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창물미 준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20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𨱔
표준 중국어
zū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개요[편집]


鐏은 '창물미 준'이라는 한자로, '창의 물미'를 뜻한다.

'물미'는 깃대나 창대 따위의 끝에 끼우는, 끝이 뾰족한 쇠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940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CTWI(金廿田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쇠 금)과 음을 나타내는 (높을 존)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일본어[편집]



3.6.1. 훈독[편집]



3.6.2. 음독[편집]



3.7. 중국어[편집]



3.8.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불태울 존)
  • 𥊭[⿰目尊](붉은눈 존)
  • (가파를 준)
  • (걸어앉을 준)
  • (기쁠 준)
  • (너풀거려출 준)
  • /(누를 준)
  • (모일 준)
  • 𦪚[⿰舟尊](배밑구멍 준)
  • (송어 준)
  • (수군거릴 준)
  • (술그릇 준)
  • (술두루미 준)
  • (술통 준)
  • 𥖁(웅크릴 준)
  • (이야기할 준)
  • 𢕰[⿰彳尊](좇을 준)[1]
  • 𣦝[⿰止尊](쭈구릴 준)
  • 𥢎[⿰禾尊](볏가리 찬)
  • (물이름 촌)
  • 𫱵[⿰女尊]
  • 𭞵[⿰忄尊]
  • 𬛘[⿰⺼尊]
  • 𣞊[⿰朱尊]
  • 𭹼[⿰⺩尊]
  • 𧒆
  • 𫆸[⿰肉尊]
  • 𫑼[⿰酉尊]
  • 𬲝[⿰⻞尊]

6.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20:35:4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좇을 준)의 고자