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덤프버전 : (♥ 0)

2023 세계 믹스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
2023 World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p
장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시
(강릉 컬링 센터)
기간2023년 4월 22일 ~ 29일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은메달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동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 개요
1.1. 참가 팀
1.2. 참가 선수 명단
1.3. 예선 리그전
1.3.1. A조
1.3.2. B조
1.4. 강등 플레이오프
1.5. 결선 토너먼트



1. 개요[편집]


2023년에 열린 세계선수권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 남녀 4인 단체에 대한 내용은 2023 세계컬링선수권대회 문서 참조.

대회 방식은 20개 팀이 10팀씩 2개 조로 나눠 풀리그를 치러서 각 조 3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토너먼트 단계에서는 A조 3위와 B조 2위, B조 2위와 A조 3위간 준준결승을 벌인 뒤, 준준결승 승자가 준결승에서 각 조 1위와 만나 겨뤄 준결승 승자끼리 결승, 패자끼리 동메달 결정전을 거쳐서 금, 은, 동메달을 가리게 된다. 한편 예선에서 각 조 7위 이내에 들면 다음 2024년 세계선수권대회 진출 자격을 자동 획득하며, 8 ~ 9위의 경우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팀만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총 16팀이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확보하게 된다. 강등 플레이오프 탈락 팀과 각 조 10위를 차지한 4팀은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며, 다음 대회에 진출하려면 2023년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 상위 4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2009년 세계여자선수권 이후 14년만에 대한민국에서 열린 세계컬링연맹 주관 성인 대상[1] 세계선수권 대회이다. 2009년 당시 대회도 강릉 컬링 센터[2]에서 열렸다.


1.1. 참가 팀[편집]


진출 자격진출팀 목록
2022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16)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 세계 믹스더블 퀄리피케이션 이벤트 (4)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1.2. 참가 선수 명단[편집]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여성] 바네사 토놀리
[남성] 바우터르 회스헌스
[여성] 마르티네 뢰닝
[남성] 마티아스 브렌덴
[여성] 김지윤
[남성] 정병진
[여성] 야스민 란데르
[남성] 헨릭 홀테르만
[여성] 피아리사 숄
[남성] 클라우디우스 하르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여성] 코리 티시
[남성] 코리 드롭킨
[여성] 테레세 베스트만
[남성] 로빈 알베리
[여성] 브리아 슈발러휠리만
[남성] 야니크 슈발러
(부부)
[여성] 제니퍼 도즈
[남성] 브루스 모왓
[여성] 오이하네 오타에기
[남성] 미켈 우나누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여성] 마리 칼드비
[남성] 해리 릴
[여성] 한나 아우구스틴
[남성] 마르틴 라이첼
[여성] 스테파니아 콘스탄티니
[남성] 세바스티노 아르만
[여성] 마츠무라 치아키
[남성] 타니다 야스마사
[여성] 리나 오펠
[남성] 마이클 오펠
(부녀)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여성] 줄리 첼린그로바
[남성] 비트 챠비코프스키
[여성] 제니퍼 존스
[남성] 브렌트 랭
(부부)
[여성] 딜사트 일디즈
[남성] 빌랄 외메르 차크르
[여성] 주 린다
[남성] 타타르 뢰린츠
[여성] 탈리 길
[남성] 딘 휴잇


1.3. 예선 리그전[편집]



1.3.1. A조[편집]


순위국가WL승자승DSC[DSC]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8120.79
2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721-039.89
3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720-133.72
4파일:호주 국기.svg 호주5455.32
5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451-133.35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451-135.03
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451-140.47
8파일:체코 국기.svg 체코3625.06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753.21
10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1845.74

순위국가파일:네덜란드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
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8-48-74-78-66-85-75-108-66-7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4-86-96-115-83-612-76-711-57-10
5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7-89-61-77-611-96-52-85-67-9
3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7-411-67-15-68-66-54-87-68-6
2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6-88-56-76-57-612-67-49-29-3
6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8-66-39-116-86-77-44-88-41-7
8파일:체코 국기.svg 체코7-57-125-65-66-124-73-86-59-3
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0-57-68-28-44-78-48-38-711-6
10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6-85-116-56-72-94-85-67-85-7
4파일:호주 국기.svg 호주7-610-79-76-83-97-13-96-117-5


1.3.2. B조[편집]


순위국가WL승자승DSC[DSC]
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8120.18
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722-024.05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721-124.66
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720-232.01
5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452-036.49
6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451-157.25
7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450-229.67
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71-060.43
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270-137.74
1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0962.58

순위국가파일:노르웨이 국기.svg파일:독일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파일:스웨덴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6-43-59-57-57-66-28-109-26-4
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4-61-79-47-86-76-116-78-36-12
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5-37-17-68-28-910-25-77-28-7
5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5-94-96-74-811-210-27-810-39-8
4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5-78-72-88-48-77-59-111-25-4
7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6-77-69-82-117-87-55-79-34-10
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611-62-102-105-75-72-98-26-7
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87-67-58-71-97-59-212-77-4
10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93-82-73-102-113-92-87-122-8
6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4-612-67-88-94-510-47-64-78-2


1.4. 강등 플레이오프[편집]


◎ 표시는 후공

12345678최종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00111101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10000103

12345678최종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0210102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0302018


1.5. 결선 토너먼트[편집]


2023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 결선 토너먼트
메달
결정전
결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2
동메달 결정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
준결승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2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4
준준결승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8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5
예선
A1
B2
A3
B1
A2
B3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표시는 후공

  • 준준결승
12345678최종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1010020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10310308

12345678최종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2040020X8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0102102X6

  • 준결승
12345678최종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101000X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10112X6

12345678최종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010101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10102004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최종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1000100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101110116

  • 결승
12345678최종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202102X8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0010010X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8 02:05:22에 나무위키 2023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계주니어선수권의 경우 2017년 강릉에서 열렸으나, 세계주니어선수권 특성상 평창 올림픽 사전 대회를 겸해 열린 것이었다.[2] 당시 명칭은 강릉 실내 종합 체육관[DSC] A B 드로우 샷 챌린지(Draw Shot Challange)의 약자. 시합 개시 전 각 팀이 한번씩 스톤을 던지는 것을 라스트 스톤 드로(Last Stone Draw, LSD)라고 하는데, 이 라스트 스톤 드로한 결과가 하우스 정중앙으로부텨 몇 cm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가 DSC이다. 승률과 승자승이 같은 경우 모든 경기의 DSC 평균치로 순위를 가리며, 하우스 정중앙에 가깝게 드로우할수록 좋으므로 작은 수여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