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덤프버전 :


2022 세계 믹스 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
2022 World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p
장소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제네바
기간2022년 4월 23일 ~ 30일[현지시간]
금메달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은메달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동메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 개요
1.1. 참가 팀
1.2. 참가 선수 명단
1.3. 예선 리그전
1.3.1. A조
1.3.2. B조
1.4. 강등 플레이오프
1.5. 결선 토너먼트



1. 개요[편집]


2022년에 열린 세계선수권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한 문서. 남녀 4인 단체에 대한 내용은 2022 세계컬링선수권대회 문서 참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컬링연맹은 3월 4일부로 세계컬링연맹 주최 모든 대회의 출전권을 박탈당해 출전하지 못했고,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관계로 불참했다. 러시아는 스페인, 중국은 덴마크 선수단이 대체 출전했다.

대회 방식은 20개 팀이 10팀씩 2개 조로 나눠 풀리그를 치러서 각조 3위까지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토너먼트 단계에서는 A조 3위와 B조 2위, B조 2위와 A조 3위간 준준결승을 벌인 뒤, 준준결승 승자가 준결승에서 각 조 1위와 만나 겨뤄 준결승 승자끼리 결승, 패자끼리 동메달 결정전을 거쳐서 금, 은, 동메달을 가리게 된다. 한편 예선에서 각 조 7위 이내에 들면 다음 2023년 세계선수권대회 진출 자격을 자동 획득하며, 8 ~ 9위의 경우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팀만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총 16팀이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확보하게 된다. 강등 플레이오프 탈락 팀과 각 조 10위를 차지한 4팀은 내년 대회 진출 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며, 다음 대회에 진출하려면 진출이 확정된 16팀을 제외하고 따졌을 때, 내년 세계 랭킹 상위 4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1.1. 참가 팀[편집]


진출 자격진출팀 목록
2021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16~ 14)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러시아컬링연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세계 랭킹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러시아컬링연맹 대체 (1)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기권팀 중국 대체 (1)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2. 참가 선수 명단[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여성] 마이아 람스펠
[남성] 망누스 람스펠
(남매)
[여성] 나탈리 써로
[남성] 워렌 돕슨
[여성] 김민지
[남성] 이기정
[여성] 야스민 란데르
[남성] 헨릭 홀테르만
[여성] 피아-리사 숄
[남성] 클라우디우스 하르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여성] 베카 해밀턴
[남성] 맷 해밀턴
(남매)
[여성] 이사벨라 브라노
[남성] 라스무스 브라노
(남매)
[여성] 알리나 패츠
[남성] 스벤 미셸
[여성] 이브 뮤어헤드
[남성] 바비 래미
[여성] 오이하네 오타에기
[남성] 미켈 우나누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1]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여성] 마리 칼드비
[남성] 해리 릴
[여성] 스테파니아 콘스탄티니
[남성] 세바스티노 아르만
[여성] 마쓰무라 치아키
[남성] 타니다 야스마사
[여성] 안나 파울러
[남성] 벤 파울러
(남매)
[여성] 줄리 젤린그로바
[남성] 비트 챠비코프스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올림픽]
[여성] 조셀린 피터만
[남성] 브렛 갤런트
[여성] 딜사트 일디즈
[남성] 무하메드 제키 우찬
[여성] 로타 임모넨
[남성] 마커스 시피야
[여성] 일디코 세케르스
[남성] 지외르지 너지
[여성] 탈리 길
[남성] 딘 휴잇


1.3. 예선 리그전[편집]



1.3.1. A조[편집]


순위국가GWL승자승DSC[DSC]
1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9721-116.40
2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9721-120.57
3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9721-121.51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9631-024.19
5파일:일본 국기.svg 일본9630-137.17
6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94543.68
7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9361-065.02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9360-134.23
9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92725.84
10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90954.24

순위국가파일:노르웨이 국기.svg파일:뉴질랜드 국기.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스웨덴 국기.svg파일:스위스 국기.svg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핀란드 국기.svg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9-111-39-24-79-38-49-35-68-4
10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94-95-92-123-113-131-102-81-11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119-45-712-52-93-85-73-119-5
6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99-57-53-83-97-53-85-67-5
2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7-412-25-128-34-910-87-48-58-3
1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3-911-39-29-39-49-211-76-87-2
7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1-1213-38-32-68-102-97-99-74-9
4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910-17-58-34-77-119-710-310-3
5파일:일본 국기.svg 일본6-58-211-36-55-88-67-93-1011-3
9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4-811-15-95-73-82-79-43-103-11


1.3.2. B조[편집]


순위국가GWL승자승DSC[DSC]
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99019.31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98122.31
3파일:독일 국기.svg 독일96325.35
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95425.94
5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9451-050.52
6파일:호주 국기.svg 호주9450-133.31
7파일:체코 국기.svg 체코9361-040.14
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9360-144.31
9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92766.91
1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91841.14

순위국가파일:독일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파일:잉글랜드 국기.svg파일:체코 국기.svg파일:캐나다 국기.svg파일:튀르키예 국기.svg파일:헝가리 국기.svg파일:호주 국기.svg
3파일:독일 국기.svg 독일3-74-87-57-313-23-910-210-46-5
4파일:미국 국기.svg 미국7-32-78-24-79-65-812-68-25-12
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8-47-210-38-39-38-410-210-49-4
9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5-72-83-101-117-22-89-26-94-12
8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77-43-811-14-72-69-66-85-8
7파일:체코 국기.svg 체코2-136-93-92-77-44-109-77-119-8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9-38-54-88-26-210-410-510-110-2
10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2-106-122-102-96-97-95-106-35-8
5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4-102-84-109-68-611-71-103-67-5
6파일:호주 국기.svg 호주5-612-54-912-48-58-92-108-55-7


1.4. 강등 플레이오프[편집]


12345678최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0502010X8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1020101X5

12345678최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200102X6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0011010X3


1.5. 결선 토너먼트[편집]


2022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 결선 토너먼트
메달
결정전
결승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9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7
동메달 결정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7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5
준결승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8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3
준준결승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8
예선
A1
B2
A3
B1
A2
B3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표시는 후공

  • 준준결승
123456789최종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011020208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03001040311

12345678최종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1010020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01012026

  • 준결승
12345678최종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1032011X8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0200100X3

123456789최종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3000301018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111010307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최종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0110300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20010217

  • 결승
12345678최종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02022017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41020020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9:06:48에 나무위키 2022 세계믹스더블컬링선수권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현지시간] [1] 여자 선수 스테파니아 콘스탄티니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올림픽 당시 파트너였던 아모스 모사네르는 부상으로 교체됐다.[올림픽] 올림픽 출전팀[DSC] A B 드로우 샷 챌린지(Draw Shot Challange)의 약자. 시합 개시 전 각 팀이 한번씩 스톤을 던지는 것을 라스트 스톤 드로(Last Stone Draw, LSD)라고 하는데, 이 라스트 스톤 드로한 결과가 하우스 정중앙으로부텨 몇 cm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가 DSC이다. 승률과 승자승이 같은 경우 모든 경기의 DSC 평균치로 순위를 가리며, 하우스 정중앙에 가깝게 드로우할수록 좋으므로 작은 수여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