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재보궐선거/개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16년 재보궐선거

1. 기초자치단체장
1.1. 경기도
1.2. 충청북도
1.3. 광주광역시
1.4. 전라북도
1.5. 대구광역시
1.6. 경상남도
2. 광역의회 의원
2.1. 서울특별시
2.2. 인천광역시
2.3. 경기도
2.4. 전라북도
2.5. 대구광역시
2.6. 경상북도
2.7. 경상남도
2.8. 제주특별자치도
3. 기초의회 의원
3.1. 서울특별시
3.2. 인천광역시
3.3. 경기도
3.4. 충청북도
3.5. 충청남도
3.6. 전라북도
3.7. 전라남도
3.8. 대구광역시
3.9. 경상북도
3.10. 부산광역시
3.11. 경상남도


1. 기초자치단체장[편집]



1.1. 경기도[편집]


양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환37,8172위

ta-hash-start=w-fd759db147415e8a49d1ed0dfdd22f81[[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2.67%낙선
2이성호46,009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91%당선
5이항원4,7963위

무소속

5.41%낙선
선거인 수162,540투표율
55.49%
투표 수90,199
무효표 수1,577

김해시에 가려지긴 했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싹쓸이 잭팟이 제대로 터진 곳.

양주시는 국회의원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17, 19, 20대를 거치며 3선을 하였으나,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가 한 번도 패배한 적 없는 전형적인 농촌 중심의 여당 텃밭이다.

그 동안은 정성호 의원이 소속 정당의 지지 열세를 사실상 개인기로 돌파한 특이한 케이스다. 그런데 고읍지구와 양주신도시가 조성되고 외지 인구가 유입되면서 표심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 첫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이성호 후보가 정성호 의원의 보좌관 출신임을 내세워서 과반이 넘어가는 득표율에 성공하여 당선이 되었다. 그리고 양주시는 광복 이래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이 승리하면서 시정교체가 되었다.

구리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경현37,4901위

ta-hash-start=w-240c945bb72980130446fc2b40fbb8e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2.86%당선
2김점숙27,570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1.54%낙선
3백현종19,1233위

ta-hash-start=w-6b8268b2aea8c743f066d9a8f5d056f6[[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1.87%낙선
5박수천3,2214위

무소속

3.68%낙선
선거인 수150,784투표율
58.78%
투표 수88,625
무효표 수1,221

반대로 구리시장 재선거는 정당의 지지 우세를 부적합한 공천으로 날린 사례. 더불어민주당이 전임 박영순 시장의 배우자를 시장 후보로 공천한 것.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한 전임 시장이 '알박기'를 하려는 것 아니냐는 역풍이 불었고 결국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이 무난하게 3선에 성공한 것과 달리 시장은 새누리당의 백경현 후보가 당선의 영예를 안았다.


1.2. 충청북도[편집]


진천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종필14,9392위

ta-hash-start=w-e6e81d52a1b939039e37f5ae2c34e1e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3.41%낙선
2송기섭18,453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63%당선
5김진옥1,0143위

무소속

2.94%낙선
선거인 수55,464투표율
63.02%
투표 수34,954
무효표 수548

지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 경선에서 맞붙었던 두 후보가 이번에는 당적을 서로 달리하여 대결을 벌였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한 김종필 후보는 다시 새누리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하였고, 역시 새누리당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던 송기섭 전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겨 출마한 것.[1] 여기에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이 묘한 소지역주의를 발동시켰는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기존의 증평군음성군진천군괴산군 선거구가 재획정 결과 괴산군이 보은군옥천군영동군과 합쳐지면서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선거구가 되었고, 여기에 새누리당에서는 괴산군 출신의 현역 의원인 경대수 후보가,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진천군 출신의 임해종 후보가 출마한 것이다. 농산어촌 지역의 선거는 연령에 따른 지지 정당의 차이도 중요한 변수가 되지만, '각 후보가 어느 지역 출신이냐'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즉 자신의 지지 정당 소속이 아니더라도 '출신 지역이 같다면' 한 표를 주는 경향이 있는 것.

