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덤프버전 : (♥ 0)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 펼치기 · 접기 ]

연도장소디펜딩 챔피언도전자
1886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미국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5파일:영국 국기.svg 요하네스 주커토르트
1889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미국 국기(1877-1890).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½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0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뉴욕파일:미국 국기(1890-1891).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0½파일:헝가리 국기.svg 이시도어 건즈버그
1892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12½10½파일:러시아 국기.svg 미하일 치고린
1894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미국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몬트리올
파일:미국 국기(1891-1896).svg 빌헬름 슈타이니츠712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
1896파일:러시아 국기.svg 모스크바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2½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빌헬름 슈타이니츠
1907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0½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프랭크 J. 마셜
1908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뒤셀도르프
뮌헨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10½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지그베르트 타라시
1910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베를린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다비드 야노프스키
1921파일:쿠바 국기.svg 아바나파일:독일 국기.svg 엠마누엘 라스커59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
1927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부에노스아이레스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라울 카파블랑카36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1929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5½10½파일:독일 국기.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4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독일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5½10½파일:나치 독일 국기(1933-1935).svg 에핌 보골류보프
193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14½15½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
1937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오이베15½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알렉산더 알레킨

FIDE 타이틀 (1948~1993) [ 펼치기 · 접기 ]
PCA 타이틀 (1993~2006) [ 펼치기 · 접기 ]

연도장소디펜딩 챔피언도전자
1993파일:영국 국기.svg 런던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svg 가리 카스파로프12½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나이절 쇼트
1995파일:미국 국기.svg 뉴욕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10½파일:인도 국기.svg 비스와나탄 아난드
2000파일:영국 국기.svg 런던파일:러시아 국기.svg 가리 카스파로프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
2004파일:스위스 국기.svg 브리사고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크램닉77파일:헝가리 국기.svg 페테르 레코

통합 타이틀 (2006~ )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도전자 결정전
2.1. 순위
3. 챔피언십
3.1. 경기 진행
3.1.1. 1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
3.1.2. 2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
3.1.3. 3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
3.1.4. 4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
3.1.5. 5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
3.1.6. 6경기 (칼센 1 - 0 네폼니아치)
3.1.7. 7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
3.1.8. 8경기 (칼센 1 - 0 네폼니아치)
3.1.9. 9경기 (네폼니아치 0 - 1 칼센)
3.1.10. 10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
3.1.11. 11경기 (네폼니아치 0 - 1 칼센)
3.2. 총평


1. 개요[편집]


2021년 개최된 세계 체스 챔피언십에 대한 문서이다. 당초 2020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2021년으로 연기되어 치러졌다.

디펜딩 챔피언 망누스 칼센이 도전자 이안 네폼니아치를 꺾고 챔피언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2. 도전자 결정전[편집]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진행되었다. 2020년 3월 17일~25일까지 1~7라운드가 진행되었고, 8~14라운드는 1년 연기되어 2021년 4월 19일~27일에 치러졌다. 다음의 후보자가 참가했다.
후보자생년월일소속레이팅(순위)
(2020년 3월 기준)
자격
파비아나 카루아나
Fabiano Caruana
1992.07.30.
(27세)
파일:미국 국기.svg2842
(2)
2018 FIDE 월드 챔피언십 패자
딩리런
Ding Liren
1992.10.24.
(27세)
파일:중국 국기.svg2805
(3)
2019 체스 월드컵 준우승
왕하오
Wang Hao
1989.08.04.
(30세)
파일:중국 국기.svg2762
(12)
FIDE 그랜드 스위스 토너먼트 2019 우승
알렉산더 그리스척
Alexander Grischuk
1983.10.31.
(36세)
파일:러시아 국기.svg2777
(4)
FIDE 그랑프리 2019 우승
이안 네폼니아치
Ian Nepomniachtchi
1990.07.14.
(29세)
파일:러시아 국기.svg2774
(5)
FIDE 그랑프리 2019 준우승
아니시 기리
Anish Giri
1994.07.28.
(25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2763
(11)
FIDE 최고 레이팅 보유자
키릴 알렉센코
Kirill Alekseenko
1997.06.22.
(22세)
파일:러시아 국기.svg2698
(22)
와일드카드
막심 바시어-라그라브
Maxime Vachier-Lagrave
1990.10.21.
(29세)
파일:프랑스 국기.svg2767
(8)
라자보프 대체, FIDE 최고 레이팅 보유자 2위
테이무르 라자보프
Teimour Radjabov
1987.03.12.
(33세)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2765
(9)
FIDE 체스 월드컵 2019 우승[불참]


