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컬링

덤프버전 :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컬링
파일: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로고.svg
날짜2006년 2월 13일 ~ 2월 24일
경기장피네롤로 팔라기아치오
종목남자, 여자
챔피언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0022010
1. 개요
2. 출전권
3. 참가 선수 명단
3.1. 남자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3.2. 여자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
4. 경기 결과
4.1. 남자
4.1.1. 예선
4.1.2. 결선
4.2. 여자
4.2.1. 예선
4.2.2. 결선
5. 최종 메달리스트
6. 기타


1. 개요[편집]


2006년 2월 13일부터 2월 24일까지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개최된 컬링 종목 일정 및 결과를 정리한 문서.

토리노가 아닌 근처 도시 피네롤로에서 열렸다.

2. 출전권[편집]


토리노 동계올림픽 출전은 개최국인 이탈리아를 제외한 올림픽이 있기 직전 3년간 세계선수권 성적에 따른 포인트로 개최국 제외 상위 10국을 정했다.

  • 남자
국가2003 세계선수권2004 세계선수권2005 세계선수권합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28123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87722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4.561020.5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61222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510819.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104.5418.5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7-5.512.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325.510.5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4.537.5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4.5206.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5--1.5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00
(개최국 자격)

  • 여자
국가2003 세계선수권2004 세계선수권2005 세계선수권합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27102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12729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851225.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710825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683.517.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스코틀랜드)3651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6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341.58.5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7-5.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2.505.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3.53.5
파일:호주 국기.svg 핀란드-101

3. 참가 선수 명단[편집]



3.1. 남자[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독일 국기.svg 독일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킵] 폴 트룰센
[서드] 라르스 보그베르
[세컨드] 플레밍 다반저
[리드] 벤트 오눈드 람스펠[1]
[핍스] 토르게르 네르고르[2]
[스킵] 숀 베커[3]
[서드] 한스 프라우엔롭
[세컨드] 댄 무스타픽
[리드] 론 데 페이프
[핍스] 워렌 돕슨
[스킵] 앤드 캅[4]
[서드] 울리 캅[5]
[세컨드] 올리버 액스닉
[리드] 홀저 호네
[핍스] 안드레아스 켐프
[스킵] 피트 펜슨
[서드] 숀 로제스키
[세컨드] 조 폴로
[리드] 존 슈스터
[핍스] 스콧 바드
[스킵] 페야 린드홀름
[서드] 토마스 노르딘
[세컨드] 망누스 스바르팅
[리드] 페테르 나루프
[핍스] 안데르스 크라우프[6]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스킵] 랄프 스토클리
[서드] 클라우디오 페시아
[세컨드] 파스칼 시버
[리드] 마르코 바틸라나
[핍스] 시몬 스트뤼빈
[스킵] 데이비드 머독
[서드] 이언 맥도널드
[세컨드] 워윅 스미스
[리드] 유언 바이어스
[핍스] 크레익 윌슨
[스킵] 조엘 레토르나
[서드] 파비오 알베라[7]
[세컨드] 지안 파올로 잔데지아코모
[리드] 마르코 마리아니
[핍스] 안토니오 메나르디
[포스][8] 브래드 구슈
[서드] 마크 니콜스
[스킵/세컨드] 러스 하워드
[리드] 제이미 코랩
[핍스] 마이크 애덤
[스킵] 마르쿠 우시파발니에미
[서드] 윌리 마켈라
[세컨드] 칼레 키스키넨
[리드] 티무 살로
[핍스] 자니 술란마

3.1.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컬링이 시범 종목으로 열린 1992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땄다.

스킵 숀 베커와 핍스 워런 돕스를 제외한 나머지 3명은 사실 캐나다 태생이다. 본업은 양 목축업인데 한편 베커 가문은 뉴질랜드 컬링을 개척한 가문이다.

1998 나가노 올림픽(8위)에도 출전했다.


1998 나가노 올림픽(6위)과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4위)에도 출전했다.





  • 마르쿠 우시파발니에미(핀란드): 1998·2000 세계선수권 동메달, 유럽선수권 1회 우승(2005)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5위)에도 출전했다.

3.2. 여자[편집]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킵] 도르디 노르드비
[서드] 마리아네 하슬룸
[세컨드] 마리아네 뢰르비크[9]
[리드] 카밀라 홀트
[핍스] 샤를로테 호브링
[스킵] 도르테 홀름
[서드] 데니세 두폰트
[세컨드] 레네 닐센
[리드] 말레네 크라우세
[핍스] 마리아 폴센
[스킵] 류드밀라 프리비프코바
[서드] 은케이루카 에제크
[세컨드] 올가 자르코바
[리드] 예카테리나 갈키나
[핍스] 야나 네크랍소바
[스킵] 카산드라 존슨
[서드] 제이미 존슨
[세컨드] 제시카 슐츠
[리드] 모린 브런트
[핍스] 코트니 조지
[스킵] 아네테 노르베리[10]
[서드] 에바 룬드
[세컨드] 카트리네 린달[11]
[리드] 안나 스바르드[12]
[핍스] 울리카 베르그만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스킵] 미리암 오트
[서드] 비니아 벨리
[세컨드] 발레리아 스푈티
[리드] 미셸 모저
[핍스] 마누엘라 코르만
[스킵] 로나 마틴
[서드] 잭키 록하트
[세컨드] 켈리 우드
[리드] 린 캐머런
[핍스] 데보라 녹스
[스킵] 디아나 가스파리
[서드] 지울리아 라케델리
[세컨드] 로사 폼파닌
[리드] 비올레타 칼다르트
[핍스] 엘레노라 알베라[14]
[스킵] 오노데라 아유미[15]
[서드] 하야시 유미에[16]
[세컨드] 모토하시 마리
[리드] 메구로 모에
[핍스] 테라다 사쿠라코
[스킵] 섀넌 클레이브링크
[서드] 에이미 닉슨
[세컨드] 글레니스 바커
[리드] 크리스틴 케슨
[핍스] 산드라 젠킨스