이에 진천군 유권자들이 '왜 괴산군 출신이 같은 당 후보와 경쟁을 피하려는 목적으로 다른 지역에 출마하느냐?'는 심리가 발동하면서 국회의원 선거는 임해종 후보에, 진천군수 재선거는 송기섭 후보에 줄투표를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제로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임해종 후보의 경우 자신의 고향인 진천군에서는 과반 득표에 성공하였다. 또한 진천군 덕산읍과 음성군 맹동면에 조성 중인 충북혁신도시에 외지 인구가 조금씩 유입되어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표심이 조금씩 높아진 것도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1.3. 광주광역시[편집]


{+1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_White.svg}}} 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홍진태(洪鎭台)13,52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01%낙선
3김성환(金成宦)27,1911위

ta-hash-start=w-ac8b28d5fa279c6c6c61e551daed3b85[[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52.29%당선
5양혜령(梁惠鈴)11,2743위

무소속

21.68%낙선
선거인 수84,088투표율
62.72%
투표 수52,746
무효표 수755

1.4. 전라북도[편집]


익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행식12,3063위

ta-hash-start=w-6362940331e7fc2b4c38a25c7d2424c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8.51%낙선
2강팔문49,983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55%낙선
3정헌율75,3831위

ta-hash-start=w-e43d2d0b56531786e5974103334b805d[[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52.10%당선
5김은진6,9954위

무소속

4.83%낙선
선거인 수244,929투표율
60.03%
투표 수147,035
무효표 수2,368


1.5. 대구광역시[편집]


달서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태훈147,4221위

ta-hash-start=w-6ad352975d2f1649b553212e0b61731f[[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60.79%당선
2이유경64,822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72%낙선
5이기주30,2733위
12.48%낙선
선거인 수483,022투표율
51.59%
투표 수249,210
무효표 수6,682

1.6. 경상남도[편집]


김해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성우95,0842위
40.82%낙선
2허성곤116,9321위
50.21%당선
5이영철13,2293위
5.68%낙선
6허점도7,6584위
3.29%낙선
선거인 수408,849투표율
58.00%
투표 수237,130
무효표 수4,227

당초 야권의 후보들이 난립하여 새누리당 김성우 후보의 무난한 승리가 예측되었으나, 문재인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중재로 야권 단일화가 이루어지면서 단일 후보로 출마한 허성곤 후보가 과반 득표에 성공하여 당선되었다.

사실 허성곤은 원래 새누리당 출신이였으나, 김해시장 선거 경선에서 떨어지자 탈당했던 거라 철새 논란이 있었는데 정작 여당에는 이인제라는 철새 끝판왕이 있어 딱히 큰 영향을 주진 못 했다(...)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른바, 한 당의 후보에게 표를 몰아 주는 '줄투표'의 영향도 당선에 기여하였다.

거창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권범15,4282위
44.42%낙선
5변현성3,3393위
9.61%낙선
6양동인15,9641위
45.96%당선
선거인 수52,642투표율
67.68%
투표 수35,627
무효표 수896

2. 광역의회 의원[편집]



2.1. 서울특별시[편집]


강서구 제2선거구
등촌2동, 우장산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명재(李明載)25,6902위
35.78%낙선
3김경자(金慶子)27,5111위
38.31%당선
4문대영(文大榮)15,2333위
21.21%낙선
5노길호(盧吉鎬)3,3634위
4.68%낙선
선거인 수126,765투표율
57.79%
투표 수73,268
무효표 수1,471

전임 김형식 시의원의 피선거권 상실 사유가 워낙 흠좀무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이 지역에 후보를 공천하지 않기로 하였고 국민의당 김경자 후보가 신승하였다.

관악구 제3선거구
난곡동, 난향동, 미성동, 신사동, 조원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남형(李南炯)19,6752위
32.87%낙선
2허기회(許基會)21,0941위
35.24%당선
3김상수(金尙守)17,2653위
28.85%낙선
5김한영(金漢榮)1,8084위
3.02%낙선
선거인 수106,055투표율
57.51%
투표 수60,995
무효표 수1,153

전임 이행자 시의원은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시의원직을 사퇴하였다.

