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
,
,
,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경기
북한전 (8강전)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픽토그램.svg
본선 진출국17개국
{{{#ffd700 금메달}}}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은메달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동메달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득점왕파일:북한 국기.svg 김경영 / (12골)
이전·이후 대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2023년
항저우[1]
2026년
아이치·나고야

1. 개요
2. 경기장
3. 진출국
4. 조 편성
4.1. 시드 배정
4.2. 조 편성 결과
5. 참가팀 정보
6. 대회 진행
6.1. 조별리그[2]
6.1.6. 조 2위간 성적 순위
6.2. 결선 토너먼트
7. 우승
8. 최종 순위
9. 팀별 결산



1. 개요[편집]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 종목 중 여자축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경기장[편집]




3. 진출국[편집]


지역별 배출 현황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WAFF)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CAFA)
파일:남아시아축구연맹.png
남아시아(SAFF)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동남아시아(AFF)
파일:동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동아시아(EAFF)
0개국1개국[3]3개국[4]5개국[5]7개국[6]

아시안게임 남녀축구는 별도의 예선은 진행되지 않는다.

4. 조 편성[편집]



4.1. 시드 배정[편집]


순번시드 1시드 2시드 3
1중국
(개최국, 준우승)
베트남방글라데시
2일본
(디펜딩 챔피언)
태국캄보디아
3대한민국
(3위)
홍콩인도
4대만우즈베키스탄몽골
5북한싱가포르미얀마
6--네팔
7--필리핀

시드 배정은 직전 대회 성적순으로 분배되었는데, 지난 대회에서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인도네시아, 몰디브, 타지키스탄이 이번 대회에는 불참하였고, 우즈베키스탄과 싱가포르 등 7개 국가가 새로 출전하였다. 이들 국가는 시드 2의 잔여 두 자리 및 시드 3에 배정되었다.

4.2. 조 편성 결과[편집]


구분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
A조파일:중국 국기.svg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파일:몽골 국기.svg
중국우즈베키스탄몽골-
B조파일:중화 타이베이 국기.svg파일:태국 국기.svg파일:인도 국기.svg
대만태국인도-
C조파일:북한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북한싱가포르캄보디아-
D조파일:일본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파일:네팔 국기.svg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일본베트남네팔방글라데시
E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홍콩 국기.svg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미얀마 국기.svg
대한민국홍콩필리핀미얀마


5. 참가팀 정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참가팀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조별리그[7][편집]



6.1.1. A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A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2200220+226
2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210166+03
3파일:몽골 국기.svg몽골2002022-220
결선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6.1.2. B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B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220031+26
2파일:태국 국기.svg태국210111+03
3파일:인도 국기.svg인도200213-20
결선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6.1.3. C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C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북한 국기.svg북한2200170+176
2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02017-170
-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00000000
결선 진출 | 순위 경합 | 기권

6.1.4. D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D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3300230+239
2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20188+06
3파일:네팔 국기.svg네팔3012111-101
4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3012215-131
결선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6.1.5. E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축구(여자)/E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300131+129
2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320176+16
3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310216-53
4파일:홍콩 국기.svg홍콩300319-80
결선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6.1.6. 조 2위간 성적 순위[편집]


  • D, E조의 경우 4위와의 전적은 제외한다. 3위와의 전적은 그대로 포함한다.
  • 승점이 같으면 골득실차 - 다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8]-추첨 순으로 결정한다.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A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21016603
B파일:태국 국기.svg태국21011103
E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210145-13
D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210127-53
C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02017-170

베트남은 2승을 거뒀음에도 일본에게 0-7로 대패 당한 게 득실차에서 크게 밀리게 되어 결국 탈락하게 되었다.[9]

6.2. 결선 토너먼트[편집]


||<|2>

||<|3>

||
||
||<|2>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8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4
||<|2><color=#b8860b> 동메달 결정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7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0
||

6.2.1. 8강[편집]




6.2.2. 준결승[편집]




6.2.3. 동메달 결정전[편집]




6.2.4. 결승[편집]




7. 우승[편집]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축구 우승
파일: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일본
3번째 우승
★ ★ ★


8. 최종 순위[편집]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일본 국기.svg일본6600395+3418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북한 국기.svg북한5401305+2512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중국 국기.svg중국5401364+32123위
4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5203822-1464위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4301145+998강
6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대만320143+16
7파일:태국 국기.svg태국310215-43
8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4103214-123
9파일:베트남 국기.svg베트남32018806조별리그
10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310216-53
11파일:네팔 국기.svg네팔3012111-101
12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3012215-131
13파일:인도 국기.svg인도200213-20
14파일:홍콩 국기.svg홍콩300319-80
15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02017-170
16파일:몽골 국기.svg몽골2002022-220

9. 팀별 결산[편집]





[1] 코로나-19로 인한 대회 1년 연기[2] 17강 조별리그[3] 우즈베키스탄[4] 네팔, 방글라데시, 인도[5]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필리핀, 미얀마[6] 중국, 대한민국, 일본, 북한, 대만, 홍콩, 몽골[7] 17강 조별리그[8] 경고: -1점, 2회 연속 경고: -3점, 퇴장: -3[9] 이로써 베트남 남녀 축구팀 모두 순위 경합에서 밀려서 탈락하게 되는 진기록을 세웠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