛰게 될 텐데 수비에 김민재 의존도가 너무 높다는 부분이 문제라서 박지수 등이 대표팀에 빠르게 자리잡아 김민재의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골키퍼김승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샤바브 FC
대한민국 최초로 중동 리그에 진출한 골키퍼로, 올 시즌 알 샤바브에서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벤투호에서는 부동의 주전이었고 전반적으로 준수한 모습을 보였으나 월드컵에서 보여준 기복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하며, 클린스만이 우루과이전에서는 조현우를 기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 때문에 김승규가 벤투호 때와는 달리 확고한 주전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3.2. 말레이시아[편집]


  • 예선 성적: 3차 예선 E조 2승 0무 1패 조 2위
  • 최근 아시안컵 3개 대회 기록: 2011 예선 탈락, 2015 예선 탈락, 2019 예선 탈락
  • 최근 아시안컵 성적: 2007년 0승 0무 3패 조별리그 C조 4위
포지션별 키 플레이어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판곤
홍콩 대표팀에 오랫동안 재임하며 감독과 행정가로 큰 활약을 했고, 대한축구협회 국가대표감독선임위원장으로 부임하면서 파울루 벤투콜린 벨을 사령탑으로 데려오는 데 성공해 대한민국 축구 팬들의 지지가 높다. 2021년부터 말레이시아 대표팀을 맡아 무려 43년 만에 아시안컵 본선 자력 진출을 이끄는 모습을 보여주며 말레이시아 축구팬들의 영웅으로 등극했다. 객관적 최약체로 분류되는 말레이시아를 데리고 아시안컵에서 성과를 낼 수 있을 지가 주목된다. 공교롭게 조별리그에서 자신의 조국인 대한민국을 상대한다.
공격수사파위 라시드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조호르 다룰 탁짐 FC
말레이시아 대표팀의 에이스로, U-23 대표팀 시절 반둥 쇼크의 주인공이다. 잠깐이지만 포르티모넨스 SC로 임대되어 유럽에 진출한 적도 있다.
미드필더브랜던 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슬랑오르 FC
말레이시아와 호주의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주 포지션은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이다. 한동안 암 투병을 하느라 1년 가랑을 결장했으나 2022년 복귀해 동남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모든 경기를 소화했다.
수비수도미닉 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사바 FC
포지션은 센터백이고, 싱가포르에서 태어났지만 말레이시아 대표팀을 선택했다. 2019년에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른 뒤 2022년부터 주전으로 자리잡았다. 동남아시아 선수권 대회 모든 경기에 출장했으며 2023년 3월 투르크메니스탄전에서 선발 풀타임을 소화했다.
골키퍼시한 하즈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느그리슴빌란 FC
2022년부터 적극적으로 기용되기 시작하며 주전 골키퍼 자리를 차지했다. 5:0으로 이긴 라오스전을 제외하고 동남아시아 선수권 대회 전 경기에 출장했으며 두 차례의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3.3. 요르단[편집]


  • 예선 성적: 3차 예선 A조 3승 0무 0패 조 1위
  • 최근 아시안컵 3개 대회 기록: 2011 8강, 2015 조별리그, 2019 16강
  • 최근 아시안컵 성적: 2019년 2승 2무 0패 16강
포지션별 키 플레이어
감독
파일:모로코 국기.svg

후세인 아모타
알 사드 SC, 위다드 AC 등 주로 중동 리그에서 감독 커리어를 쌓았다. 2023년 6월 26일 요르단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공격수무사 알 타마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몽펠리에 HSC
요르단의 에이스이자 미래. 이미 어릴 때부터 아포엘 FC에서 뛰었고, 벨기에 리그에서 한동안 부침을 겪다 2021-22 시즌 윙백으로 기량을 만개했으며, 2022-23 시즌부터는 본 포지션인 윙어로 자리잡는 데 성공했다. 현재 리그앙 진출이 예고되어 있다.
미드필더아흐메드 사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알 나스르 SC
66경기에 출전해 5골을 기록한 베테랑 미드필더로, 2019년 아시안컵에도 출전했다. 가장 최근 공격포인트는 호주와의 친선전에서 나온 어시스트이다.
수비수야잔 알 아랍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슬랑오르 FC
왼쪽 센터백으로 출전해 압델라 나시브와 호흡을 맞추고 있다. 104경기에 나서고 국가대표를 은퇴한 아나스 바니 야신의 빈 자리를 알 아랍과 나시브가 메워야 한다. 공교롭게도 자신의 소속팀 동료들과 맞붙게 되었다.
골키퍼하산 아불라일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자발라인 FC
A매치 23경기를 치렀으며, 2000년생 골키퍼 압델라 알 파코우리와 경쟁하고 있다. 요르단 리그에서 뛰다가 현재는 사우디 2부 리그 자발라인에서 뛰고 있다.