2.2.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 계양구 제1선거구
계양구 효성1동, 효성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한양진새누리당11,27138.42%2
2홍정화더불어민주당12,02440.98%1당선
3 정주영국민의당6,04120.59%3
선거인수52,935투표수29,862
무효표수526투표율56.41%


2.3. 경기도[편집]


경기도 수원시 제5선거구
팔달구 행궁동, 인계동, 지동, 우만1동, 우만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최중성새누리당19,27240.59%1당선
2이완모더불어민주당18,79339.58%2
3 김형태국민의당9,41019.82%3
선거인수93,955투표수48,718
무효표수1,243투표율

경기도 성남시 제4선거구
중원구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성남동, 하대원동, 도촌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임동본새누리당17,73136.64%1당선
2김광현더불어민주당16,86034.84%2
3 강복섭국민의당9,97520.61%3
5 김현경민중연합당3,3146.84%4
6 백성진통일한국당5101.05%5
선거인수93,986투표수50,218
무효표수1,828투표율

경기도 성남시 제7선거구
분당구 정자1동, 정자2동, 금곡동, 구미1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강효석새누리당23,86838.53%2
2이나영더불어민주당24,73139.92%1당선
3 서학선국민의당10,31516.65%3
5 김창균무소속3,0274.88%4
선거인수97,948투표수62,978
무효표수1,037투표율
재보궐선거광역의회의원을 뽑는 선거라 이슈가 되지는 않았지만 이변이 일어난 사례. 경기도의회 성남시 제7선거구는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금곡동, 구미1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성남시 전체에서 새누리당 지지 성향이 가장 강한 곳들로 꼽힌다. 과거 성남시새누리당의 아성일 수 있었던 이유도 이들 지역에서 몰표가 나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이 선거구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아닌 다른 정당의 후보가 당선되는 것은 가능성이 극히 낮은 일이다. 성남시장 선거는 분당구의 다른 지역과 수정구, 중원구에서 열세를 극복하면 되고, 분당구(갑), 분당구(을) 국회의원 선거는 역시 분당구 내의 다른 동에서 열세를 극복하면 되지만 도의원 선거는 온전히 이 지역들에서만 승부를 겨뤄야 하기 때문에 새누리당이 아닌 다른 정당의 후보는 당선의 난이도가 매우 높은 것. 그러나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이나영 후보가 약 900여 표 차이로 신승하였다.

경기도 안양시 제2선거구
만안구 안양2동, 박달1동, 박달2동, 석수1동, 석수2동, 석수3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이재선새누리당28,74444.08%2
2김종찬더불어민주당36,46055.91%1당선
선거인수111,196투표수66,977
무효표수1,773투표율

경기도 양주시 제2선거구
백석읍, 광적면, 장흥면, 양주1동, 양주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정창범새누리당22,26546.69%2
2박재만더불어민주당25,41253.30%1당선
선거인수87,456투표수48,867
무효표수1,190투표율
김해시와 함께 더불어민주당의 싹쓸이 승리에 마침표를 찍은 곳.

경기도의원 양주시 제2선거구는 농촌지역이 대부분인 백석읍, 광적면, 장흥면을 포함하는 선거구로, 지난 6회 지방선거 때 새누리당 홍범표 후보가 56.6%로 압승할 정도로 동쪽의 1선거구보다 보수성향이 더 강한 편이다. 양주시 동부지역과 달리 서부지역은 인구유입도 적은 편이어서 선거지형 면에서는 야당이 불리한 편이었다.

그런데, 홍범표 의원이 양주시장 재보궐선거 출마를 이유로 도의원직을 사퇴하자, 이는 현삼식 시장의 시장직 상실과 더불어 새누리당에게 악재로 작용했으며, 박재만 후보는 정성호 국회의원의 보좌관 경력과 지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 양주시장 후보로 출마한 경험을 바탕으로 준비된 일꾼이라는 점을 어필한 것이 승리 요인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양주2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모두 근소한 격차로 패했지만, 관외사전투표에서 900여표를 앞섰고, 특히 양주2동에서 정창범 후보보다 4400여표를 더 받는 몰표를 받아 양주시에서의 더민주 완승에 방점을 찍었다.