2.1. 순위[편집]


순위선수명경기수 승점 S.B.결과
1파일:러시아 국기.svg 이안 네폼니아치1457255도전권 획득
2파일:프랑스 국기.svg 막심 바시어-라그라브14482853.75
3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니시 기리1447350.5
4파일:미국 국기.svg 파비아노 카루아나1439250.5
5파일:중국 국기.svg 딩리런14464748.75
6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더 그리스척142102750.5
7파일:러시아 국기.svg 키릴 알렉센코1427538.5
8파일:중국 국기.svg 왕하오14185534.5

이안 네폼니아치가 도전권을 획득하였다.


3. 챔피언십[편집]


체스 세계 챔피언vs도전자 결정전 우승자
파일:magnuscarlsen.jpg파일:Ian_Nepomniachtchi_Tal_Memorial_2018.jp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vs파일:러시아 국기.svg 이안 네폼니아치

2021년 11월 24일~12월 12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진행되었다.

네폼니아치는 대회 전까지 칼센 상대 스탠다드 상대전적 4승 8무 1패로, 칼센을 상대전적에서 앞서는 몇 안되는 선수였기에 기대를 모았다.


3.1. 경기 진행[편집]


레이팅(랭킹)라운드승점
123456789101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망누스 칼센2856 (1)½½½½½1½11½1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안 네폼니아치2782 (5)½½½½½0½00½0

3.1.1. 1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Round 1,
a8=, b8=, c8=, d8=, e8=, f8=, g8=, h8=,
a7=, b7=, c7=, d7=, e7=Rb, f7=, g7=, h7=Pb,
a6=Pb, b6=, c6=, d6=Rb, e6=Nb, f6=Kb, g6=Pb, h6=,
a5=, b5=, c5=Pb, d5=, e5=, f5=Pb, g5=, h5=,
a4=, b4=, c4=Nw, d4=, e4=, f4=, g4=, h4=Pw,
a3=, b3=, c3=Pw, d3=Pw, e3=, f3=Pw, g3=, h3=,
a2=, b2=, c2=Kw, d2=, e2=, f2=Pw, g2=, h2=,
a1=Rw, b1=, c1=, d1=, e1=Rw, f1=, g1=, h1=,
caption=)]

1. e4 e5 2. Nf3 Nc6 3. Bb5 a6 4. Ba4 Nf6 5. 0-0 Be7 6. Re1 b5 7. Bb3 0-0 8. h3 Na5 9. Nxe5 Nxb3 10. axb3 Bb7 11. d3 d5 12. exd5 Qxd5 13. Qf3 Bd6 14. Kf1 Rfb8 15. Qxd5 Nxd5 16. Bd2 c5 17. Nf3 Rd8 18. Nc3 Nb4 19. Rec1 Rac8 20. Ne2 Nc6 21. Be3 Ne7 22. Bf4 Bxf3 23. gxf3 Bxf4 24. Nxf4 Rc6 25. Re1 Nf5 26. c3 Nh4 27. Re3 Kf8 28. Ng2 Nf5 29. Re5 g6 30. Ne1 Ng7 31. Re4 f5 32. Re3 Ne6 33. Ng2 b4 34. Ke2 Rb8 35. Kd2 bxc3+ 36. bxc3 Rxb3 37. Kc2 Rb7 38. h4 Kf7 39. Ree1 Kf6 40. Ne3 Rd7 41. Nc4 Re7 42. Ne5 Rd6 43. Nc4 Rc6 44. Ne5 Rd6 45. Nc4 ½-½

체스닷컴 한국어 뉴스


3.1.2. 2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편집]



3.1.3. 3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편집]



3.1.4. 4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편집]



3.1.5. 5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편집]



3.1.6. 6경기 (칼센 1 - 0 네폼니아치)[편집]