3.2.1. 각 팀 스킵 간략 정보[편집]


컬링이 시범 종목으로 열린 1988 캘거리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1992 알베르빌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땄었다. 1998 나가노 올림픽(6위)과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7위)에도 출전했다.


  • 류드밀라 프리비프코바(러시아):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컬링이 시범 종목으로 열린 1988 캘거리 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땄다.



  • 디아나 가스파리(이탈리아):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2002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8위, 세컨드)에도 출전했다.

  • 섀넌 클레이브링크(캐나다): 주요 대회 수상 경력 없음

4. 경기 결과[편집]



4.1. 남자[편집]



4.1.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마르쿠 우시파발니에미72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러스 하워드63
3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피트 펜슨63
4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데이비드 머독63
5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폴 트룰센54
6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랄프 스토클리54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조엘 레토르나45
8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앤디 캅36
9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페야 린드홀름36
10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숀 베커09

4.1.2. 결선[편집]


  • 준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예선 1위)01000200014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예선 4위)00001010103

12345678910결과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2위)020202005X11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예선 3위)101010020X5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910결과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030020101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01010030106

  • 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20001001XX4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02110600XX10

4.2. 여자[편집]



4.2.1. 예선[편집]


예선 순위국가스킵
1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아네테 노르베리72
2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미리암 오트72
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섀넌 클레이브링크63
4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도르디 노르디비63
5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로나 마틴54
6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류드밀라 프리비프코바54
7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오노데라 아유미45
8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카산드라 존슨27
9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도르테 홀름27
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디아나 가스파리18

4.2.2. 결선[편집]


  • 준결승전
12345678910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예선 1위)001010110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예선 4위)10010100104

12345678910결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예선 2위)00301102007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예선 3위)01010020105

  • 동메달 결정전
12345678910결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00110201XX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41004020XX11

  • 결승전
1234567891011결과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020101101017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002000020206

5. 최종 메달리스트[편집]


최종 메달리스트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러스 하워드
브래드 구슈
마크 니콜스
제이미 코랩
마이크 애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마르쿠 우시파발니에미
윌리 마켈라
칼레 키스키넨
티무 살로
자니 술란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피트 펜슨
숀 로제스키
조 폴로
존 슈스터
스콧 바드
여자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네테 노르베리
에바 룬드
카트리네 린달
안나 스바르드
울리카 베르그만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미리암 오트
비니아 벨리
발레리아 스푈티
미셸 모저
마누엘라 코르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섀넌 클레이브링크
에이미 닉슨
글레니스 바커
크리스틴 케슨
산드라 젠킨스

6. 기타[편집]


  • 토리노 올림픽 이전까지 이탈리아에서 컬링은 비인기 종목이었지만[17], 이탈리아 남자팀이 예선에서 캐나다를 1점차로 꺾는 등 예상밖으로 선전하며 잠시 동안 이탈리아에서 인기를 얻었다.

  • 일본에서도 뜻밖에 컬링이 인기를 얻는 계기가 됐는데, 메달권이 유력했던 선수들이 줄줄이 노메달로 탈락하면서 방송사들이 대신 컬링 경기를 중계했기 때문이었다. 토리노 올림픽 이후 열린 2006년 일본선수권 관객은 전년도 대비 10배 증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6:58:51에 나무위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컬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때 노르웨이 남자 대표팀 스킵 에이길 람스펠의 동생[2] 이후 여자 대표팀 세컨드 마리아네 뢰빅과 결혼했다.[3] 개회식 및 폐회식 때 선수단 기수를 맡았다.[4] 울리 캅의 형[5] 앤디 캅의 동생[6]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 스웨덴 남자 대표팀 서드 세바스티안 크라우프의 아버지[7] 여자 대표팀 핍스 엘레노라 알베라의 아버지[8] 공식적으로는 러스 하워드가 스킵이었지만 원래는 브래드 구슈 팀에 하워드가 추가된 격이라서 구슈를 스킵으로 보기도 한다.[9] 이후 남자 대표팀 핍스 토르게르 네르고르와 결혼했다.[10] 카트리네 린달의 언니[11] 아네테 노르베리의 동생[12] 이후 결혼하면서 성을 레 모이네로 바꿨다.[13] 팀 아오모리[14] 남자 대표팀 서드 파비오 알베라의 딸[15] 이후 결혼하면서 오가사와라로 성을 바꿨다.[16] 이후 결혼하면서 후나야마로 성을 바꿨다.[17] 당시 이탈리아 동계스포츠 연맹에 아마추어 선수 100여명이 등록된 정도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