이로써 의정부 이북지역에서 유일한 야당 도의원이 탄생했다.
경기도 화성시 제3선거구
기배동, 화산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진안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안재호새누리당23,95038.53%2
2이은주더불어민주당38,20361.46%1당선
선거인수116,114투표수64,005
무효표수1,852투표율
이곳의 경우 재미있게도 같이 치러진 화성시 병 국회의원 선거구와 거의 유사한 모습을 보여주었다.[2]

경기도 군포시 제1선거구
군포1동, 군포2동, 대야동, 산본1동, 금정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이길호새누리당24,82437.44%2
2정희시더불어민주당25,91239.08%1당선
3 김용철국민의당15,57223.48%3
선거인수115,008투표수67,527
무효표수1,219투표율58.72%
이 도의원 선거구는 특이하게도 같이 치러진 20대 총선에서의 군포시 갑과 완전히 관할구역이 같았다.

광역의원 선거구는 본래 국회의원 선거구를 분할하여 편성되지만, 이 선거구는 6회 지선 때, 19대 총선 기준(당시 군포시 단일 선거구)으로 편성한 것이었고, 국회의원 선거구 또한 20대 총선에서 군포시가 분구되면서 같은 모양으로 분구된 것이 원인. 2년 뒤 7회 지선 때, 이 선거구는 군포시 1 / 2 선거구로 재분할되었다.

동시에 치러지는 특성상, 총선 투표성향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게 되었고, 결과는 군포시 갑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게 더민주 후보의 신승. 총선과는 다르게 정의당 후보가 없었지만, 나머지 세 정당의 후보는 득표율 수치까지 매우 비슷하게 나왔다.

2.4.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전주시 제2선거구
동서학동, 서서학동, 평화1동, 평화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2최주만더불어민주당17,91046.67%2
3 이도영국민의당20,46553.32%1당선
선거인수62,954투표수39,446
무효표수1,071투표율

전라북도 익산시 제4선거구
동산동, 영등1동, 어양동, 팔봉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2최영규더불어민주당19,37252.73%1당선
3 박종열국민의당17,36547.26%2
선거인수65,076투표수38,071
무효표수1,334투표율


2.5.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수성구 제1선거구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배재훈새누리당36,80659.12%1당선
5 김태은무소속11,71218.81%3
6 노상석무소속13,73022.75%2
선거인수99,279투표수66,278
무효표수4,030투표율

대구광역시 달서구 제5선거구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신원섭새누리당17,57752.02%1당선
2정정남더불어민주당7,44722.04%2
5 지용성무소속6,13918.17%3
6 이관석무소속2,6237.76%4
선거인수70,804투표수34,992
무효표수1,206투표율


2.6.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구미시 제3선거구
신평1동, 신평2동, 비산동, 공단1동, 공단2동, 상모사곡동, 임오동, 광평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김지식새누리당--1위무투표 당선
선거인수투표수
무효표수투표율


2.7.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양산시 제3선거구
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태춘20,5831위
52.96%당선
2임재춘18,2752위
47.03%낙선
선거인 수74,994투표율
53.1%
투표 수39,849
무효표 수991

두 후보 모두 춘춘하네

2.8. 제주특별자치도[편집]


제주특별자치도 제22선거구
서귀포시 동홍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백성식새누리당5,00447.44%2
2윤춘광더불어민주당5,54252.55%1당선
선거인수17,051투표수10,838
무효표수292투표율63.56%


3. 기초의회 의원[편집]



3.1. 서울특별시[편집]


서울특별시 중구 가선거구
소공동, 명동, 을지로동, 광희동, 신당동, 중림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영한5,6611위
42.56%당선
2송희3,6413위
27.37%낙선
3김용만3,9972위
30.05%낙선
선거인 수24,947투표율
54.18%
투표 수13,517
무효표 수218

서울특별시 동대문구마선거구
전농1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남궁역새누리당6,24342.42%2
2김정수더불어민주당8,47457.57%1당선
선거인수26,410투표수15,121
무효표수404투표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마선거구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김창민새누리당15,06332.25%3
3 김용일국민의당16,53035.39%1당선
4 임한솔정의당15,10332.34%2
선거인수78,680투표수48,032
무효표수1,336투표율