[include(틀:체스게임, info=Round 6,
a8=, b8=, c8=, d8=Kb, e8=, f8=, g8=, h8=,
a7=, b7=, c7=, d7=, e7=, f7=Rw, g7=Nw, h7=,
a6=, b6=, c6=, d6=, e6=Pw, f6=, g6=, h6=,
a5=, b5=, c5=, d5=, e5=, f5=Pw, g5=, h5=,
a4=, b4=, c4=, d4=, e4=, f4=, g4=, h4=Kw,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 c2=, d2=, e2=, f2=, g2=, h2=,
a1=, b1=, c1=, d1=, e1=, f1=, g1=Qb, h1=,
caption=)]

1. d4 Nf6 2. Nf3 d5 3. g3 e6 4. Bg2 Be7 5. 0-0 0-0 6. b3 c5 7. dxc5 Bxc5 8. c4 dxc4 9. Qc2 Qe7 10. Nbd2 Nc6 11. Nxc4 b5 12. Nce5 Nb4 13. Qb2 Bb7 14. a3 Nc6 15. Nd3 Bb6 16. Bg5 Rfd8 17. Bxf6 gxf6 18. Rac1 Nd4 19. Nxd4 Bxd4 20. Qa2 Bxg2 21. Kxg2 Qb7+ 22. Kg1 Qe4 23. Qc2 a5 24. Rfd1 Kg7 25. Rd2 Rac8 26. Qxc8 Rxc8 27. Rxc8 Qd5 28. b4 a4 29. e3 Be5 30. h4 h5 31. Kh2 Bb2 32. Rc5 Qd6 33. Rd1 Bxa3 34. Rxb5 Qd7 35. Rc5 e5 36. Rc2 Qd5 37. Rdd2 Qb3 38. Ra2 e4 39. Nc5 Qxb4 40. Nxe4 Qb3 41. Rac2 Bf8 42. Nc5 Qb5 43. Nd3 a3 44. Nf4 Qa5 45. Ra2 Bb4 46. Rd3 Kh6 47. Rd1 Qa4 48. Rda1 Bd6 49. Kg1 Qb3 50. Ne2 Qd3 51. Nd4 Kh7 52. Kh2 Qe4 53. Rxa3 Qxh4+ 54. Kg1 Qe4 55. Ra4 Be5 56. Ne2 Qc2 57. R1a2 Qb3 58. Kg2 Qd5+ 59. f3 Qd1 60. f4 Bc7 61. Kf2 Bb6 62. Ra1 Qb3 63. Re4 Kg7 64. Re8 f5 65. Raa8 Qb4 66. Rac8 Ba5 67. Rc1 Bb6 68. Re5 Qb3 69. Re8 Qd5 70. Rcc8 Qh1 71. Rc1 Qd5 72. Rb1 Ba7 73. Re7 Bc5 74. Re5 Qd3 75. Rb7 Qc2 76. Rb5 Ba7 77. Ra5 Bb6 78. Rab5 Ba7 79. Rxf5 Qd3 80. Rxf7+ Kxf7 81. Rb7+ Kg6 82. Rxa7 Qd5 83. Ra6+ Kh7 84. Ra1 Kg6 85. Nd4 Qb7 86. Ra2 Qh1 87. Ra6+ Kf7 88. Nf3 Qb1 89. Rd6 Kg7 90. Rd5 Qa2+ 91. Rd2 Qb1 92. Re2 Qb6 93. Rc2 Qb1 94. Nd4 Qh1 95. Rc7+ Kf6 96. Rc6+ Kf7 97. Nf3 Qb1 98. Ng5+ Kg7 99. Ne6+ Kf7 100. Nd4 Qh1 101. Rc7+ Kf6 102. Nf3 Qb1 103. Rd7 Qb2+ 104. Rd2 Qb1 105. Ng1 Qb4 106. Rd1 Qb3 107. Rd6+ Kg7 108. Rd4 Qb2+ 109. Ne2 Qb1 110. e4 Qh1 111. Rd7+ Kg8 112. Rd4 Qh2+ 113. Ke3 h4 114. gxh4 Qh3+ 115. Kd2 Qxh4 116. Rd3 Kf8 117. Rf3 Qd8+ 118. Ke3 Qa5 119. Kf2 Qa7+ 120. Re3 Qd7 121. Ng3 Qd2+ 122. Kf3 Qd1+ 123. Re2 Qb3+ 124. Kg2 Qb7 125. Rd2 Qb3 126. Rd5 Ke7 127. Re5+ Kf7 128. Rf5+ Ke8 129. e5 Qa2+ 130. Kh3 Qe6 131. Kh4 Qh6+ 132. Nh5 Qh7 133. e6 Qg6 134. Rf7 Kd8 135. f5 Qg1 136. Ng7 1-0