3.4. 바레인[편집]


  • 예선 성적: 3차 예선 E조 3승 0무 0패 조 1위
  • 최근 아시안컵 3개 대회 기록: 2011 조별리그, 2015 조별리그, 2019 16강
  • 최근 아시안컵 성적: 2019년 1승 1무 2패 16강
포지션별 키 플레이어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안토니오 피치
2016년 칠레 대표팀의 코파 아메리카 우승을 이끈 감독이며,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여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24년 만에 사우디에게 월드컵 승리를 안겨주었으나, 2019 아시안컵 16강전에서 일본 대표팀을 만나 광탈한 이후로는 감독 커리어가 정체된 상태다. 2023년 7월 엘리우 소자의 후임으로 바레인 대표팀에 부임했다.
공격수압둘라 유수프
파일:체코 국기.svg

FK 믈라다볼레슬라프
약 4년 간 체코 리그에서 뛰며 순수 바레인 선수로 유럽 리그에 진출한 최초의 선수다. 바레인을 대표하는 골잡이이며 2019년 아시안컵 당시 대한민국과의 16강전에 출전했다.
미드필더압둘와하브 알 말루드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무하라크 SC
공격형 미드필더로 주로 나서며 중앙 미드필더와 윙어도 볼 수 있다. 59경기에 출전해 5골을 득점했다.
수비수사예드 디야
파일:바레인 국기.svg

알 카디야 FC
바레인의 주전 레프트백으로, 91경기에 나서 7골을 기록하고 있지만 아직 1992년생으로 은퇴와는 거리가 멀다. 최근에는 주장 완장도 종종 차고 있다.
골키퍼사예드 모하메드 자페르알 무하라크 SC
2004년에 데뷔해 현재까지 국가대표로 소집되고 있는 바레인 대표팀 역대 최다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는 골키퍼. 최근에도 거의 대부분 주전으로 출전하고 있다.

4. 역대 전적 및 최근 맞대결[편집]


  • 대한민국 vs 바레인
    • 역대 전적 : 16전 11승 4무 1패 대한민국 우세[4]
    • 최근 맞대결 : 2019년 1월 22일 AFC 아시안컵 본선 16강 7경기 2:1 대한민국 승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말레이시아 vs 요르단
    • 역대 전적 : 5전 3승 2무 요르단 우세
    • 최근 맞대결 : 2021년 10월 6일 친선경기 토너먼트 4:0 요르단 승 (요르단, 암만)
  • 요르단 vs 대한민국
    • 역대 전적 : 5전 3승 2무 대한민국 우세
    • 최근 맞대결 : 2014년 11월 14일 친선경기 1:0 대한민국 승 (요르단, 암만)
  • 바레인 vs 말레이시아
  • 대한민국 vs 말레이시아
    • 역대 전적 : 46전 26승 12무 8패 대한민국 우세[2군]
    • 최근 맞대결 : 1989년 6월 5일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예선 4조 5차전 1경기 3:0 대한민국 승 (싱가포르, 싱가포르)[2군]
  • 요르단 vs 바레인
    • 역대 전적 : 27전 12승 6무 9패 요르단 우세
    • 최근 맞대결 : 2021년 9월 7일 친선경기 토너먼트 2:1 요르단 승 (바레인, 리파)

5. 경기 진행[편집]



5.1. 1경기 대한민국 vs 바레인[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1경기
2024년 1월 15일 월요일 20:30 (UTC+9)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ffffff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 : -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png
{#00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c9100e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5.2. 2경기 말레이시아 vs 요르단[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2경기
2024년 1월 16일 (화) 02:30 (UTC+9)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 와크라,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 : -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000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5.3. 3경기 요르단 vs 대한민국[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3경기
2024년 1월 20일 토요일 20:30 (UTC+9)
[[알투마마 스타디움|{{{#ffffff 알투마마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 :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000000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5.4. 4경기 바레인 vs 말레이시아[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4경기
2024년 1월 20일 (토) 23:30 (UTC+9)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png
- : -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fff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5.5. 5-1경기 대한민국 vs 말레이시아[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5-1경기
2024년 1월 25일 목요일 20:30 (UTC+9)
[[알자누브 스타디움|{{{#ffffff 알자누브 스타디움}}}]] (알와크라,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 : -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0000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5.6. 5-2경기 요르단 vs 바레인[편집]


파일: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로고_좌우.svg
AFC 아시안컵 카타르 2023 조별리그 E조 5-2경기
2024년 1월 25일 (목) 20:30 (UTC+9)
칼리파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알라이얀, 카타르)
주심:
관중: 명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 : -
파일:바레인 축구 협회 엠블럼.png
{#000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fff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득점 아이콘.svg-
Man of the Match:

6. 총평[편집]




[1] 나이대는 다르지만 올림픽 티켓이 걸려있던 2016년, 2020년 AFC U23 아시안컵에서 모두 8강에서 마주쳤는데, 2016년에는 1:0으로 이기긴 했지만 경기 내내 고전했고 오히려 오심으로 요르단의 골이 취소되는 등 한국 입장에선 흔치 않게 오심으로 이득을 보는 등 진땀을 빼야 했으며, 2020년에도 후반 막판 이동경의 극장골로 2:1로 승리하긴 했지만 동점골을 내준 이후 하마터면 역전골을 내줄 위기를 맞는 등 쉬운 경기는 아니었다.[2] A B C 2군 전적까지 모두 포함시,
역대 전적 : 53전 32승 12무 9패 대한민국 우세
최근 맞대결 : 1993년 2월 14일 친선경기(메르데카컵) 3:1 말레이시아 승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3] FC 바이에른 뮌헨분데스리가 우승.[4] 2군 전적까지 모두 포함시,
역대 전적 : 18전 12승 4무 2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