서울특별시 관악구나선거구
청룡동, 중앙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김금희새누리당5,34723.71%3
2김영석더불어민주당10,87448.22%1당선
3 조명환국민의당6,32928.06%2
선거인수26,410투표수15,121
무효표수404투표율

같은 날 치러졌던 총선에서는 이 청룡동, 중앙동에서 김성식 국민의당 후보가 승리했으나 구의원 재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당 후보가 완패했다. 완패 사유는 김성식과 달리 국민의당 조명환 후보는 호남 마케팅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김성식의 승리가 호남 이주민 때문이 아님을 확인시켜주고, 서울에서 호남 마케팅은 역효과라는 것을 입증한 사례이다. 게다가 청룡동, 중앙동은 갑구 지역이고, 청룡동에서 호남인구가 다수 이탈했다는 것. e편한세상서울대입구 아파트가 재건축중이였고, 중앙동은 봉천동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애초 호남 마케팅이 통할수가 없었다. 출신지보다 부동산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아선거구
개포2동, 일원본동, 일원1동, 세곡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송영모새누리당28,80545.77%2
2강대후더불어민주당34,12454.22%1당선
선거인수103,493투표수65,129
무효표수2,200투표율

강남구 을에서의 돌풍에 이은 돌풍 김종훈 전 의원 의문의 2패


3.2. 인천광역시[편집]


인천광역시 남동구 라선거구
간석3동, 만수2동, 만수3동, 만수5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이우일새누리당19,18147.98%2
4최승원정의당20,79452.01%1당선
선거인수80,413투표수41,656
무효표수1,681투표율


3.3. 경기도[편집]


경기도 고양시 나선거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화정1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오영숙새누리당19,24741.56%2
2김경태더불어민주당21,31646.03%1당선
5 한명섭무소속5,74112.39%3
선거인수80,418투표수48,046
무효표수1,742투표율

경기도 부천시 바선거구
심곡본1동, 심곡본동, 송내1동, 송내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남미경새누리당13,28231.65%2
2강병일더불어민주당16,72939.86%1당선
3 김영규국민의당11,95228.48%3
선거인수76,551투표수42,824
무효표수861투표율

경기도 김포시 라선거구
통진읍, 양촌읍,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황순호새누리당19,26659.11%1당선
2배강민더불어민주당13,32440.88%2
선거인수93,955투표수48,718
무효표수1,243투표율

경기도 이천시 가선거구
신둔면, 백사면, 증포동, 관고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박명서새누리당13,51844.61%2
2임영길더불어민주당16,78255.38%1당선
선거인수58,500투표수31,272
무효표수972투표율


3.4. 충청북도[편집]


충청북도 옥천군 가선거구
옥천읍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황의설새누리당6,41243.78%2
2조동주더불어민주당7,15548.85%1당선
5 박인수무소속1,0777.35%3
선거인수23,908투표수15,133
무효표수489투표율


3.5. 충청남도[편집]


충청남도 아산시 나선거구
온양1동, 온양2동, 온양3동, 온양4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여운영[3]새누리당13,88451.01%1당선
2윤신군더불어민주당13,33348.98%2
선거인수52,683투표수27,882
무효표수665투표율

충청남도 논산시 라선거구
연산면, 벌곡면, 양촌면, 가야곡면, 은진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이상구새누리당5,40643.95%2
2김만중더불어민주당6,89356.04%1당선
선거인수21,655투표수12,832
무효표수533투표율

충청남도 당진시 가선거구
당진1동, 당진2동, 당진3동, 대호지면, 정미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서영훈새누리당10.62836.64%2
2홍기후더불어민주당12,20142.06%1당선
3 이태용국민의당6,17521.29%3
선거인수52,823투표수29,516
무효표수512투표율


3.6. 전라북도[편집]


전라북도 전주시 라선거구
평화2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2전석진더불어민주당9,53242.46%2
3 김주년국민의당12,91657.53%1당선
선거인수35,158투표수23,022
무효표수574투표율