경기 풀영상


chessinside의 경기 해설


고담체스의 경기 해설


체스 챔피언십 역사에 남을 명경기 끝에 처음으로 승부가 갈려, 칼센이 승리하였다. 이 게임은 무려 7시간 47분, 136수로, 챔피언십 역사상 가장 긴 게임으로 기록되었다.

초반에 오프닝부터 퀸과 2룩의 교환이 성사되어 거대한 불균형이 생겼고, 이후 과정에서 네폼니아치가 근소한 우위를 가졌지만 그 우위를 통해 실제로 기물을 딸 수 있는 결정적 순간에 36...Bxb4를 놓치고 36...Qd5??를 두어 흑은 승리의 기회를 놓친다.

그러나 엄청난 시간 압박 속에 칼센도 기회를 놓쳤고 그 뒤로도 수많은 찬스가 오가며 엎치락뒤치락하다 결국 포지션적으로 동등한 엔드게임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엔드게임 국면에서도 치열한 싸움 끝에 국면이 무려 3차례나 바뀌는 등 보는 이들까지 가슴을 졸이게 만들었고, 시간이 매우 부족한 와중에도 칼센은 상대의 승리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폰 교환을 강제시키는 등 각종 신수를 선보였다.

120수째까지, 엔드게임의 포지션은 이론적으로 무승부였으나 칼센의 두 개 남은 폰은 계속 전진하고 있었고, 이에 네폼니아치는 130수째에 치명적인 블런더를 저지르게 되고, 칼센은 대담한 폰 전진인 133.e6을 선보인다. [1] 이 순간 패배를 직감한 네폼니아치는 134...Kd8로 폰을 잡아보려 하지만 그 뒤의 135.f5로 뒤 폰이 앞 폰을 보호하자 모든 가능성이 사라졌고, 135...Qg1로 무한체크를 노려보려는 수를 두지만[2] 136.g7 이후 백의 킹이 8랭크에 들어가는 순간 패배하지만, 그것을 저지할 방법이 전혀 없던 네폼니아치는 결국 기권하게 된다. 체스닷컴 한국어 뉴스


3.1.7. 7경기 (네폼니아치 ½ - ½ 칼센)[편집]



3.1.8. 8경기 (칼센 1 - 0 네폼니아치)[편집]



3.1.9. 9경기 (네폼니아치 0 - 1 칼센)[편집]



3.1.10. 10경기 (칼센 ½ - ½ 네폼니아치)[편집]



3.1.11. 11경기 (네폼니아치 0 - 1 칼센)[편집]



체스닷컴 한국어 뉴스

3.2. 총평[편집]


칼센은 이전 챔피언십에 비해 보수적이고 견고한 운영을 선보였고, 6경기에서 극적으로 승리한 후 분위기를 자신 쪽으로 가져오며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다. 한편 챔피언십 종료 후 다음 챔피언십에서 상대가 알리레자 피로우자가 아니라면 타이틀 방어를 하지 않겠다는 폭탄발언을 하며 체스계를 충격에 빠트렸다.#

네폼니아치는 1~5라운드까지는 매우 높은 정확성을 보이며 칼슨을 압박하는 등 세간의 기대를 모았으나, 6라운드의 패배 이후 급격히 무너지며 패배했다. 챔피언십에서 멸망하기 전까진 칼센을 상대로 상대전적에서 앞서는 몇 안되는 선수였던 네폼니아치는 이 패배로 상대전적이 5 대 4로 다시 뒤집히게 된다.
[불참] 코로나19 확진으로 참가를 포기했다.[1] 폰을 지킬 수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퀸이 e6 폰을 먹는 순간 나이트 포크로 패배하게 된다.[2] 사실 바로 다음 수에 기권한 것을 보면 무한체크가 성립될 수 없는 것을 네폼니아치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안 네폼니아치 문서의 r6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안 네폼니아치 문서의 r6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6:04:50에 나무위키 2021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