3.7. 전라남도[편집]


전라남도 여수시 라선거구
동문동, 한려동, 중앙동, 충무동, 광림동, 서강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2 강현태더불어민주당5,28935.14%2
3원용규국민의당6,14540.83%1당선
5 김춘식무소속1,1687.76%4
6 김순종무소속2,44816.26%3
선거인수26,377투표수15,376
무효표수326투표율

전라남도 고흥군 나선거구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2 박철수더불어민주당2,48832.39%2
3송인숙국민의당2,92038.01%1당선
5 설승용무소속3915.09%4
6 장준환무소속2363.07%5
7 정귀식무소속1,64621.42%3
선거인수11,089투표수7,993
무효표수312투표율


3.8. 대구광역시[편집]


대구광역시 동구다선거구
도평동, 불로·봉무동, 공산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하중호새누리당7,74837.35%1당선
5 박정우무소속4,76522.97%3
6 김인자무소속1,6658.02%4
7 정용무소속6,56231.63%2
선거인수37,883투표수21,807
무효표수1,067투표율

3.9. 경상북도[편집]


경상북도 성주군 가선거구
성주읍, 선남면, 월항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5 노광희무소속4,96641.56%1당선
6 허주식무소속3,06325.63%3
7 김성우무소속3,91832.79%2
선거인수20,503투표수12,503
무효표수556투표율

무소속 3파전

3.10. 부산광역시[편집]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가선거구
우1동, 우2동, 우3동, 중1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김정욱새누리당24,76258.98%1당선
5 박현군무소속11,34127.01%2
6 백태현무소속5,87513.99%3
선거인수86,770투표수45,002
무효표수3,024투표율

부산광역시 사하구라선거구
장림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이복조새누리당9,51653.93%1당선
2유동철더불어민주당6,05434.31%2
5 조영철무소속2,07311,74%3
선거인수34,736투표수18,132
무효표수489투표율

부산광역시 연제구다선거구
연산1동, 연산3동, 연산6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박기홍새누리당8,42142.02%1당선
2박종욱더불어민주당6,36931.78%2
5 차백진무소속5,24626.18%3
선거인수36,735투표수20,645
무효표수609투표율

3.11. 경상남도[편집]


경상남도 창원시 나선거구
진해구 이동, 자은동, 덕산동, 풍호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서병훈새누리당13,04146.89%2
5 김태웅무소속14,76753.10%1당선
선거인수48,458투표수28,555
무효표수747투표율


경상남도 진주시 다선거구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이현동, 판문동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박성도새누리당11,06053.38%1당선
5 최충경무소속9,65646.61%2
선거인수35,550투표수21,389
무효표수673투표율

경상남도 김해시 라선거구
진영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기호후보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
1 배종도새누리당11,99341.65%2
2 김종근더불어민주당16,79758.34%1당선
선거인수53,219투표수29,478
무효표수688투표율
김해시 선거 더불어민주당 싹쓸이의 화룡점정. 갑, 을 두 명의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김해시장 재선거, 김해시의원 재선거가 패키지로 묶인 선거의 결과는 압도적이었다. 통상 기초의회의원 선거 같은 소규모 선거는 반드시 정당의 지지만을 따라간다기 보다 후보자 개인의 이력과 각 후보 진영의 조직력이 영향을 끼치는데, 이 정도의 득표율 차이는 반 새누리 성향의 유권자들이 정말 작정하고 투표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낙동강 벨트 중심의 민심 이반이 나타난 결과. 특히 김해시 라 선거구에는 진영읍이 포함되어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저와 묘역이 있는 바로 그 곳.

경상남도 양산시 가선거구
물금읍, 원동면, 강서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영철19,0402위
49.14%낙선
2심경숙19,7051위
50.85%당선
선거인 수66,089투표율
60.0%
투표 수39,654
무효표 수909


[1] 이 때 정광섭 도의원도 새누리당을 탈당해 김종필 후보를 저격하고 송기섭의 선거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다.[2] 화성시 병에서 봉담읍이 빠지면 이 선거구가 된다.[3] 새누리당 탈당(2016.12.01) → 더불어민주당 입당(2016.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